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공학실험2 논리 프로브 구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공학실험2 논리 프로브 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2 논리 프로브 구성

실험목표

사용 부품

이론요약

실험결과

데이터 및 관찰 내용

결과 및 결론

평가 및 복습문제

본문내용

0.1V
11
결함 회로 전압(오실로 스코프)
0.024V
4.48V
0.056V
0.012V
결과 및 결론
이번 실험은 논리 프로브를 구성하여 TTL회로의 임계치 레벨을 구하고 만들어놓은 논리 프로브 회로로 7404소자를 테스트 해보는 것이다.
그냥 글만 읽어보면 간단한 회로실험이라고 생각했었다, 금방 끝날 것이라고 생각했었지만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먼저 프로브회로를 구성하는 것인데 실험할 때는 책에 있는 회로를 구성하여서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하여 임계치값을 구했지만 이렇게 보고서를 쓰면서 생각을 해보니 당연한 값이었다. 프로브에서 들어오는 전압이 올라갈수록 신호용 다이오드 에 걸리는 전압은 계속적으로 올라가고 그리고 0.8V가 넘지 않으면 밑의 의 노드 점에 걸리는 전압은 다이오드가 작동하는 전압이 되지 않아 밑으로는 Low가 입력되고 위쪽에는 High가 입력이 되어서 위의 불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프로브 전압을 계속적으로 올리게 되면 7404소자가 인식할수 있는 TTL임계치 레벨을 벗어나게 되어서 High, Low를 구분하지 못하는 임계치 레벨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2V이상이 되면 High로 인식을 시작해서 소자가 작동하여 High의 LED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런 원리로써 임계치 값을 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프로브를 구성해서 임계치 전압을 구한후 이제 인버터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니 인버터는 High는 Low로 Low는 High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실험을 하니 Low를 계속적으로 넣어주지 않았는데도 계속 Low에 불이 들어와 있는 것입니다. 정말 이부분에 대해서는 재미가 있었고, 마찬가지로 High를 잠깐 넣어주어도 High를 계속적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다음은 5번 6번 이 끊어졌을 경우에 우리가 알아 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것 인데 3번과6번 핀에는 거의 0에 가까운 전압이 측정되었고 4번핀은 4에 가까운 전압이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입력에 LOW를 입력해서 3번과 6번은 당연히 0에 가까운 전압이 나오게 되고 4번의 3번의 결과값으로서 HIGH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결함이 생긴 5번핀은 1에 가까운 전압이 나온다는 것인데 이것은 TTL논리에서는 HIGH와 LOW를 구분 할수 없는 전압인 0.8v와 2v사이의 전압이 나타내는 것이다.
평가 및 복습문제
1. 실험 순서 3에서 논리 프로브의 임계 전압을 테스트 하였다. 임계 전압을 약간만 증가시키려고 한다면 그림 2-4 회로에 간단하게 어떤 변화를 주면되겠는가?
2kΩ 나 330Ω 에 변화를주면 임계전압을 약간 증가시킬수 있다.
2.실험 순서 5에서 두 개의 인버터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종종 논리회로에서 사용된다. 두 개의 인버터를 이처럼 직렬로 연결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제시해 보아라.
클럭에 맞춰 신호가 들어가야되는데 너무 빨리 신호가 오면 그걸 늦춰주고, 딜레이에 따라 버퍼나 인버터*2를 쓰는데 딜레이를 더 길게 주고 싶으면 인버터*2를 쓴다.
게이트의 전달 딜레이는 특수로직 집합에 고정되있고,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5.25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