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로스만의 지역복지실천 세 가지 기본유형과 세 가지 변용유형
1) 지역사회개발유형
2) 사회계획유형
3) 사회행동유형
4) 세 가지 변용유형 : 개발ㆍ행동유형, 행동ㆍ개발유형, 계획ㆍ개발유형
2. 테일러와 로버츠의 다섯 가지 유형
1) 지역사회개발유형
2) 프로그램 개발 및 조정유형
3) 계획유형
4) 지역사회연계유형
5) 정치적 행동 및 역량강화 유형
3. 웨일과 갬블의 여덟 가지 유형
1) 근린지역사회 조직화 유형
2)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화유형
3) 지역사회 사회ㆍ경제 개발유형
4) 사회계획유형
5)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사회 연계유형
6) 정치ㆍ사회 행동유형
7) 연대유형
8) 사회운동유형
4.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 및 그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로스만의 지역복지실천 세 가지 기본유형과 세 가지 변용유형
1) 지역사회개발유형
2) 사회계획유형
3) 사회행동유형
4) 세 가지 변용유형 : 개발ㆍ행동유형, 행동ㆍ개발유형, 계획ㆍ개발유형
2. 테일러와 로버츠의 다섯 가지 유형
1) 지역사회개발유형
2) 프로그램 개발 및 조정유형
3) 계획유형
4) 지역사회연계유형
5) 정치적 행동 및 역량강화 유형
3. 웨일과 갬블의 여덟 가지 유형
1) 근린지역사회 조직화 유형
2) 기능적 지역사회 조직화유형
3) 지역사회 사회ㆍ경제 개발유형
4) 사회계획유형
5)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사회 연계유형
6) 정치ㆍ사회 행동유형
7) 연대유형
8) 사회운동유형
4.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 및 그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4.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 및 그 이유
본인이 선호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유형은 테일러와 로버츠의 지역사회연계유형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직접적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은 개별 사회사업과 집단 사회사업 등의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각 기관들은 지역복지실천기능을 꾸준히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실천기능은 일차적 기능이 아닌 이차적 기능으로 여겨졌다. 그 결과, 기관에 의한 지역복지실천은 불분명하고 애매한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복지실천은 직접적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과는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지역복지실천은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다양한 차원에서 연관성을 가지고 발전했다. 현재는 일반주의적 접근의 강화와 함께 직접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의 행정가 및 사회복지사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개인, 그룹, 가족 등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여 동시적 접근을 해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양한 지역사회 구성요소들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표적체계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도록 하고 과거로부터 지속되었던 기능들을 하나의 지역복지실천유형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면에서 지역사회연계유형은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기관행정가 및 사회복지사들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관련한 지역사회의 관계를 개발하고 확대 및 강화 조정하면서 클라이언트 문제를 보다 다차원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활동을 중심으로 하며, 현재 상황에서 기관의 지역복지실천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클라이언트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의 관계형성, 관계개발, 관계조정활동에 상당히 큰 비중을 두면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해 나가는 유형이므로 본인이 선호하게 되었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든 유형 및 본인이 선호 하는 유형과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1990년대 초반 웨일과 갬블은 지역복지실천의 현황을 조사하고 연구하면서 여덟 가지의 지역복지실천유형을 제시하였다. 이 유형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역복지실천의 유형을 포괄하면서 지역사회에서 선택될 수 있는 지역복지실천의 방법에 관한 기본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 강철희외, “지역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6
- 맹두열,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할과 방향”, 명지대사회복지대학원, 2006
4. 본인이 선호하는 유형 및 그 이유
본인이 선호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유형은 테일러와 로버츠의 지역사회연계유형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직접적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은 개별 사회사업과 집단 사회사업 등의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각 기관들은 지역복지실천기능을 꾸준히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실천기능은 일차적 기능이 아닌 이차적 기능으로 여겨졌다. 그 결과, 기관에 의한 지역복지실천은 불분명하고 애매한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복지실천은 직접적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과는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지역복지실천은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다양한 차원에서 연관성을 가지고 발전했다. 현재는 일반주의적 접근의 강화와 함께 직접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관들의 행정가 및 사회복지사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개인, 그룹, 가족 등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여 동시적 접근을 해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양한 지역사회 구성요소들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표적체계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도록 하고 과거로부터 지속되었던 기능들을 하나의 지역복지실천유형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면에서 지역사회연계유형은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기관행정가 및 사회복지사들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관련한 지역사회의 관계를 개발하고 확대 및 강화 조정하면서 클라이언트 문제를 보다 다차원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활동을 중심으로 하며, 현재 상황에서 기관의 지역복지실천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클라이언트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의 관계형성, 관계개발, 관계조정활동에 상당히 큰 비중을 두면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해 나가는 유형이므로 본인이 선호하게 되었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든 유형 및 본인이 선호 하는 유형과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1990년대 초반 웨일과 갬블은 지역복지실천의 현황을 조사하고 연구하면서 여덟 가지의 지역복지실천유형을 제시하였다. 이 유형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역복지실천의 유형을 포괄하면서 지역사회에서 선택될 수 있는 지역복지실천의 방법에 관한 기본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 강철희외, “지역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6
- 맹두열,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할과 방향”, 명지대사회복지대학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