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시대의 악기별 종류와 소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시대의 악기별 종류와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A 악기란 무엇인가? 1

B 이스라엘 문명의 음악 1

C 현악기 1
1. 수금 1
2. 비파 2
3. 십현금 2
4. 삼현금 2

D 관악기 2
1. 각 2
2. 나팔 2
3. 양각나팔 3
4. 은 나팔 3
5. 생황 3
6. 저 3
7. 퉁소 3
8. 피리 4

E 타악기 4
1. 첼츨림 4
2. 파아몬 5
3. 톱 5
4. 메나네임 5
5. 샬리쉼 6

Ⅲ 결론 6
참고문헌 7

본문내용

. 여기에서 라반은 야곱이 몰래 그에게서 더난 것을 나무라며 그렇지 않았으면 그가 노래와 북(toph)과 수금(킨노르)으로 환송연을 성대하게 치렀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서 하신 “위대한 일”을 보았던 놀라운 날에 그리고 여기 저기서 감사가 터져 나와서 “내가 여호와를 찬송하리니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출15:1)라고 화답의 찬송을 할 대 미리암이 춤추고 노래하면서 그녀의 손에 잡고 있었던 것이 톱(top)이었다.
미래의 왕 사울이 선지자들을 만났을 때 그들이 가지고 있던 악기 가운데 톱이 있었고(삼상10:5) 그 악기는 거인을 죽이고 돌아오는 젊은 영웅 다윗을 칭찬할 때 그에게 시기와 원통함의 근원이 되었던 것도 바로 이 악기였다.
4. 메나네임(menaaneim or manghanghim)
성경에 메나네임은 사물엘하 6장 5절에 ‘다윗과 이스라엘 온 족속이 잣나무로 만든 여러 가지 악기와 수금과 비파와 소고와 양금과 제금으로 여호와 앞에서 주악하더라’기록되었으며 딱 한 번 나온다.
메나네임이란 단어는 흔들어서(shaken or rattled) 진동시키는 악기를 의미한다. 기쁠때나 슬플 때에 소음을 내는 악기로서 본래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되다가 팔레스타인을 거쳐 이집트로 전해졌으며 애굽의 여사제들이 종교의식에서 이런 종류의 시스트럼을 연주하기도 했다. 정경미, “교회음악에서의 악기 활용에 관한 연구”, (작곡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 대학원, 2008), 45
시스트럼이란 단어는 거의 같은 의미의 헬라어 동사 세이오에서 온 것이다. 그러므로 메나네임이란 단어는 흔들어서 진동시키는 것이라고 믿을만한 좋은 이유가 있다. 시스트럼의 두 형태 가운데 하나가 이 설명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금속뼈대를 똑바로 세워두고 손잡이를 달아서 몇 개의 금속 막대기를 고정시켜 꿰어두는데 일반적으로 그 끝을 묶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그 위에 금속고리를 헐렁하게 달아둔다.
시스트럼의 두 번째 형태는 고리는 없이 금속막대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그 막대기 길이가 달라서 연주자가 다른 손에 있는 어떤 딱딱한 것으로 두드리면 일련의 음악적인 소리가 난다고 생각했다. 박형용, “구약성경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 (신학석사학위청구논문, 성결교신학대학원, 1992), 87
5. 샬리쉼(shalishim)
샬리쉼이란 단어는 사무엘 상18:6에만 나온다.
샬리쉬(shalishim)는 트라이앵글, 시스트럼 또는 어떤 사람들에 의해서는 바이올린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그 어원은 삼(3)이란 수치를 의미하고 있다.:\"무리가 돌아올 때 곧 다윗이 블레셋 사람을 죽이고 돌아올 때에 여인들이 이스라엘 모든 성에서 나와서 노래하며 춤추며 소고와 경쇠(shalishim)를 가지고 왕 사울을 환영하는데\" 비올족이 어떻게 생겼던지 간에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던 것이 틀림 없었던 악기-\"이스라엘 모든 성에서 나와서\" 그것을 연주할 수 있는 사람들이 모여든데서 보듯이-가 유대인의 전(全)연대기에서 우연히 한번 밖에 언급되지 않았다고는 믿기 어렵다. 정경미, “교회음악에서의 악기 활용에 관한 연구”, (작곡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 대학원, 2008), 46
Ⅲ결론
이스라엘 사람들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 악기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악기는 전쟁할 때, 백성들을 소집할 때, 제사의식 그리고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말씀에 등장하는 악기가 어떠한 형태의 악기인지 어떤 형식으로 사용되는지 알게 되었다.
과거에 악기들은 여러 가지로 각각 사용되었지만 현재 그러한 악기들을 모아 체계화시켜 오케스트라를 이루었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악단을 이루었다. 지금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행위로서 많이 변화하였지만 지금도 하나님께 영광돌리는 것은 변함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참고문헌
박형용, “구약성경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 (신학석사학위청구논문, 성결교신학대학원, 1992), 87
임성은, \"성경에 나타난 악기 역할에 비춰 본 현대 교회음악의 악기 역할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석사학위논문, 전북대 교육대학원, 2005), 26
정경미, “교회음악에서의 악기 활용에 관한 연구”, (작곡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 대학원, 2008), 43
John Stainer, 성경의 음악,, 성철훈 역, (서울:호산나음악사, 1994), 193
Max Wade-Matthews, 세계의 악기 백과사전, 이용일외 2인 공역, ((주)교학사 2004), 14

키워드

구약,   악기,   풍습,   성경,   성서,   다윗,   구약시대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6.08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