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서 론
……………………………………………………
1. 기업선정동기
……………………………………………
2. 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진출 현황
………………
Ⅲ. 본 론
……………………………………………………
1. 인도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2. 북미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3. 유럽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4. 중국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Ⅳ. 결 론
……………………………………………………
첨부
1. 사례조사를 하며
2. PPT
3. 참고자료
……………………………………………………
1. 기업선정동기
……………………………………………
2. 현대자동차의 해외시장 진출 현황
………………
Ⅲ. 본 론
……………………………………………………
1. 인도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2. 북미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3. 유럽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4. 중국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
Ⅳ. 결 론
……………………………………………………
첨부
1. 사례조사를 하며
2. PPT
3.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 성장하고 인도 사회와 경제에 기여할 자동차 기업으로 인도인에게 각인되도록 노력하였다.
③ 탁월한 포지셔닝 선택
초기에 1000cc 소형차 시장을 과감히 타켓으로 선정, 구식모델에 식상해 있던 인도 소비자들에게 최신 디자인과 적절한 브랜드 포지셔닝, 유럽수준의 품질 등으로 호감을 이끌어 낸 것도 성공요인이다.
④ 인도 국민의 특성을 고려한 제품
인도인들의 강한 자존심은 타국 기업에 대한 반감으로 연결되어, 구모델을 인도내에 들여와 수익성만을 추구하는 타국의 기업들을 배척하는 성향을 초래했다. 이 점도 현대자동차가 기존의 모델을 그대로 판매하는 것보다는 수정토록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⑤ 인도형 모델을 개발
현대자동차는 인도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현지 상황을 고려한 제품을 수정하였다.
- 기후적 측면 고려
인도는 날씨가 대단히 고온 다습하다. 여름의 경우 섭씨 48도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엔진이 과열될 염려가 있어 엔진 쿨링 기능을 강화하고 에어컨디셔너에도 신경을 썼다. 또한 많은 강우량에도 불구하고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도로사정을 감안하여 현대자동차는 이를 극복하기위해 차량이 빗물에 잠기지 않게 바닥에 위치한 엔진 제어센서를 위쪽으로 바꾸고,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자체를 보완하는 방수형 ECU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적인 정비망을 구축했다.
-운행 습관 고려
한국인의 운행 습관은 가능하면 빨리 가려는 고속운행 중심이다. 그렇지만, 인도인들의 운전 습관은 평균 주행속도 시속 40~60킬로미터로 빠르지 않고, 추월 시에만 엄청난 가속을 할 뿐 전반적으로 단거리 중저속 운행 중심임에 착안해 Power Train을 적용하였다.
-도로 상황 고려
인도의 도로 상황은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중앙성이 없는 2차선의 고속도로에 무단 횡단도 빈번하며, 종교적 특성상 차도로 소가 지나다니기도 한다. 이러한 무질서한 도로 상황 때문에 Horn과 브레이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승차 형태 고려
한국인들은 경차를 탈 때 좁다는 생각 때문에 주로 앞좌석만 이용할 뿐이지 뒷좌석에 승객이 태우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경차에도 좌석이 꽉 차도록 승객을 태우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8명까지 타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정원초과가 빈번하여 과적 비율이 높은데다가, 도로 포장률이 높지 않은 점도 고려하여 Suspension 보강에도 역점을 두었다.
2. 북미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1) 북미 시장현황
2011년 5월 현대ㆍ기아차의 미국 승용차 시장 점유율이 14%를 넘어섰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승용차 7대 중 1대가 현대ㆍ기아차였던 셈이다. 현대자동차그룹 등에 따르면 올 5월 미국 승용차 시장에서 현대ㆍ기아차는 7만6675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전체 승용차 판매량 54만2916대의 14.1%에 달하는 수치다. 현대ㆍ기아차가 미국에서 팔고 있는 차량은 승용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두 종류다. 주요 판매차종 중 하나인 픽업은 생산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승용차와 SUV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장 점유율은 지난달에서야 겨우 두자릿수를 넘어섰다.
현대ㆍ기아차의 승용차 돌풍 주역은 미국 현지에서 생산ㆍ판매되고 있는 쏘나타와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다. 쏘나타는 올 3월 이후 3개월 연속 2만대 이상 판매량을 올리며 현대ㆍ기아차의 현지 판매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도요타 캠리와 혼다 어코드 등 경쟁 차종을 따돌리는 기염을 토했다. 아반떼도 현대ㆍ기아차 승용차 돌풍에 힘을 싣고 있다. 올 4월 2만2100대가 팔려 나가며 처음 미국 2만대 고지를 밟은 후 지난달에도 2만대를 넘어서는 등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4월에는 준중형급 승용차의 대명사 격인 도요타 코롤라와 혼다 시빅마저 제치고 쉐보레 크루즈, 포드 포커스에 이어 3위에 랭크됐다. 여기에 3월 이후 3개월 연속 1만대 판매를 잇고 있는 기아차 쏘울과 스테디셀러 포르테,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선 K5(현지명 뉴 옵티마) 등도 판매 순위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미국에서 새롭게 출시된 차량이 선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 K5의 미국 현지 생산ㆍ판매 등을 감안하면 미국 승용차 시장 돌풍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비교 범위를 현대ㆍ기아차가 본격 경쟁을 펼치고 있는 승용차 시장으로 좁히면 지난달 시장 점유율은 14%를 웃돌았다. 2008년 6.4%와 견주면 배 이상 늘었다. 1986년 현대차가 엑셀을 앞세워 미국 시장 문을 두드린 지 25년 만에 거둔 성과다.
2) 북미 시장의 이문화
①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한 실물 경제 침체 때문에 미국 자동차 시장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② 미국은 딜러망을 통하여 자동차를 구매하는 환경이 일반화되어 있다.
③ 한글과 영어의 발음 차이에서 비롯된 HYUNDAI는 미국에서 ‘현대’가 아닌‘현다이’로 불리며 ‘현대차=싸구려’라는 이미지가 이어지면서 오히려 현대차의 프리미엄 이미지 전략에 장애로 작용하였다.
④ 미국인들은 \'made in USA‘에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⑤ 미국은 전 세계 최고의 시장인 만큼 면적이 넓고 자원이 풍부하고 인구도 많으며 인종 또한 다양하다.
3) 현대자동차의 극복 전략
①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현대차는 국내에서는 현대캐피탈을 통해, 미국에서는 현대자동차금융회사 (HMFC)를 통해 할부 및 리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대캐피탈은 9월 기준 ‘업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의 자동차 금융 상품은 신차·중고차할부, 자동차리스, 장기렌터카, 법인리스·렌터카로 총 5개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신차·중고차 할부제도, 자동차리스(클라스오토)제도는 현대캐피탈 부동의 1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신차 및 중고차 할부는 연 7.95%정도의 낮은 금리, YF쏘나타의 경우에는 ‘연 1% 초저가금리 이벤트’와, 자동차 사고 시 본인과실 50% 미만이면서 자차 30% 이상 파손됐을 경우에 신차로 교환 및 사고위로금 100만원을 지급해주는 \'신차교환서비스’를 통해 판매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리스, 일명 ‘클라스오토’는 업계최대 차량 잔존가치 설정, 현대·기아네트
③ 탁월한 포지셔닝 선택
초기에 1000cc 소형차 시장을 과감히 타켓으로 선정, 구식모델에 식상해 있던 인도 소비자들에게 최신 디자인과 적절한 브랜드 포지셔닝, 유럽수준의 품질 등으로 호감을 이끌어 낸 것도 성공요인이다.
④ 인도 국민의 특성을 고려한 제품
인도인들의 강한 자존심은 타국 기업에 대한 반감으로 연결되어, 구모델을 인도내에 들여와 수익성만을 추구하는 타국의 기업들을 배척하는 성향을 초래했다. 이 점도 현대자동차가 기존의 모델을 그대로 판매하는 것보다는 수정토록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⑤ 인도형 모델을 개발
현대자동차는 인도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현지 상황을 고려한 제품을 수정하였다.
- 기후적 측면 고려
인도는 날씨가 대단히 고온 다습하다. 여름의 경우 섭씨 48도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엔진이 과열될 염려가 있어 엔진 쿨링 기능을 강화하고 에어컨디셔너에도 신경을 썼다. 또한 많은 강우량에도 불구하고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도로사정을 감안하여 현대자동차는 이를 극복하기위해 차량이 빗물에 잠기지 않게 바닥에 위치한 엔진 제어센서를 위쪽으로 바꾸고,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자체를 보완하는 방수형 ECU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적인 정비망을 구축했다.
-운행 습관 고려
한국인의 운행 습관은 가능하면 빨리 가려는 고속운행 중심이다. 그렇지만, 인도인들의 운전 습관은 평균 주행속도 시속 40~60킬로미터로 빠르지 않고, 추월 시에만 엄청난 가속을 할 뿐 전반적으로 단거리 중저속 운행 중심임에 착안해 Power Train을 적용하였다.
-도로 상황 고려
인도의 도로 상황은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중앙성이 없는 2차선의 고속도로에 무단 횡단도 빈번하며, 종교적 특성상 차도로 소가 지나다니기도 한다. 이러한 무질서한 도로 상황 때문에 Horn과 브레이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승차 형태 고려
한국인들은 경차를 탈 때 좁다는 생각 때문에 주로 앞좌석만 이용할 뿐이지 뒷좌석에 승객이 태우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경차에도 좌석이 꽉 차도록 승객을 태우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8명까지 타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정원초과가 빈번하여 과적 비율이 높은데다가, 도로 포장률이 높지 않은 점도 고려하여 Suspension 보강에도 역점을 두었다.
2. 북미시장 이문화 극복 사례
1) 북미 시장현황
2011년 5월 현대ㆍ기아차의 미국 승용차 시장 점유율이 14%를 넘어섰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승용차 7대 중 1대가 현대ㆍ기아차였던 셈이다. 현대자동차그룹 등에 따르면 올 5월 미국 승용차 시장에서 현대ㆍ기아차는 7만6675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전체 승용차 판매량 54만2916대의 14.1%에 달하는 수치다. 현대ㆍ기아차가 미국에서 팔고 있는 차량은 승용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두 종류다. 주요 판매차종 중 하나인 픽업은 생산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승용차와 SUV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장 점유율은 지난달에서야 겨우 두자릿수를 넘어섰다.
현대ㆍ기아차의 승용차 돌풍 주역은 미국 현지에서 생산ㆍ판매되고 있는 쏘나타와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다. 쏘나타는 올 3월 이후 3개월 연속 2만대 이상 판매량을 올리며 현대ㆍ기아차의 현지 판매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도요타 캠리와 혼다 어코드 등 경쟁 차종을 따돌리는 기염을 토했다. 아반떼도 현대ㆍ기아차 승용차 돌풍에 힘을 싣고 있다. 올 4월 2만2100대가 팔려 나가며 처음 미국 2만대 고지를 밟은 후 지난달에도 2만대를 넘어서는 등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4월에는 준중형급 승용차의 대명사 격인 도요타 코롤라와 혼다 시빅마저 제치고 쉐보레 크루즈, 포드 포커스에 이어 3위에 랭크됐다. 여기에 3월 이후 3개월 연속 1만대 판매를 잇고 있는 기아차 쏘울과 스테디셀러 포르테, 본격 시장 공략에 나선 K5(현지명 뉴 옵티마) 등도 판매 순위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미국에서 새롭게 출시된 차량이 선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 K5의 미국 현지 생산ㆍ판매 등을 감안하면 미국 승용차 시장 돌풍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비교 범위를 현대ㆍ기아차가 본격 경쟁을 펼치고 있는 승용차 시장으로 좁히면 지난달 시장 점유율은 14%를 웃돌았다. 2008년 6.4%와 견주면 배 이상 늘었다. 1986년 현대차가 엑셀을 앞세워 미국 시장 문을 두드린 지 25년 만에 거둔 성과다.
2) 북미 시장의 이문화
①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한 실물 경제 침체 때문에 미국 자동차 시장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② 미국은 딜러망을 통하여 자동차를 구매하는 환경이 일반화되어 있다.
③ 한글과 영어의 발음 차이에서 비롯된 HYUNDAI는 미국에서 ‘현대’가 아닌‘현다이’로 불리며 ‘현대차=싸구려’라는 이미지가 이어지면서 오히려 현대차의 프리미엄 이미지 전략에 장애로 작용하였다.
④ 미국인들은 \'made in USA‘에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⑤ 미국은 전 세계 최고의 시장인 만큼 면적이 넓고 자원이 풍부하고 인구도 많으며 인종 또한 다양하다.
3) 현대자동차의 극복 전략
① 현대차의 강점인 ‘할부·리스제도’
현대차는 국내에서는 현대캐피탈을 통해, 미국에서는 현대자동차금융회사 (HMFC)를 통해 할부 및 리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대캐피탈은 9월 기준 ‘업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의 자동차 금융 상품은 신차·중고차할부, 자동차리스, 장기렌터카, 법인리스·렌터카로 총 5개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신차·중고차 할부제도, 자동차리스(클라스오토)제도는 현대캐피탈 부동의 1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신차 및 중고차 할부는 연 7.95%정도의 낮은 금리, YF쏘나타의 경우에는 ‘연 1% 초저가금리 이벤트’와, 자동차 사고 시 본인과실 50% 미만이면서 자차 30% 이상 파손됐을 경우에 신차로 교환 및 사고위로금 100만원을 지급해주는 \'신차교환서비스’를 통해 판매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리스, 일명 ‘클라스오토’는 업계최대 차량 잔존가치 설정, 현대·기아네트
추천자료
중소기업의 국제 마케팅 믹스 전략 (대구 지역 - 쉬메릭, 청석)
아모레 퍼시픽의 'Lolita Lempicka' 향수의 현지화 성공사례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품질경영(TQM)의 원천과 활동요인 및 경영성과
글로벌 경영환경
마이크로소프트(MS)의 국제화전략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국제화 전략
[경영용어][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해설][경제][경영]경영경제용어(경영용어, ...
글로벌 기업의 광고 전략
글로벌 경영을 향한 ‘로레알(L'OREAL)’의 전략.
무역계약의 성립요건과 단계
[기아자동차 기업분석]기아차 경영전략,기아자동차 디자인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현대건설 대우건설 소개 및 이념-경영철학,경영전략사례,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야후 Yahoo! - 야후소개,야후글로벌전략사례,야후경영전략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신한은행 소개,경영철학 경영원칙,신한은행 조직구조,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