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론2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발달과정
  1) 진단주의
  2) 기능주의
 2.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활용과 평가
  1) 진단주의
  2) 기능주의
 3.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비교(이상호외 공저, 2010)

Ⅲ.결론

본문내용

진단주의와 기능주의를 통합하려는 경향으로 발전되었다.
나의 개인적인 견해를 말하자면, 사회복지실천에서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두 이론은 모두 가치 있는 이론이며, 사회복지실천 상황에 맞게 이 두 이론을 절충하고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외상증후군과 같이 무의식에 잠재되고 각인되어 있는 병리중심으로 개인을 치료할 때는 진단주의의 과거의 기능과 경험을 중시하는 측면이 필요 할 것이고, 인간의 성장가능성을 중시하고 현재에 초점을 두면서 인간과 환경 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기능주의의 측면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문제점보다 강점을 강조함으로써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요즘 경향에는 기능주의 측면이 강조될 수 있다. 기능주의에서는 기본적으로 인간을 보다 창의적이고 성장가능성이 있는 의지적인 존재, 개체적인 존재이며 자신의 창조적인 잠재능력을 실현하려고 애쓰는 존재로 보았고, 개인은 그 안에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가고자 하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그 힘은 건전한 성장을 위한 자기의지를 형성하여 자신의 능력 안에서 건강을 찾고 자신과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존재인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도광조(2008),『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이종복ㆍ전남련ㆍ김덕일(2008) 공저, 『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
한국전문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2007).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이경남ㆍ김인숙ㆍ김현주ㆍ박은주ㆍ서화정ㆍ이순영ㆍ이찬희ㆍ조윤득ㆍ허영숙공저(2008),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이상호ㆍ최경화ㆍ김재열ㆍ안성의ㆍ유인애ㆍ황성식ㆍ석재은 공저(2010). 『사회복지실천론』. 신정.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