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박골절케이스(레포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압박골절케이스(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휜 부분을 견인으로 교정하여 석고 고정하거나 관헐적 인위적으로 가능한 한 교정한 후 금속 내고정물이나 척추융합술을 이용하여 교정
8) LDK(lumbar degenerative kyphosis) 요추 후만 장애
정의: 비정상적으로 흉추의 만곡이 둥글게 증가된 것을 말하며 “낙타등”과 같은 모양인 질환
수술
① 척추절제술(TPV, trans pedicular kyphosis)
② Posterior or Posterior lateral fusion & B/G
9) CSM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경추 척수 장애
정의: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척수손상을 입음으로 인해 뇌와 신체 사이에 운동신경이나 감각신경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신체적인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 사람으로 대개 하지(다리)에 신경마비를 가지게 되어 휠체어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척수의 손상부위와 그 손상정도에 따라 사지완전마비에서 하지의 부분마비 등으로 장애의 정도가 다양하다.
수술
① Open door Laminoplasty (척추궁 성형술)
② ACDF (Anterior Cervical Decompression Fusion) 전방경추감압술,유합술
10) lordosis 척추전만증
정의: 척추의 만곡이 정상보다 앞쪽으로 과전만된 증상. 요추와 요추를 이어 주는 뒤쪽의 관절끼리 눌리면서 그 사이의 통각 기능이 자극되어 통증이 생긴다.
11) DLS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퇴행성 요추측만증
정의: 나이가 들면서 척추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허리가 휘게 되는 퇴행성 측만증
수술
① Posterior decompression (후방감압술)
② Posterior decompression & Posterior lateral fusion c Instrument, B/G
③ Posterior decompression & Posterior lateral fusion c Instrument, B/G & PLIF
4. 골절의 증상
① 변형(Defermity): 뼈의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며 각이 생기거나 회전이나 단축이 있으며
뼈윤곽의 변화와 눌림이 있다.
② 부종(Edema): 골절부위 장액성 체액성 체액 증가, 주위 조직 손상으로 인한 출혈
③ 점상출혈(Ecchymosis): 파하조직 출혈이 원인
④ 근육 경련: 골절부 근육의 불수의적 수축
⑤ 통증: 근육 강직, 골편의 중복, 연조직이나 근육 손상이 원인
⑥ 마찰음: 골절편이 부닺칠 때 서로 맞닿는 소리
⑦ shock: 심한 출혈 시, 연조직 손상이 심할 때
⑧ 염발음(crepitus): 골절편이 부딪칠 때 서로 맞닿는 소리
⑨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통증이나 근육경직으로 인함
⑩ 감각변화(저린감): 신경손상이 있을 때 저린감이나 감각 이상이 있음
5. 골절의 치유 단계
(1) 혈종 형성
골절 후 골막과 근접 조직의 파괴 및 혈관의 파열로 즉시 그 부위에 출혈이 생기고 삼출물 생긴다. 이것은 손상 받은 뼈를 둘러싸고 골절의 갈라진 틈까지 채워 혈종 내의 혈액이 엉겨 붙어서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한다. 이 섬유망은 손상받은 뼈를 보호하며 모세혈관과 섬유아세포의 발달을 위한 발판 구실을 한다.
(2) 과립조직 형성
세포와 새로운 모세혈관이 점차적으로 모여 2~3일 이내로 혈종은 과립조직으로 대치된다. 손상 후 이틀째에는 적혈구와 괴사조직이 식세포에 의해 제거되며 혈종 주변을 섬유아세포가 둘러싸며, 섬유아세포가 골절 부위 둘레에 연조직 가골을 형성함으로써 회복 과정이 시작된다.
(3) 가골 형성
손상 후 6~10일 정도 되면 과립조직이 변화되어 가골이 형성된다. 가골은 골절선을 넘어서 더 넓게 뻗쳐 있어 일시적 부목의 역할을 한다. 손상 후 14~21일 경과되면 가골은 최대의 크기에 도달한다. 이 가골 덩어리는 계속하여 재형성되며 일시적으로 골절편을 결합시킬 수 있지만 체중부하를 견디거나 긴장을 잘 견디어낼 만큼 충분히 강하지는 않다.
(4) 골화과정
골화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골막과 피질 사이에 외가골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는 골수내가골, 마지막으로 피질절편 사이에 가골이 형성된다. 3~10주가 지나면서 가골은 뼈로 변화된다.
(5) 골 재형성단계
가골은 점차 진성뼈가 되면서 강해진다. 그리고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에 의해 재형성된다. 과잉 증식됐던 뼈들은 흡수 되고 가골은 뼈와 같이 딱딱한 형태로 영구적인 뼈가 된다.
6. 진단방법
골밀도검사: 뼈의 단단한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
X-ray: 초기에 압박되는 부위가 잘 나타나지 않아 놓치는 경우가 있다.
CT
MRI: 초기에도 신호 변화가 보이며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7. 치료와 간호
(1) 치료
보존적 치료
검사를 통해 척추의 높이 감소가 40~50% 이내이거나, 척추강내로의 함입이 없는 경우, 굴곡 변형이 심하지 않는 경우, 신경학적 결손이 없는 경우 3~6주의 침상안정을 취한다.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가. 적응증
- 2주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또는 증가되는 통증을 동반한 압박골절
- 통증이 심한 전이성 척추암 또는 다발성 골수종
- 척추혈관종
- 척추골괴사
- 후방척추고정술 전에 척추체의 강화 목적
나. 환자의 준비
환자를 혈관촬영 테이블이나 수술 테이블 위에 앙와위 자세로 취하게 한 후 혈압 및
박동수를 확인 감시하며 비관을 통해서 산소공급을 해준다.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통
증을 위해서 Fentanyl, Midazolam을 준비한다. 척추체 성형술은 C-arm 투시경이나 혈
관촬영 유니트에서 시행한다. 투시경의 해상도는 PMMA를 척추체 내로 주입할 때 유출
의 정도를 확인해야 하므로 양호해야 한다.
다. 경피적 척추체 천공술
국소마취를 시행 후 투시경 하에서 11G 골생검 천자침을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목 삽
입시와 동일 부위를 정해 척추경 부위로 진입시킨다. 천자침이 척추의 피질골을 잘 뚫
지 못할 때에는 수술용 해머를 이요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점차 척추경내로 천자침을 진
입시키면서 투시경하로 지속적인 감시를 시행하여 다른 위치로 진해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7.23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