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경과 및 합병증
6) 예방법
2. 간호과정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정보
(3) 가계도 및 가족병력
(4) 신체사정
(5) 퇴원계획
(6) 입원시 교육사항
2) 진단검사
3) 투여악물
4) 문제중심 기록지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경과 및 합병증
6) 예방법
2. 간호과정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정보
(3) 가계도 및 가족병력
(4) 신체사정
(5) 퇴원계획
(6) 입원시 교육사항
2) 진단검사
3) 투여악물
4) 문제중심 기록지
본문내용
신체사정
대변장애 : 없음 소변장애 : 없음
수면장애 : 없음 보조기 : 의치
기형 : 없음 피부색깔 : 정상
활동상태 : 자유로움 부종 : 없음
학대징후 : 없음 의사소통 : 원만함
피부상태 : 정상 호흡기장애 : 없음
순환기장애 : 없음 지남력 : 사람:있음, 시간:있음, 장소:있음
의식 : 명료 정서상태 : 안정
소화기장애 : 없음 통증사정 : 통증없음
낙상사정 : Morse:20점 욕창사정 : braden scale:22점 욕창:무
개인정보 보호요청 : 없음
영양사정 동공크기 : 대칭
식욕 : 보통 빛반사 : 좌:반응, 우:반응
체중변화 : 없음 시력장애 : 없음
평소체중 : 55kg 청력장애 : 없음
연하곤란 : 없음 신경근육 : 장애없음
마비 : 없음
치과장애 : 없음
(5) 퇴원계획
퇴원요청일 : 상태 호전 후
퇴원 후 보호자와 함께 거주하는가 ? 예
퇴원 후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할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있는가 ? 예
퇴원 후 환자가 머무르게 되는 곳은 어디인가 ? 자택
퇴원 시 누구에게 교육하기 원하는가 ? 본인, 보호자
퇴원 이송방법은 ? 자동차
(6) 입원시 교육사항 : 환자권리보호, 취약환자권리보호, 사생활 보호요청, 불만 및 고충처리, 낙상예방, 화재예방 및 비상시 대피방법, Call Bell, 면회시간, 금연, 도난방지, 의치주의, 의사회진시간, 전열기 사용금지, 병실배치안내, 다인실 설명
2) 진단검사
Ⅰ
1. WBC : 6.34 K/uL
2. Hb : 16.3 g/dL
3. PLT 246 K/uL
4. Auto-dif
neu 61 %
Lymph 28 %
Mono : 5.1 %
Eos : 1.9 %
Baso : 0.4 %
Luc : 3.5 %
Ⅱ
1. PT(time) 10.1 sec
INR : 0.87
2. aPTT 32.6 sec
Ⅲ
1. STAT-P
Na 136 mEq/L
K 4.4 mEq/L
Cl 105 mEq/L
Glu 75 mg/dL
AST 30 IU/L
ALT 19 IU/L
BUN 18.5 mg/dL
CRE 1.13 mg/dL
2. TP L 5.6
3. Alb 4.12 g/dL
4. LDH H 752 IU/L
5. GGT 11 IU/L
6.hs CRP H 0.522 mg/dL
7.CPK 262 IU/L
Ⅳ
1. Troponin Ⅰ 0.03 ng/mL
2. CK-MB 1.6 ng/mL
Ⅴ
1. Fbg 274 mg/dL
2. D-dimer Qn\'t 0.258 ug/mL
3) 투여약물
Astrix Cap
혈전, 색전 형성의 억제
Yuclid Tab 250/80mg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Lipitor Tab 40mg
뇌경색 및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Micardis Tab 40mg
혈압강하제
Pethidine(Demerol) 50mg Inj
격렬한 통증의 완화
Ativan Inj 4mg/1ml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의 완화
Midacum Inj 5mg
최면진정제
Urokinase 10만Inj
혈전용해제
macperan Inj 0.5mg
소화기능항진
Hydralazine Inj 20mg
항고혈압약
Tirofiban 12.5mg/50cc plus N/S 200cc mix
혈전용해제
Agrastat Inj 12.5mg
심근경색 발생률 감소
Perdipine Inj 10mg
혈압강하제
4) 문제중심 기록지
#1
진단 : 신경근육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자료
- 그릇에서 입까지 음식을 옮기지 못한다.
- 음식을 수저로 뜨지 못한다.
- 몸전체나 일부를 닦지 못한다.
- 옷을 입거나 벗지 못한다.
목표
- 환자는 자존감을 유지 하면서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 간호를 수행한다.
수행 및 계획
- 환자를 혼자 방치하지
대변장애 : 없음 소변장애 : 없음
수면장애 : 없음 보조기 : 의치
기형 : 없음 피부색깔 : 정상
활동상태 : 자유로움 부종 : 없음
학대징후 : 없음 의사소통 : 원만함
피부상태 : 정상 호흡기장애 : 없음
순환기장애 : 없음 지남력 : 사람:있음, 시간:있음, 장소:있음
의식 : 명료 정서상태 : 안정
소화기장애 : 없음 통증사정 : 통증없음
낙상사정 : Morse:20점 욕창사정 : braden scale:22점 욕창:무
개인정보 보호요청 : 없음
영양사정 동공크기 : 대칭
식욕 : 보통 빛반사 : 좌:반응, 우:반응
체중변화 : 없음 시력장애 : 없음
평소체중 : 55kg 청력장애 : 없음
연하곤란 : 없음 신경근육 : 장애없음
마비 : 없음
치과장애 : 없음
(5) 퇴원계획
퇴원요청일 : 상태 호전 후
퇴원 후 보호자와 함께 거주하는가 ? 예
퇴원 후 지속적으로 간호를 제공할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있는가 ? 예
퇴원 후 환자가 머무르게 되는 곳은 어디인가 ? 자택
퇴원 시 누구에게 교육하기 원하는가 ? 본인, 보호자
퇴원 이송방법은 ? 자동차
(6) 입원시 교육사항 : 환자권리보호, 취약환자권리보호, 사생활 보호요청, 불만 및 고충처리, 낙상예방, 화재예방 및 비상시 대피방법, Call Bell, 면회시간, 금연, 도난방지, 의치주의, 의사회진시간, 전열기 사용금지, 병실배치안내, 다인실 설명
2) 진단검사
Ⅰ
1. WBC : 6.34 K/uL
2. Hb : 16.3 g/dL
3. PLT 246 K/uL
4. Auto-dif
neu 61 %
Lymph 28 %
Mono : 5.1 %
Eos : 1.9 %
Baso : 0.4 %
Luc : 3.5 %
Ⅱ
1. PT(time) 10.1 sec
INR : 0.87
2. aPTT 32.6 sec
Ⅲ
1. STAT-P
Na 136 mEq/L
K 4.4 mEq/L
Cl 105 mEq/L
Glu 75 mg/dL
AST 30 IU/L
ALT 19 IU/L
BUN 18.5 mg/dL
CRE 1.13 mg/dL
2. TP L 5.6
3. Alb 4.12 g/dL
4. LDH H 752 IU/L
5. GGT 11 IU/L
6.hs CRP H 0.522 mg/dL
7.CPK 262 IU/L
Ⅳ
1. Troponin Ⅰ 0.03 ng/mL
2. CK-MB 1.6 ng/mL
Ⅴ
1. Fbg 274 mg/dL
2. D-dimer Qn\'t 0.258 ug/mL
3) 투여약물
Astrix Cap
혈전, 색전 형성의 억제
Yuclid Tab 250/80mg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Lipitor Tab 40mg
뇌경색 및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Micardis Tab 40mg
혈압강하제
Pethidine(Demerol) 50mg Inj
격렬한 통증의 완화
Ativan Inj 4mg/1ml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의 완화
Midacum Inj 5mg
최면진정제
Urokinase 10만Inj
혈전용해제
macperan Inj 0.5mg
소화기능항진
Hydralazine Inj 20mg
항고혈압약
Tirofiban 12.5mg/50cc plus N/S 200cc mix
혈전용해제
Agrastat Inj 12.5mg
심근경색 발생률 감소
Perdipine Inj 10mg
혈압강하제
4) 문제중심 기록지
#1
진단 : 신경근육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자료
- 그릇에서 입까지 음식을 옮기지 못한다.
- 음식을 수저로 뜨지 못한다.
- 몸전체나 일부를 닦지 못한다.
- 옷을 입거나 벗지 못한다.
목표
- 환자는 자존감을 유지 하면서 자신의 기능수준에 맞는 자기 간호를 수행한다.
수행 및 계획
- 환자를 혼자 방치하지
추천자료
치매의 원인과 치료방법
ICH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치매의 정의 및 진단기준 임상유형별 행동특성 치료 및 간호
[SAH CASE]지주막하출혈 사례연구
[치매][치매노인][치매노인 대상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치매 실태와 치매노인 대상 사회복지서...
노인병원 케이스: ICH
[간호과정]NICU(뇌출혈)
[흉부외과case study]혈전증과 색전증
뇌경색(Cerebral Infarction)case study
[간호학]뇌출혈
생활과건강-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 교육내용,편마비 환자의 재활방안 제시,중증뇌졸중...
뇌졸중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대동맥류 aortic aneurys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