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 번째, 세종실록지리지(1454년)등 역사적 문헌
두 번째, 독도에 관한 일본 최초의 기록문헌 (은주시청합기) - 1667년
세 번째, 일제의 독도강제 편입 - 1950년
네 번째, 국제 사법재판소 제소문제 - 1954년
다섯 번째, 한일협정 - 1965년
여섯 번째, 독도논쟁 - 1977년
일곱 번째, 배타적 경제수역과 독도 - 1996년
두 번째, 독도에 관한 일본 최초의 기록문헌 (은주시청합기) - 1667년
세 번째, 일제의 독도강제 편입 - 1950년
네 번째, 국제 사법재판소 제소문제 - 1954년
다섯 번째, 한일협정 - 1965년
여섯 번째, 독도논쟁 - 1977년
일곱 번째, 배타적 경제수역과 독도 - 1996년
본문내용
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오는 우산도가 죽도인가에 대해 의문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한 설로는 우산, 울릉, 본일도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신증동국 여지승람의 부속지도는 우산도를 한반도와 울릉도 사이에 그리고 있어 위치관계가 죽도와 부합되지않다고 한다.
두 번째, 독도에 관한 일본 최초의 기록문헌 (은주시청합기) - 1667년
한국 입장은 은주시청합기에는 독도와 울릉도가 조선에 속한 것이 고은기가 일본의 한계라고 적혀있으며, 일본입장은 은주시청합기에는 독도는 송도라는 명칭으로, 울릉도는 죽도라는 명칭으로 기술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 일제의 독도강제 편입 - 1950년
한국입장은 1904년 러일전쟁 직후 도근현에 거주하는 중정이라는 어업가가 독도에서 물개 등의 어로 독점권을 한국정부로부터
두 번째, 독도에 관한 일본 최초의 기록문헌 (은주시청합기) - 1667년
한국 입장은 은주시청합기에는 독도와 울릉도가 조선에 속한 것이 고은기가 일본의 한계라고 적혀있으며, 일본입장은 은주시청합기에는 독도는 송도라는 명칭으로, 울릉도는 죽도라는 명칭으로 기술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세 번째, 일제의 독도강제 편입 - 1950년
한국입장은 1904년 러일전쟁 직후 도근현에 거주하는 중정이라는 어업가가 독도에서 물개 등의 어로 독점권을 한국정부로부터
추천자료
한일 독도영유권 분쟁과 미국의 입장
일본과 한국사이의 분쟁지역으로서의 독도
북아일랜드 지역분쟁 사례연구
수자원에 관한 환경문제-지방자치단체간의 분쟁사례
독도 분쟁
정부간 대립과 갈등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환경분쟁 유발 및 협력
[분쟁조정]물 분쟁과 관련한 지방정부들간의 분쟁조정과정과 협력가능성 모색
독도 영유권분쟁의 원인과 대응방안
환경갈등(분쟁), 지방자치 그리고 님비현상
이슬람 세계의 끊이지 않는 분쟁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관하여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분쟁
북아일랜드 분쟁
이슬람과 관계된 용어, 개념, 특성, 역사, 문화, 여성, 무슬림들이 이슬람을 믿는 이유 등을 ...
[키프로스 분쟁][키프로스 분쟁의 역사적 배경][키프로스의 통일지연]키프로스 분쟁의 역사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