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특성 요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리의 특성 요약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65dB(A) 일반적인 대화에서의 평균 음압레벨
소리의 세계 2주차 - 손을 대지 않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 공명현상
소리의 세계 3주차 - 소리도 빛처럼 그림자를 만들수 있다
소리의세계 4주차 - 1.소리의 전파
소리의 세계 5주차 - 1. 음원의 특성
6주차 - 1. 소리를 전달하는 귀의 구조
소리의 세계 7주차 - 1. 소리와 에너지
8장 사운드 마스킹
소리의 세계 10주차 - 1. 백색소음의 정의
10장 저주파와 고주파의 특성
11장 소음이란 무엇인가?
제13주차 - 1. 물을 이용한 악기 연주와 원리
13장 소리의 심리음향 효과
14장 우리의 아름다운 소리

본문내용

파수에 위치하는 다른 소리가 큰 소리에 가려 들리지 않거나, 청각에서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의 크기 레벨이 줄어드는 현상
시간 마스킹 : 시간으로 진행되는 음에서 앞에 강한 음이 나오고 뒤에 약한 음이 나오는 경우, 뒤의 약한 음이 잘 들리지 않느 현상
칵테일 파티 효과
: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혼잡한 속에서도 듣고자 하는 상대의 목소리를 명확히 알아 들을수 있는 효과
방향 지각
: 눈을 감고 있어도 소리가 어느 쪽에서 들려오는가를 쉽게 인지 가능함
좌우 귀에 도달하는 음파의 시간 차이와 레벨 차이를 가지고 지각함
선행음 효과
하나의 음원을 두 개의 스피커에서 지연 없이 재생하면 음을 정중아에서 느끼게 되지만, 한 쪽 스피커에서 서서히 지연 시간을 주면, 지연이 없는 스피커에서 지연이 있는 스피커 쪽으로 음이 이동해가는 것을 느낄 수 있음
4. 마크의 종류 및 음향 특성
1) 마이크의 종류
마이크 : 음향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기기
흡입부 : 음파를 받는 부분, 변환부 :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부분, 출력부 : 전기출력을 얻는 부분
진동판
음파의 음압변화→(변환) 기계의 진동 →(출력) 전기 신호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구조
진동파 뒤에 보이스코일을 부착해 그 주위를 영구자석이 감싸는 구조로 구성됨
고정된 후면 판과 움직이는 전면의 진동판으로 구성됨
원리
자계 중 전선을 움직이면, 그 전선의 운동 속도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이용
진동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기전력이 코일에 발생되는 원리
콘덴선의 원리 활용
진동판을 자극시키면 양극 사이의 용량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
특징
추가전압 없이 작동함
내구력이 강함
큰소리에 대해 일그러짐이 적음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됨
콘덴서의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48V의 전원이 필요함
비교적 음질이 좋으나 큰 음앞에 약한 편임
2) 음향 특성
마이크 지향특성 : 마이크를 향한 주위의 음에 대한 감도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
무지향성 : 진동파의 뒤가 음향적으로 밀폐되어 주변음을 상쇄시키지 않음
모든 방향의 소리를 똑같은 감도로 포착함
단일지향성 : 뒷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만들어 뒤에서 입하는 음파는 앞·뒷면의 위상차이로 상쇄되도록 됨 → 마이크 정면 방향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픽업, 정면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의 음 에너지는 수음하는 양이 작아짐 → 0도에서 최대, 180도에서 최소의 감도로 소리를 받아들임
양지향성 : 뒤가 비어 있는 진동판에 기준 축의 방향에서 음파가 반사되어 입사 →음파는 진동판의 뒤로도 회절되어 진동판의 앞과 뒤의 음압차에 비례한 출력 전압이 얻어짐
0도와 180도에서는 최대, 90도에서는 최소의 감도로 소리를 받아들임 →8자 형태의 특성
초지향성
: 음파의 간섭을 이용한, 수음 범위는 좁으나, 거리가 긺. Null Angle의 크기
마이크 주파수특성 : 마이크가 수음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
소리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녹음하려면, 마이크 주파수특성은 반드시 수음하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보다 넓어야 한다.
6주차
1. 소리를 전달하는 귀의 구조
1) 소리의 전달
소리→ 공기의 떨림→귓바퀴→귓구멍→고막의 진동→청각소골, 난원창→내이(림프액이 들어있는 관)→ 전기적 에너지→신경
외이는 소리를 모아 고막으로 전달하는 통로
중이는 소리를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
내이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꿈, 뇌로 전달하여 사람이 소리를 인지하게 함
2)귀의 구조
①외이
귓바퀴 : 소리를 모아줌, 소리의 방향성을 판단, 모든 주파수 대역을 3~5dB 정도 증폭시켜 줌
외이도(귓구멍): 고막을 보호하는 기능, 길이 3cm, 직경 약 0.7cm정도의 원통형의 고나
내부에서 공명을 만들어 3~5kHz대역을 10dB정도
증폭
-외이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 진동수가 3~5kHz이기때문
-3~5kHz대역은 주로 사람 목소리의 명료도에 해당
-다른 소리보다 사람의 목소리를 더 잘 구분하게 만들어 줌
-다른 소리보다 사람의 목소리를 더 잘 구분하게 만들어 줌
② 고막
고막 : 탄력이 뛰어난 얇은 막, 공기의 아주 미세한 진동까지 감지, 연령별로 상태의 차기가 많이 남, 공기의 진동을 세 청각소골의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함
청각소골 :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 : 각기 다른 길이와 크기의 비율이 지렛대 효과를 일으킴, 진동을 약 30~40dB정도 증폭시킴, 고리뼈 끝은 증폭된 진동을 달팽이 관에 전달함
③달팽이관
에너지 변환기 : 진정계와 고실계에 림프액이 흘러 다님- 진동에 의해 함께 진동함
와우각관의 미세한 털세포 - 림프액의 진동에 따라 움직여 전기를 발생함→ 발생된 전기신호를 청각신경이 뇌에 전달함
주파수 분석 : 난원창에 늘어져 있는 털세포들이 고음에서 저음까지를 분석해서 신경세포로 전달함
2. 소리와 청각연령
1)가청 주파수 : 들을 수 이쓴 소리의 한계는 소리으 주파수와 세기에 따라 결정
20Hz(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낮은 소리)~20,000Hz(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소리)
어린이는 어른보다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2) 소리로 체대차이 확인하기
틴벨 : 10대들은 들을 수 있으나 30~40대 이상부터는 들을 수 없는 대역의 휴대폰 벨소리
노인성 난청 ;
달패이관 입구는 고주파 감지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입구 쪽의 유모 세포 손상→ 고주파음을 듣지 못하게 됨
3) 난청 : 청력이 저하된 상태, 최소 가청 한계가 어느 정도 기준 이상 상승한 상태
① 연령의 증가 ② 귓병이나 약물의 부작용 ③ 선천적
“최소가청한계=최고가청한계= 청력이 사라짐
난청의 종류
① 전음성 난청 : 소리가 전달되는 과정이 잘못된 경우, 외나 중이에 질환이 생긴 경우 유발
② 감음신경성 난청 : 소리가 전기적 신호로 바뀌는 과정이 잘못된 경우, 청신경세포나 청신경의 손상으로 유발
③ 중이성 난청 : 고막이 찢어진 경우, 보청기로 대체할 수 있음
④ 직업성 난청 : 조선소나 비행장 등 소음이 심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병, 근본적 치료법은 없고 귀마개를 착용하여 예방하는 방법밖에 없음
⑤ 노인성 난청 : 청력의 쇠테어서 오는 생리적인 현상
4) 청력검사 : 멀티미디어 보금으로 인행 청력 손실이

키워드

  • 가격12,6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