목차
1장 작가소개
1절 작가소개
2절 작가연혁
3절 대표작품
2장 원작소개
1절 원작소개
2절 작품창작배경
3절 등장인물분석
4절 줄거리소개
5절 상징물
3장 영화소개
1절 다양한 영화화작품
2절 영화소개
3절 감독소개
4장 영화와 원작 비교
1절 장면의 변화
2절 등장인물의 변화
3절 세트의 변화
4절 조명과 색의 변화
1절 작가소개
2절 작가연혁
3절 대표작품
2장 원작소개
1절 원작소개
2절 작품창작배경
3절 등장인물분석
4절 줄거리소개
5절 상징물
3장 영화소개
1절 다양한 영화화작품
2절 영화소개
3절 감독소개
4장 영화와 원작 비교
1절 장면의 변화
2절 등장인물의 변화
3절 세트의 변화
4절 조명과 색의 변화
본문내용
한 가난한 이민이 그를 감추어 준 친족간의 삐뚤어진 시기심과 정욕 때문에 밀고되어 결국은 일가의 파멸을 초래하는 과정을 그려, 그리스 비극의 현대화에의 시도를 엿볼 수 있다. 이 작품으로 이듬해 퓰리쳐상을 수상하게 되고 광폭한 매카시즘의 바람에 견디지 못한 그는 9년간 작품활동을 중단하기도 한다. 56년엔 엎친데 덮친격으로 첫 번째 아내와 이혼하게 되는데 5년후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와의 재혼을 하게된다.
이 결혼으로 화제를 뿌린 뒤는 극작 활동이 줄어들고, 영화 배우는 마릴린 먼로를 위해서 영화 시나리오를 쓰거나 평론가로서 활동했다. 하지만 채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이혼하게 되고 이 두 사람의 결혼은 당시 큰 가십거리가 되었다.
그림1-4 마릴린 먼로와 아서밀러1
그림1-5 마릴린 먼로와 아서밀러2
그림1-6 퓰리처상을 수상한 아서밀러
3) 성숙기
2번째 부인 마릴린 먼로와의 결혼 이후 오랜 만에 내놓은 작품이 <파멸 이후 After the Fall>(1964)였다. 이 작품은 매우 주관적인 작품인데,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을 기점으로 해서 작품의 테마와 톤이 종래의 그것과는 달라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는 초기에 주로 주체의식의 위기를 다루었으나 후기에 이르러 그의 주요 관심사는 개인이나 사회에 있어서의 남과의 관계로 바뀌었다. 이 작품에서는 죄의식과 책임이라는 주제의식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자살로써 생을 마감하는‘매기’의 역할은 마릴린 먼로를 모델로 하는 것이였으며 밀러는 그녀를 불행했던 어린시절의 망령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끝내 파멸하는 여성이라 표현했다.
그 다음 작품인 <비시에서 생긴 일 Incident at Vichy>(1964)은 나치 점령하의 프랑스의 어느 유치장에서 일어난 일로, 포로 수용소로 끌려가기 위해 유태인과 유태인의 혐의를 받은 자들이 심문을 받는데, 이때 오스트리아의 귀족이 자기의 패스를 유태인 정신과 의사에게 주어 그를 살려 준다는 이야기이다. 정통적인 수법의 간단한 이야기지만 인간의 비이성적인 행위와 그로 인한 크나큰 과오를 감동적으로 고발하고 있다.
67년엔 세 번째부인인 오스트리아 출신 사진작가 인지 모라스와 결혼하게 된다.
4) 꾸준한 작품생활과 사망
그림1-7 아서밀러의 묘
1967년 단편 소설집 <더이상 당신이 필요하지 않아 I Dont Need You Any More>를 냈으며, 1977년에는 연극 평론집을 발간했다. <대주교의 천장 The Archbishops Ceiling>,<미국 시계 The American Clock>, <위험>, <메모리> 등 작품을 발표하나 초기와 같은 큰 평가를 받지는 못하였다.
아서 밀러는 1999년 10월19일 지난 50년간 문학에 기여한 공로로 세계의 아름다움을 위해 크게 기여한 예술가에게 주어지는 상인 기시상을 받게된다. 자신의 고향인 뉴욕 맨하튼 허드슨 극장에서 열린 소모임에서 “내가 지난 반세기동안 노력해 왔던 일은 부정과 불의의 장막을 찢는 것 이다. 내게 연극이란 우리가 필사적으로 억누르려고 하는 것을 발견하는 것” 이라고 말하며 기시상 수상으로 받은 상금을 뉴욕의 예술 단체에 기부 했다고 한다.
그 후 눈에 띄는 작품활동 없이 요양해오던 밀러는 2005년 2월 10일 그의 지병이었던 심장질환으로 89세 나이로 사망하게된다.
제3절 대표작품
그림 1-7 아서 밀러의 대표작들 1
① The Man Who Had the Luck(1944)
사업도 번창하고 결혼에도 성공한 한 젊은 실업가가 주변의 다른 사람들의 좌절과 불행을 보고 자기에게도 어떤 재앙이 닥쳐오리라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나 결국은 자신의 우월성 과 성공의 행운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② All My Sons(1947)
사생활의 윤리체계와 사업의 윤리체계를 따로따로 설정한 물질주의 사회의 이중적 가치 기 준을 다룬연극으로 입센풍의 작품이다.
Miller는 이 작품에서 그가 즐겨 다루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주제로 주인공 Joe의 세계 (자기집 담장안의 세계) 넘어에도 하나의 세계(바깥 세상 일반 사람들의 세계)가 있음을 주 장하고 그 세계에 대해서도 인간은 책임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③ Death of a Salesman(1949)
사실주의와 표현주의를 사용하여 맹목적인 물질적 추구가 초래하는 인간정신의 붕괴과정을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통해 조명한 현대 미국 연극의 가장 두드러진 업적의 하나이다.
물질적인 성공을 상징하는 형 벤과 조건없이 베푸는 사랑을 상징하는 아내 린다 사이에서 물질적인 성공은 값어치를 재는 자이며 자식들의 사랑도 그것으로 살수 있다는 집념 에 사로잡힌 윌리 로만은 이미 대량 생산과 직매 체제로 사회경제 구조가 바뀌고 있는 마당에 아직도 집집마다 찾아 다니는 외판원으로 성공해 보려는 꿈에 매달려 있다. 그리하여 마침내 현실과의 거리를 행복했던 과거의 환상으로 메우며 못다한 꿈을 자식에게 넘겨 자신의 생명보험으로 성공케하기 위해 자살하고 만다는 내용의 연극이다.
이 작품은 본 보고서에서 집중 분석할 작품이기도 하다.
④ The Crucible(1953)
1692년 살렘에서 있었던 마녀재판을 다룬 이 작품은 뉴 잉글랜드 지방을 휩쓸었던 집단의 광기와 미국을 휘몰아친 메카시선풍이 빚어낸 또 하나의 광기 사이의 유사성을 보여 줌으로써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집단적인 공포 분 위기 속 에서 새로운 가치관을 조작해낼 수 있는 거대한 조직의 횡포와 거기에 희생되는 개인의 양심, 인격과 존엄성의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그림 1-8 아서 밀러의 대표작들 2
⑤ A View from the Bridge(1955)
주인공 에디 카본이 18세난 조카딸 캐서린에 대해 품고있는 근친상간적인 사랑이 빚는 여러 가지 비극적 결과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⑥ Memory of Two Mondays(1955)
기계적인 일과 지겨운 생활 속에서 위안의 희망도 없이 걸려든 일련의 공장 노동자들을 통 해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의 피상적인 면과 덧없음을 그린 단막극이다.
⑦ After the Fall(1964)
느슨한 의식의 흐름이라는 수법으로 성공적인 변호사
이 결혼으로 화제를 뿌린 뒤는 극작 활동이 줄어들고, 영화 배우는 마릴린 먼로를 위해서 영화 시나리오를 쓰거나 평론가로서 활동했다. 하지만 채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이혼하게 되고 이 두 사람의 결혼은 당시 큰 가십거리가 되었다.
그림1-4 마릴린 먼로와 아서밀러1
그림1-5 마릴린 먼로와 아서밀러2
그림1-6 퓰리처상을 수상한 아서밀러
3) 성숙기
2번째 부인 마릴린 먼로와의 결혼 이후 오랜 만에 내놓은 작품이 <파멸 이후 After the Fall>(1964)였다. 이 작품은 매우 주관적인 작품인데,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을 기점으로 해서 작품의 테마와 톤이 종래의 그것과는 달라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는 초기에 주로 주체의식의 위기를 다루었으나 후기에 이르러 그의 주요 관심사는 개인이나 사회에 있어서의 남과의 관계로 바뀌었다. 이 작품에서는 죄의식과 책임이라는 주제의식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자살로써 생을 마감하는‘매기’의 역할은 마릴린 먼로를 모델로 하는 것이였으며 밀러는 그녀를 불행했던 어린시절의 망령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끝내 파멸하는 여성이라 표현했다.
그 다음 작품인 <비시에서 생긴 일 Incident at Vichy>(1964)은 나치 점령하의 프랑스의 어느 유치장에서 일어난 일로, 포로 수용소로 끌려가기 위해 유태인과 유태인의 혐의를 받은 자들이 심문을 받는데, 이때 오스트리아의 귀족이 자기의 패스를 유태인 정신과 의사에게 주어 그를 살려 준다는 이야기이다. 정통적인 수법의 간단한 이야기지만 인간의 비이성적인 행위와 그로 인한 크나큰 과오를 감동적으로 고발하고 있다.
67년엔 세 번째부인인 오스트리아 출신 사진작가 인지 모라스와 결혼하게 된다.
4) 꾸준한 작품생활과 사망
그림1-7 아서밀러의 묘
1967년 단편 소설집 <더이상 당신이 필요하지 않아 I Dont Need You Any More>를 냈으며, 1977년에는 연극 평론집을 발간했다. <대주교의 천장 The Archbishops Ceiling>,<미국 시계 The American Clock>, <위험>, <메모리> 등 작품을 발표하나 초기와 같은 큰 평가를 받지는 못하였다.
아서 밀러는 1999년 10월19일 지난 50년간 문학에 기여한 공로로 세계의 아름다움을 위해 크게 기여한 예술가에게 주어지는 상인 기시상을 받게된다. 자신의 고향인 뉴욕 맨하튼 허드슨 극장에서 열린 소모임에서 “내가 지난 반세기동안 노력해 왔던 일은 부정과 불의의 장막을 찢는 것 이다. 내게 연극이란 우리가 필사적으로 억누르려고 하는 것을 발견하는 것” 이라고 말하며 기시상 수상으로 받은 상금을 뉴욕의 예술 단체에 기부 했다고 한다.
그 후 눈에 띄는 작품활동 없이 요양해오던 밀러는 2005년 2월 10일 그의 지병이었던 심장질환으로 89세 나이로 사망하게된다.
제3절 대표작품
그림 1-7 아서 밀러의 대표작들 1
① The Man Who Had the Luck(1944)
사업도 번창하고 결혼에도 성공한 한 젊은 실업가가 주변의 다른 사람들의 좌절과 불행을 보고 자기에게도 어떤 재앙이 닥쳐오리라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나 결국은 자신의 우월성 과 성공의 행운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② All My Sons(1947)
사생활의 윤리체계와 사업의 윤리체계를 따로따로 설정한 물질주의 사회의 이중적 가치 기 준을 다룬연극으로 입센풍의 작품이다.
Miller는 이 작품에서 그가 즐겨 다루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주제로 주인공 Joe의 세계 (자기집 담장안의 세계) 넘어에도 하나의 세계(바깥 세상 일반 사람들의 세계)가 있음을 주 장하고 그 세계에 대해서도 인간은 책임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③ Death of a Salesman(1949)
사실주의와 표현주의를 사용하여 맹목적인 물질적 추구가 초래하는 인간정신의 붕괴과정을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통해 조명한 현대 미국 연극의 가장 두드러진 업적의 하나이다.
물질적인 성공을 상징하는 형 벤과 조건없이 베푸는 사랑을 상징하는 아내 린다 사이에서 물질적인 성공은 값어치를 재는 자이며 자식들의 사랑도 그것으로 살수 있다는 집념 에 사로잡힌 윌리 로만은 이미 대량 생산과 직매 체제로 사회경제 구조가 바뀌고 있는 마당에 아직도 집집마다 찾아 다니는 외판원으로 성공해 보려는 꿈에 매달려 있다. 그리하여 마침내 현실과의 거리를 행복했던 과거의 환상으로 메우며 못다한 꿈을 자식에게 넘겨 자신의 생명보험으로 성공케하기 위해 자살하고 만다는 내용의 연극이다.
이 작품은 본 보고서에서 집중 분석할 작품이기도 하다.
④ The Crucible(1953)
1692년 살렘에서 있었던 마녀재판을 다룬 이 작품은 뉴 잉글랜드 지방을 휩쓸었던 집단의 광기와 미국을 휘몰아친 메카시선풍이 빚어낸 또 하나의 광기 사이의 유사성을 보여 줌으로써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집단적인 공포 분 위기 속 에서 새로운 가치관을 조작해낼 수 있는 거대한 조직의 횡포와 거기에 희생되는 개인의 양심, 인격과 존엄성의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그림 1-8 아서 밀러의 대표작들 2
⑤ A View from the Bridge(1955)
주인공 에디 카본이 18세난 조카딸 캐서린에 대해 품고있는 근친상간적인 사랑이 빚는 여러 가지 비극적 결과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⑥ Memory of Two Mondays(1955)
기계적인 일과 지겨운 생활 속에서 위안의 희망도 없이 걸려든 일련의 공장 노동자들을 통 해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의 피상적인 면과 덧없음을 그린 단막극이다.
⑦ After the Fall(1964)
느슨한 의식의 흐름이라는 수법으로 성공적인 변호사
추천자료
영화와 여성(페니미즘)
영화 뷰티플 마인드 감상문
영화음악의 역할과 효과
[감상문]영화 `뷰티풀마인드`(Beautiful mind) 감상문
'크루서블' 감상문
원스영화감상문[원스감상문][음악영화감상문][원스 감상문][영화감상문 원스][원스영화감상문...
]음악영화 감상문]음악영화감상문[음악영화감상문모음][레이감상문+원스감상문]
(영화감상문) 뷰티풀마인드 감상문
소논문
영화 아이리스 감상문
[영화감상문] 영화 ‘써니’를 보고
[영화감상문] 매드 씨티 (Mad City)
[감상문] 영화 15분 (15 Minutes)를 보고 - 언론과 사회 팽배하는 상업성의 병폐
[취미와예술 2D형] 영화나 문학 작품 속에 삽입된 음악 한 편을 감상하고 감상기를 쓰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