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심정지 (Cardiac arres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심정지 (Cardiac arres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3쪽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3쪽
A.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간호
B. Case study
 1. history
 2. 사용약물
 3. 간호진단

Ⅲ. 결론 ···········23쪽
A. 참고문헌

본문내용

4.6 CVP:6.5
11/14 90/60-87-14-36.0 CVP:6
11/15 115/80-73-15-36.5 CVP:6.5
EKG상에서 RSR(동성리듬)을 관찰하였다.
비례맥압이 0.4이상을 유지하였고, CVP 수치(5-10)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안정된 맥박과 혈압을 유지하고 계셨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11/15
11/14
11/13
11/12
Input
1490
1370
969
2810
Output
785
915
959
2810
I/O
+750
+455
+10
0
foley cather 적용하고, hours urine 으로 I&O를 check 하고 기록하였다.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해준다.
에너지 소비, 산소요구, 심근의 일 부담을 감소시키고 정맥귀환을 저하시켜 더 좋은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횡격막을 아래로 미는 것을 쉽게 해주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대상자의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검사항목
11/16
11/15
11/14
11/13
11/12
Hemoglobin
12.4
12.6
13.4
15.9
16.8
Hematocrit
36.8
37.4
38.6
44.8
49.6
Creatinine
1.08
1.01
1.05
0.90
1.43
Urea Nitrogen
15.4
19
19.8
21.5
25.3
Patassium
3.5
3.9
4.2
3.7
2.6
CPK
8865
8123
5121
4242
908
LDH
958
906
698
907
1080
Troponin
0.179
0.176
0.215
0.461
1.160
CK-MB
21.90
37.25
33.99
72.20
24.56
매일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내려 보내고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계획
수행
평가
간호목표
간호중재 계획
간호진단명#4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objective data
11/14 Chest PA
Focal pneumonia in RUL
yellowish thick secration 관찰.
비정상적인 호흡음(수포음)
CMV Ventilator 연결 되어 있는 상태임.
Endotrachial tube apply.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기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편안한 모습으로 호흡을 할 수 있다.
적절한 기도유지환기능력 확보
대상자의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킨다.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Mucosten 10% 기관지 확장제를 의사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분비물을 sucion을 통해효과적으로 배출시킨 후 호흡 시 편안해 보이는 표정으로 계셨다.
청진결과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았다.
효율적인 기침과 객담배출로 정상호흡음을 유지하였다.
Endotrachial tube와 suction 시행으로 인해 기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계셨다.
필요시 suction을 시행한다.
기도의 객담을 제거해 줌으로서 호흡에 용이한 기도개방을 유지하기 위해 대상자 간호 시 호흡음에 이상을 보일 때 마다 suction을 시행하였다.
객담배출을 효과적으로 돕는다.
Rounding 시간마다 손을 컵 모양을 만들어서 대상자의 흉부를 타진하고, 손바닥으로 흉부 진동을 일으켜 객담의 효율적인 배출을 돕고, secretion이 한곳에 과다하게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Position change를 2시간마다 시행하여 분비물 배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분비물을 묽게 해준다.
기관지 분비물이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 하도록 가습기를 이용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적당한 정도의 증류수와 온도를 유지하도록 자주 관찰하였다.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한다.
폐음을 청진하여 호흡음(수포음) 사정하였고, suction시행 후 객담을 관찰한 결과
yellowish thick secration이 관찰되었다.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계획
수행
평가
간호목표
간호중재 계획
간호진단명#5
PT지연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objective data
Activated PTT 11/12 18.5
Fibrinogen 11/12 176.4
AST 11/12 488 11/13 207
ALT 11/12 132 11/13 103
Platelet 11/17 135 11/16 148
hemoglobin 11/15 12.6
hematocrit 11/15 37.4
Hb, Hct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출혈로 인해 신체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대상자의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검사항목
11/16
11/15
11/14
11/13
11/12
Hemoglobin
12.4
12.6
13.4
15.9
16.8
Hematocrit
36.8
37.4
38.6
44.8
49.6
platelet
135
148
154
158
176
AST
382
332
217
207
488
ALT
125
104
90
103
132
PT test
12.6
11.7
11.8
10.9
10.8
Activated PTT
23.7
27.9
23.7
37.2
18.5
Fibrinogen
444
391.7
475.2
234.5
176.4
매일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내려 보내고 관련된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suction이나, BST 체크시 주의를 기울여 출혈로 인한 신체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검사결과 Hb, Hct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지는 못하였다.
침습적인 처치를 최소한으로 한다.
필요할 때만 가는 바늘을 사용하여 주사하고, 주사 후에는 부드럽게 압박을 가하여 지혈하였고, BST 체크나 침습적 처치시 압박을 오랫동안 해주었다.
과도한 suction으로 인해 점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필요시만 시행하고, 적절한 흡입압력으로 한다.
흡입력에 대한 점막 손상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튜브를 넣을 때는 흡입하지 않고 튜브를 빼낼때는 돌려가면서 흡입하며 꺼내고, 흡입압력이 100mmHg를 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출혈성 경향을 수시로 사정한다.
잇몸출혈, 비출혈, 자반증, 흑색변, 혈뇨 및 토혈 등을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쇼크는 출혈성 경향이 아니라 너무 진전된 것이므로 미리 예방하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