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1 중국의 인권문제
천안문 사태
파룬궁 사건
소수민족 문제
인권운동가
2 중국의 인권문제와 미국의 개입
중국의 인권문제와 미국의 개입
미국의 개입에 대한 중국의 대응
3 미국의 인권문제
미국의 인권외교방식
미국의 인권외교와 국제사회
미국의 인권문제
천안문 사태
파룬궁 사건
소수민족 문제
인권운동가
2 중국의 인권문제와 미국의 개입
중국의 인권문제와 미국의 개입
미국의 개입에 대한 중국의 대응
3 미국의 인권문제
미국의 인권외교방식
미국의 인권외교와 국제사회
미국의 인권문제
본문내용
4월 15일 - 후야오방(胡耀邦) 사망과 함께 베이징 시를 중심으로 학생, 시민 시위 시작.
이들은 후야오방의 당 총서기직 해임 이유를 밝힐 것과 그의 명예 회복을 요구.
4월 21일 - 경찰과 충돌이 빚어지면서 시위 참여 대학이 10여 개로 늘어났고
베이다오를 주축으로 한 47명의 저명한 학자들이 학생운동 지지 성명 발표.
4월 22일 - 후야오방 장례식. 시안에서 군중이 10여 대의 차량에 불을 지르고 성 정부를 ㅅ
습격하며 공산당 타도를 외침.
4월 26일 - 최고 실권자 덩샤오핑, 리펑총리에게 시위 강경 진압 지시.
인민일보는 이 날짜 사설을 통해 학생 시위를 ‘반혁명 폭동’으로 규정.
5월 13일 - 학생 수천 명 천안문 광장서 무기한 단식농성 시작.
시위 인원 며칠 새 200만 명으로 급증.
5월 20일 - 베이징 일부 지역에 계엄령 선포.
6월 4일 - 0시 57분. 계엄군 본격적인 진압작전 개시.
진압과정에서 민간인 300여 명이 사망하고 7천여 명이 부상.
비공식 집계로는 5천여 명 사망, 3만여 명 부상이라는 주장도 있음.
이들은 후야오방의 당 총서기직 해임 이유를 밝힐 것과 그의 명예 회복을 요구.
4월 21일 - 경찰과 충돌이 빚어지면서 시위 참여 대학이 10여 개로 늘어났고
베이다오를 주축으로 한 47명의 저명한 학자들이 학생운동 지지 성명 발표.
4월 22일 - 후야오방 장례식. 시안에서 군중이 10여 대의 차량에 불을 지르고 성 정부를 ㅅ
습격하며 공산당 타도를 외침.
4월 26일 - 최고 실권자 덩샤오핑, 리펑총리에게 시위 강경 진압 지시.
인민일보는 이 날짜 사설을 통해 학생 시위를 ‘반혁명 폭동’으로 규정.
5월 13일 - 학생 수천 명 천안문 광장서 무기한 단식농성 시작.
시위 인원 며칠 새 200만 명으로 급증.
5월 20일 - 베이징 일부 지역에 계엄령 선포.
6월 4일 - 0시 57분. 계엄군 본격적인 진압작전 개시.
진압과정에서 민간인 300여 명이 사망하고 7천여 명이 부상.
비공식 집계로는 5천여 명 사망, 3만여 명 부상이라는 주장도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남한의 대북정책과 통일방안
'코리안 드림'의 그늘 속 외국인 노동자들- 외국인노동자의 법적지위
사형제도의 개요 및 존치와 폐지에 대한 고찰(A+레포트)
[인종차별][인종분쟁][인종주의]인종차별 사례와 해결방안(인종주의, 독일의 반유대주의, 미...
[우수평가자료]남한의 대북정책과 통일방안
음란물[포르노,야동]중독문제 실태 및 해결방안
[북한의사회와경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해
중. 미의 대 한반도 정책과 중.미 사이에서 한국의 외교전략
[양심적 병역거부] 양심적 병역거부의 찬성과 반대의견
다문화가족의 문제점과 사회복지대책
다문화가족, 취업부모가족과 가족복지
다문화아동 보고서 수정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의 문화
남북한의 정치사상과 이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