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신연의 5회 6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봉신연의 5회 6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봉신연의 5회 운중자가 검을 진상해 요괴를 베게 하다
봉신연의 제 6회 주왕이 무도하게 포락의 형벌을 만들다

본문내용

聞言,轉怒爲喜曰:“方道者見朕稽首而不拜,大有慢君之心。今所答之言,甚是有理,乃通知通慧之大賢也。”
주왕문언 전노위희왈 방도자견짐계수이불배 대유만군지심 금소답지언 심시유리 내통지통혜지대현야.
주왕이 말을 듣고 분노가 기쁨이 되어서 말했다. “도사께서 짐에게 머리만 숙이고 절하지 않아 크게 군주를 태만히 하는 마음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지금 대답하는 말이 매우 이치가 있으니 지혜가 통하는 큰 현인이십니다.”
命左右賜坐。
명좌우사좌.
좌우를 시켜 자리를 주게 했다.
雲中子也不謙讓,旁側坐下。
운중자야불겸양 방측좌하.
운중자는 겸양하지 않고 옆의 자리에 앉았다.
雲中子欠身而言曰:“原來如此,天子只知天子貴,三元來道德尊。”
운중자흠신이언왈 원래여차 천자지지천자귀 삼교원래도덕존.
운중자는 몸을 굽히며 말했다. “원래 이와 같습니다. 천자께서는 단지 천자가 귀함만 아시고 3교가 원래 도덕이 높습니다.”
王曰:“何見其尊?”
왕왈 하견기존?
주왕이 말했다. “어찌 그 존귀함을 압니까?”
雲中子曰:“聽衲子 衲(기울 납; -총9획; na)子:소승, 납의를 입은 승려, ‘중’
說來:
운중자왈 청납자설래.
운중자가 말했다. 제 말을 들어보십시오.
 “但觀三,惟道至尊。上不朝於天子,下不謁於公卿;
단관삼교 유도지존 상부조어천자 하불알어공경.
단지 3교를 보면 오직 도교가 지존입니다. 위로는 천자에 조회하지 않고 아래로는 공경을 배알하지 않습니다.
避樊籠 樊 [fanlong]:새장, 자유롭지 못한 처지
而隱跡,脫俗網以修,樂林泉 林泉 [linquan]:숲과 샘, 물러나 은거하는 곳, 은거하는 곳
兮名利,隱岩谷兮忘辱忘榮。
피번롱이은적 탈속망이수진 락임천혜절명절리 은암곡혜망욕망영.
새장을 피하여 자취를 숨기며 속세 그물을 벗어나서 진리를 닦고 숲과 샘에 즐기며 명예와 이익을 끊고, 바위 골짜기에 숨어 욕됨도 잊고 영예도 잊습니다.
頂星冠而曜日,披布衲以 兮(어조사 혜; -총4획; x)의 원문은 以(써 이; -총5획; y)이다.
長春 長春: 늘 봄과 같음
。或蓬頭而跣足,或 (가장귀 아; -총3획; ya)(상투 계; -총16획; ji) [yji]: 아이들의 머리를 두 가닥으로 빗어 올려 귀 뒤에서 두 개의 뿔처럼 둥글게 매던 것
而幅巾 幅(폭 폭; -총12획; fu)巾:=(건 복; -총15획; pu)巾, 도복에 갖추어서 머리에 쓰던 쓰개의 하나. 검은 헝겊으로 위는 둥글고 삐죽하게 만들며, 뒤에는 낮은 자락이 길게 늘어지고 양 옆에 끈이 있어서 뒤로 돌려 매게 되어 있다.

정성관이요일 피포납이장춘 혹봉두이선족 혹아계이폭건.
정수리에 성관을 쓰며 헤진 베를 입고 봄과 같습니다. 혹 봉두난발과 맨발을 하거나 혹은 두 뿔모양 머리 상투나 복건을 씁니다.
摘鮮花而笠 (섬돌, 겹쳐놓다 체; -총9획; qi,qie) 笠(우리, 구릿대 립{입}; -총11획; li)
,折野草以鋪茵,吸甘泉而漱齒,嚼松柏以延齡。
적선화이체립 절야초이포인 흡감천이수치 작송백이연령.
신선한 꽃을 따며 구릿대를 겹쳐 놓고 들풀을 꺽어서 돗자리를 만들며 단 샘을 마시며 이를 양치질하며 소나무 잣나무를 먹어 나이를 늘립니다.
歌之 高歌의 원문은 歌之이다.
鼓掌,舞罷眠雲。
가지고장 무파면운.
시끄럽게 노래하며 손바닥을 치며 춤춤이 끝나면 구름에서 잡니다.
遇仙客兮,則求玄問道;會道友兮,則詩酒談文 元(으뜸 원; -총4획; yuan)의 원문은 文(글월 문; -총4획; wen)이다.

우선객혜 즉구현문도 회도우혜 즉시주담문.
신선 손님을 만나면 현묘한 문답을 구합니다. 도사친구를 만나면 시와 술에 문장을 담론합니다.
笑奢華 奢 [shhua]:사치스럽고 화려하다, 아름답다, 호화롭다
而濁富,樂自在之貧。
소사화이탁부 락자재지청빈.
사치 화려하며 혼탁한 부를 비웃고 자유자재한 청빈을 즐깁니다.
無一毫之,無半點之牽纏 [qinchan]:진대 붙이다, 끈덕지게 따라붙다, 엉겨 붙다

무일호지애 무반점지견전
한털만큼의 장애도 없고 반점의 엉겨붙음도 없습니다.
或三二而參玄論道,或兩兩 [ling ling]:둘씩 둘씩, 쌍쌍으로
而究古談今。
혹삼이이참현론도 혹양양이구고담금.
혹 두세명이 현묘한 도를 논의하는데 참여하며 혹은 쌍쌍으로 고대를 연구하며 지금을 담론합니다.
究古談今兮,歎前朝之興廢;
구고담금혜 탄전조지흥폐.
고대를 연구하며 지금을 말함에 전 조정의 흥성과 피폐함을 한탄합니다.
參玄 參玄: ① 스승을 찾아뵙고 가르침을 배움. ② 깊은 이치를 꿰뚫어 밝히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論道兮,究性命之根因 根因:近因, 어떤 일의 근본이 되는 원인(原因)

참현론도혜 구성명지근인.
깊은 이치를 참구하며 도를 논의하며 성명의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합니다.
任寒暑之更變 更 [gngbian]:변경, 개변, 변경하다
,隨烏免之逡巡 逡巡 [qnxun]:주저주저하다, 우물쭈물하다, 머뭇거리다.

임한서지갱변 수오토지준순.
춥고 더위의 변화를 맡기고 까마귀와 토끼가 머뭇거림을 따릅니다.
蒼返少,白髮還。
창안반소 백발환청.
푸른 얼굴이 소년으로 돌아가고 백발이 반대로 푸르러진다.
簞瓢兮,到市纏而乞化,聊以充饑;提花籃兮,進山林而采藥,臨難濟人。
휴단표혜 도시전이걸화 료이충기 제화람혜 진산림이채약 임난제인.
한 표주박만 들고 시장에 이르러서 구걸을 하면 배는 채울 수 있습니다. 꽃바구니를 들고 산림에 나가 약초를 캐면 어려움에 임한 사람을 구제할 수 있습니다.
解安人 安人 [nren]:봉증을 받은 부인의 칭호의 하나, 지주나 명사의 부인에 대한 칭호
而利物,或起死兮回生。
해안인이이물 혹기사혜회생.
귀부인을 해결하면 물건에 이익이 생기며 혹은 기사회생시킬 수 있습니다.
修仙者,骨之堅秀;達道老,神之最靈。
수선자 골지견투 달도로 신지취령.
신선도를 닦는 사람은 뼈 깊숙이 침투합니다. 도에 도달해 늙으면 정신이 가장 신령합니다.
判吉凶兮,明通爻象;定禍福兮,密察人心。
판길흉혜 명통효상 정화복혜 밀찰인심.
길흉을 판단함에 효와 괘상에 분명히 통달합니다. 화복을 결정함에 사람의 마음을 비밀스럽게 살핍니다.
闡 問(물을 문; -총11획; wen)의 원문은 闡(열 천; -총20획; chan)이다.
道法,揚太上 太上:①가장 뛰어난 것. 극상(極上) ②천자(天子)
之正:書符 書符:부적(符籍)을 쓰는 행위 또는 쓴 것. 악귀를

키워드

봉신연의,   주왕,   매백,   강태후,   황비호,   미자,   비간,   상용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2.06.04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