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 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논 의
참 고 문 헌
부 록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논 의
참 고 문 헌
부 록
본문내용
집단의 크기에 따른 동조여부
본 연구는 Asch(1956)의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동조를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 동조행동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1명이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것보다 3명이 동조행동을 유발할 때 동조행동이 더 잘 일어날 것 이라고 예상하였다. 실험은 아주대병원 정문을 지나는 불특정 다수의 보행자 159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병원 정문으로 가는 보도블록 양쪽에 검은색 종이를 붙이고 가운데 50cm정도의 공간만을 남기고 가운데 좁은 공간을 밟고 가는 행위로써 동조행동을 유발하였다. 그 결과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가 1명일 때 보다 3명일 때 동조행동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x2=42.080, p<.05). 본 연구는 현장연구로 진행되면서 환경 정보를 통제하는 것에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표본의 수를 늘림으로써 현장연구의 제한점을 최대한 배제하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를 더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피험자고 하여금 집단의 행동을 지각하게끔 만드는 변인들로서 예상된 동조행위의 노출강도와 시간을 조절함으로서 동조를 유발하는 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해보는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더욱더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자연스럽게 어떤 집단에 속하게 되고 집단이 가지는 사회적 규범을 따르게 된다. 그리고 집단의 사회적 규범은 그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집단의 사회적 규범에 따르도록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압력은 누구나 그러한 규범에 따라 행동하도록 하는 일종의 동조의 압력이라고 할 수 있다. (김현주, 2003) 실생활에서도 동조가 일어나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점에서 음식을 하나로 통일하여 주문하는 경우, 무명 가수의 길거리 공연에도 몇몇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고 하나 둘 씩 모여드는 경우, 동조적 자살이라고 하는 ‘베르테르 효과’도 동조의 한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을 바탕으로 개인이 혼자 있는 상황보다 여럿이 함께 있는 집단 상황에서 동조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동조는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었지만 아직도 동조의 개념에 대해서 여러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Merton, R. K는 동조행동은 개인의 욕구와 집단의 규범이 상호균형을 유지할 때 개인이 집단의 의사에 순응하는 행동 형태라고 하였다(Loomis, C. P. & Loomis, J. K, 1961). 그리고 Ogburn, W. F & Nimkoff, M. F(1964)에 의하면 동조행동은 집단의 의사와 개인의 신념이 일치되었을 때는 물론이고, 집단의 의사가 개인의 신념, 의사에 반한다고 해도 자기의 신념을 버리고 집단의 압력에 의해서 집단의 행동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Asch, S. E.(1965)는 집단과 개인의 관계에 의하여 동조행동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즉 개인이 어떤 현상에 대해 명백하게 확신을 하고 있다고 해도 집단의 행동에 동조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 상황에서 동조란(Conformity) 집단의 압력이 존재하는 사회적인 규범이나 대다수의 의견 등에 개인의 의견이나 행동을 동화시키는 것이다. (김요
본 연구는 Asch(1956)의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동조를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 동조행동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1명이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것보다 3명이 동조행동을 유발할 때 동조행동이 더 잘 일어날 것 이라고 예상하였다. 실험은 아주대병원 정문을 지나는 불특정 다수의 보행자 159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병원 정문으로 가는 보도블록 양쪽에 검은색 종이를 붙이고 가운데 50cm정도의 공간만을 남기고 가운데 좁은 공간을 밟고 가는 행위로써 동조행동을 유발하였다. 그 결과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가 1명일 때 보다 3명일 때 동조행동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x2=42.080, p<.05). 본 연구는 현장연구로 진행되면서 환경 정보를 통제하는 것에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표본의 수를 늘림으로써 현장연구의 제한점을 최대한 배제하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동조행동을 유발하는 집단의 크기를 더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피험자고 하여금 집단의 행동을 지각하게끔 만드는 변인들로서 예상된 동조행위의 노출강도와 시간을 조절함으로서 동조를 유발하는 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해보는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더욱더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자연스럽게 어떤 집단에 속하게 되고 집단이 가지는 사회적 규범을 따르게 된다. 그리고 집단의 사회적 규범은 그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집단의 사회적 규범에 따르도록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압력은 누구나 그러한 규범에 따라 행동하도록 하는 일종의 동조의 압력이라고 할 수 있다. (김현주, 2003) 실생활에서도 동조가 일어나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점에서 음식을 하나로 통일하여 주문하는 경우, 무명 가수의 길거리 공연에도 몇몇의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고 하나 둘 씩 모여드는 경우, 동조적 자살이라고 하는 ‘베르테르 효과’도 동조의 한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을 바탕으로 개인이 혼자 있는 상황보다 여럿이 함께 있는 집단 상황에서 동조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동조는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었지만 아직도 동조의 개념에 대해서 여러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Merton, R. K는 동조행동은 개인의 욕구와 집단의 규범이 상호균형을 유지할 때 개인이 집단의 의사에 순응하는 행동 형태라고 하였다(Loomis, C. P. & Loomis, J. K, 1961). 그리고 Ogburn, W. F & Nimkoff, M. F(1964)에 의하면 동조행동은 집단의 의사와 개인의 신념이 일치되었을 때는 물론이고, 집단의 의사가 개인의 신념, 의사에 반한다고 해도 자기의 신념을 버리고 집단의 압력에 의해서 집단의 행동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Asch, S. E.(1965)는 집단과 개인의 관계에 의하여 동조행동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즉 개인이 어떤 현상에 대해 명백하게 확신을 하고 있다고 해도 집단의 행동에 동조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 상황에서 동조란(Conformity) 집단의 압력이 존재하는 사회적인 규범이나 대다수의 의견 등에 개인의 의견이나 행동을 동화시키는 것이다. (김요
추천자료
인장실험입니다. (A+짜리)
실험설계를위한 기본요소(A+레포트)
인과관계와 실험설계 (A+레포트)
[인간공학인지실험A+] 작업흐름도 기반 웹 위젯 기능 사용성 평가
[물리실험a+] 뉴턴링의 원무늬
전기전자 실험a+자료 - 암페어 법칙
기초공학 실험 - 유량측정 보고서
경북대학교 전자공학실험1 올A+ 결과보고서 1-10장
진동실험 - 기계공학시험 A+ 자료입니다
물리실험 <길이의측정>예비+결과 A+
물리실험 <막대의영률측정> 예비+결과 A+
물리실험 <힘과토크의평형> 예비+결과 A+
물리실험 <탄동진자> 예비+결과 A+
일반화학실험-몰과 아보가드로 수 A+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