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알루미늄과 그 합금의 용접
2. 마그네슘과 그 합금의 용접
3. 동과 그 합금의 용접
4. 티탄과 그 합금의 용접
5. 지르코늄과 그 합금의 용접
6. 원자로 구조용 금속의 용접
2. 마그네슘과 그 합금의 용접
3. 동과 그 합금의 용접
4. 티탄과 그 합금의 용접
5. 지르코늄과 그 합금의 용접
6. 원자로 구조용 금속의 용접
본문내용
0
1.50
Si 2.00~3.09
Mn 1.25이하
Si 0.75~2.00
Mn 0.75이하
A
A
35~47
20~35
13
8
40
35
알 청
루
미
늄 동
5Al
10Al
92~96
나머지
-
-
Al 4.0~7.0
Fe 0.5이하
Al 8.0~11.0
Ni 4.0~7.0
Fe 1.5~3.5
A
CW
A
32
35~42
63
12
14~17
25
40
30~25
10
니 청
켈 동
20Ni
30Ni
18Ni
나머지
나머지
53.5~56.5
≤1.0
≤1.0
나머지
Ni 19~23,
Sn≤1.0
Ni 29~33,
Sn≤1.5
Ni 16.5~19.5
-
A
A
A
34~37
35
42
9~16
14
19
35
35
40
기공
정동은 산소 0.04~0.0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산소는 가시불꽃 또는 아크 분위기 중 의 수소와 반응하여 수증이가 생겨서 다공질로 된다. 기공을 방지하려면 모재나 용가재도 완전히 탈산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모재가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경우에는 용가재에는 탈산제를 포함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균열
보통은 순동 용접부가 균열되는 것은 적지만, 후판에는 더욱 구속이 강할 때에는 고온균 열이 일어난다. 또, 동 합금에서는 균열의 경향이 강하게 된다. 결정립계에 편석하게 쉬운 불순물, 특히 납과 창연이 존재하면 저융점의 불순물이 생기므로 결정립계에 균열이 잘 생긴다. 용접균연을 방지하려면 모재와 용가재의 재질을 변화할거스 정당한 예열을 하고 수축응력을 줄일 것, 과도한 입열이나 위빙을 피하고 작선 비드를 사용하는 것 등이다.
열여향
냉간 가공한 동 합금은 섭씨 수 1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재결정하여 연화하기 시작하며, 온도상승과 동시에 경ㄷ와 강도가 갑자기 저하한다. 따라서, 용접에서 약 400℃ 이상으로 가열된 부분은 가공경화가 소실되어 어닐링 상태에 가까워지고, 이음강도가 어닐링 모재 와 같은정도로 저하한다.
3)용접방법
개요
동 합금의 용융용접에는 가스 용접과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이 많이 사용되며, 또 서브 머지드 아크 용접도 실용화되어 있지만 , 피복 아크 용접은 슬래그 섞임과 기공이 발생이 많아서 실용이 약간 곤란하다. 또, 탄소 아크 용접도 탈산동의 용접에 사용된다. 이 외에, 저항 용접은 극박판에 사용되며, 또 압접도 이용할 수 있고, 납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접봉
피복 아크 용접봉으로 KS D 7012가 규정되어 있지마느 AWS규격화 화학성분보다도
약간 범위가 넓다.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은 열 집중이 좋으므로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동 합금 의 용접에는 매우 유효 하다.
●동의 TIG용접
동의 TIG 용접에는 직류 정극성이 좋다. 동은 열전도가 좋으므로, 판두께 6mm 이상 에는 200℃정도의 판두께 12mm 이상에는 300~400℃정도의 예열을 하면 용접속도를 증대할수 있다.
●동의 MIG용접
두께 6mm이상의 TIG용접은 높은 예열온도와 고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MIG용접 쪽이 적당하다.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에 비하여 매우 큰 전류가 필요한 것을 알수
있다.
기타
동 및 동합금의 가스용접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방법이며, 최근에는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에 뒤떨어지고 있지만, 설비비가 싸므로 지금도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 합금에는 피복 아크 용접도 이용되지만, 슬래그 섞임이나 기공발생이 많으므로 불활성 가 스 아크 용접에 비하여 성질이 떨어진다.
티탄과 그 합금의 용접
1)종류
개요
티탄가 그 합금은 많은 합금강과 같은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비중이 약 4.5로 강보다 30~40% 가볍고, 400~480°C의 고온까지 유효한 강도를 유지할수 있다. 더욱 많은 화학약 품과 매질에 대하여 우수한 내식성이 있으므로, 현재는 티탄과 그 합금은 항공기체, 제트 엔진, 가스터빈, 병기 및 화학 공업장치에 실제로 이용되고, 또 미사일, 선박, 자동차, 철 도, 석유공업 및 그 외의 내식재료로서 매우 유망하다.
티탄
티탄은 고순도일 때는 연하지만, 불순물이 들어가면 갑자기 강하고, 여려진다. 예를 들면 탄소, 질소, 산소는 0.1~0.2%의 소량에서도 티탄은 단단하고 여려진다. 공업용 티탄의 인 장강도는 45~65kg/mm², 내력 35~50kg/mm², 연신율 30~15% 정도이므로, 강도는 연 강, 고장력강 및 스테인리스강 급이다.
티탄 합금
티탄에는 2가지의 결정형이 있으며, 상온에서는 조밀육방격자이고, 882°C이상에서는 체 심입장격자 이다. 티탄합금은 그 강도를
1.50
Si 2.00~3.09
Mn 1.25이하
Si 0.75~2.00
Mn 0.75이하
A
A
35~47
20~35
13
8
40
35
알 청
루
미
늄 동
5Al
10Al
92~96
나머지
-
-
Al 4.0~7.0
Fe 0.5이하
Al 8.0~11.0
Ni 4.0~7.0
Fe 1.5~3.5
A
CW
A
32
35~42
63
12
14~17
25
40
30~25
10
니 청
켈 동
20Ni
30Ni
18Ni
나머지
나머지
53.5~56.5
≤1.0
≤1.0
나머지
Ni 19~23,
Sn≤1.0
Ni 29~33,
Sn≤1.5
Ni 16.5~19.5
-
A
A
A
34~37
35
42
9~16
14
19
35
35
40
기공
정동은 산소 0.04~0.0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산소는 가시불꽃 또는 아크 분위기 중 의 수소와 반응하여 수증이가 생겨서 다공질로 된다. 기공을 방지하려면 모재나 용가재도 완전히 탈산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모재가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경우에는 용가재에는 탈산제를 포함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균열
보통은 순동 용접부가 균열되는 것은 적지만, 후판에는 더욱 구속이 강할 때에는 고온균 열이 일어난다. 또, 동 합금에서는 균열의 경향이 강하게 된다. 결정립계에 편석하게 쉬운 불순물, 특히 납과 창연이 존재하면 저융점의 불순물이 생기므로 결정립계에 균열이 잘 생긴다. 용접균연을 방지하려면 모재와 용가재의 재질을 변화할거스 정당한 예열을 하고 수축응력을 줄일 것, 과도한 입열이나 위빙을 피하고 작선 비드를 사용하는 것 등이다.
열여향
냉간 가공한 동 합금은 섭씨 수 1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재결정하여 연화하기 시작하며, 온도상승과 동시에 경ㄷ와 강도가 갑자기 저하한다. 따라서, 용접에서 약 400℃ 이상으로 가열된 부분은 가공경화가 소실되어 어닐링 상태에 가까워지고, 이음강도가 어닐링 모재 와 같은정도로 저하한다.
3)용접방법
개요
동 합금의 용융용접에는 가스 용접과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이 많이 사용되며, 또 서브 머지드 아크 용접도 실용화되어 있지만 , 피복 아크 용접은 슬래그 섞임과 기공이 발생이 많아서 실용이 약간 곤란하다. 또, 탄소 아크 용접도 탈산동의 용접에 사용된다. 이 외에, 저항 용접은 극박판에 사용되며, 또 압접도 이용할 수 있고, 납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접봉
피복 아크 용접봉으로 KS D 7012가 규정되어 있지마느 AWS규격화 화학성분보다도
약간 범위가 넓다.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은 열 집중이 좋으므로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동 합금 의 용접에는 매우 유효 하다.
●동의 TIG용접
동의 TIG 용접에는 직류 정극성이 좋다. 동은 열전도가 좋으므로, 판두께 6mm 이상 에는 200℃정도의 판두께 12mm 이상에는 300~400℃정도의 예열을 하면 용접속도를 증대할수 있다.
●동의 MIG용접
두께 6mm이상의 TIG용접은 높은 예열온도와 고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MIG용접 쪽이 적당하다.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에 비하여 매우 큰 전류가 필요한 것을 알수
있다.
기타
동 및 동합금의 가스용접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방법이며, 최근에는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에 뒤떨어지고 있지만, 설비비가 싸므로 지금도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 합금에는 피복 아크 용접도 이용되지만, 슬래그 섞임이나 기공발생이 많으므로 불활성 가 스 아크 용접에 비하여 성질이 떨어진다.
티탄과 그 합금의 용접
1)종류
개요
티탄가 그 합금은 많은 합금강과 같은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비중이 약 4.5로 강보다 30~40% 가볍고, 400~480°C의 고온까지 유효한 강도를 유지할수 있다. 더욱 많은 화학약 품과 매질에 대하여 우수한 내식성이 있으므로, 현재는 티탄과 그 합금은 항공기체, 제트 엔진, 가스터빈, 병기 및 화학 공업장치에 실제로 이용되고, 또 미사일, 선박, 자동차, 철 도, 석유공업 및 그 외의 내식재료로서 매우 유망하다.
티탄
티탄은 고순도일 때는 연하지만, 불순물이 들어가면 갑자기 강하고, 여려진다. 예를 들면 탄소, 질소, 산소는 0.1~0.2%의 소량에서도 티탄은 단단하고 여려진다. 공업용 티탄의 인 장강도는 45~65kg/mm², 내력 35~50kg/mm², 연신율 30~15% 정도이므로, 강도는 연 강, 고장력강 및 스테인리스강 급이다.
티탄 합금
티탄에는 2가지의 결정형이 있으며, 상온에서는 조밀육방격자이고, 882°C이상에서는 체 심입장격자 이다. 티탄합금은 그 강도를
추천자료
Translation(해독)
[사회과학] 보육, 장애, 빈곤, 미혼모, 학대, 입양, 소년소녀, 가정위탁-내용요약정리
레위기 요약 정리
보육, 장애, 빈곤, 미혼모, 학대, 입양, 소년소녀, 가정위탁-내용요약정리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1-2페이지),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2-3페이지)을 요...
글쓰기와 의사소통 <공동체주의의 두 축> (형식단락 나누기, 개요작성, 요약정리, 전제, 주장...
2014년 1학기 교육공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1-4장 주제선정 후 요약정리)
2016년 1학기 교육공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1-4장 주제선정 후 요약정리 및 제안)
한국어교재론 -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특정 목적 한국어 교재를 1종씩 선정하여 각 교재의...
정형외과 실습일지(2주일)A+++(입퇴원 진단명,요일 주제별 요약/정리(case환자 문헌고찰부터~...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치료이론 중 엘리스의 A-B-C-D-E 이론을 요약 정리하고, 구체적인 예...
2018년 1학기 교육공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1-4장 주제선정 후 요약정리 및 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