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르피 충격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샤르피 충격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
(1) 샤르피 충격 시험기
(2) 시험기의 구조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본문내용

확인한다.
원하는 각도(60, 120)를 설정한다.
각도가 설정 되면, 그높이에 해머를 고정시키고 시편을 수평대 위에 놓은 후 노치가 지지대 중심에 오도록 한다.
해머를 낙하시켜 시편에 충격을 가한다. 이때 눈금을 읽어 시험 측정시 충격치를 알 수 있다.
4. 실험 결과
지시장치가 각도로 표시된 시험기에서는 앞서 설명한 식 E=WR(cosβ-cosα)에 의거 파단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구한다. 또한 지시장치가 에너지로 환산된 시험기에서는 눈금을 그대로 읽는다.
α
β
측정값
계산값
충격시험값
3호(u)
120
64
11.40
14.45
18.06
4호(v)
60
48
1.80
2.60
3.25
4호(v)
120
108
2.20
2.941
3.676
(1) U 연강(3호)의 120일때 파단면이다. 파단면이 있는 사진에서 보면 시편의 가장자리측에는 연성파면이 보이고, 시편의 안쪽부분에서는 취성파면이 보인다.
(2) V 연강(4호)의 60일때의 파단면이다. 파단면이 있는 사진에서 보면 역시 연성파면 밑, 취성파면이 보이는데, 위의 U연강 보다 취성파면이 두드러져 보인다.
(3) V 연강(4호)의 120일때의 파단면이다. 역시 마찬가지로 연성파면 밑, 취성파면이 보이는데, 60일때 보다 취성파면이 더 많이 관찰된다.
5. 고찰
이번 실험은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해 헤머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시편에 가해지는 충격치를 구하는 시험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충격치란 다시 말해서 금속의 질긴 정도 즉, 인성을 말한다. 이는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흡수하는 에너지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충격시험은 금속재료가 사용되는 용도의 빔성상 인장시험과 더불어 아주 중요한 시험이다. 다시 말해 금속에 있어서 인장강도는 공업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보통 강이 탄소의 함유량이 높게 되면 취성이 크므로 강도는 크지만 그 강도를 넘어서는 힘을 받게 되면 바로 파괴되어 버리고, 탄소의 함유량이 작게 되면 연성이 커서 어느 정도의 힘까지 견딘다. 물론 변형이 일어나지만 바로 파괴되지는 않는다.
실험과정에서 실험의 진행은 정석대로 진행하였으나 결과값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실험과정의 오류보다는 시편의 가공상태 등의 영향을 받아 그렇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재료 조성의 불균일성, 노치부의 가공상태 등이 있을 수 있겟다. 그리고 실험과정에서의 오차 원인으로는 실험과정에서 노치부와 타격점의 차이 가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13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