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환
(1) brain tumor(뇌종양)
(2) SAH(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3) epilepsy(간질)
(4) HFS(Hemifacial spasm 반측성안면경련증)
(5) hydrocephalus(수두증)
2. 검사, 수술명
*수술
(1) tumor removal
(2) clipping
(3) electrode insertion/lobectomy
(4) MVD(MicroVascular Decompression 미세혈관감압술)
(5) VP shunt(뇌실복강단락술)
*검사
(1) Brain CT
(2) TCD(TransCranial Doppler 뇌혈류검사)
3. 환자간호
(1) IICP 환자 사정 및 간호
(2) ICP 모니터
4. 약물
(1) osmotic diuretics(mannitol, cerol)
1) mannitol
2) cerol
(2) steroid(dexamethasone, solumedrol)
1) dexamethasone
2) solumedrol
(3)anti-epileptic drug
1) phenytoin
(1) brain tumor(뇌종양)
(2) SAH(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3) epilepsy(간질)
(4) HFS(Hemifacial spasm 반측성안면경련증)
(5) hydrocephalus(수두증)
2. 검사, 수술명
*수술
(1) tumor removal
(2) clipping
(3) electrode insertion/lobectomy
(4) MVD(MicroVascular Decompression 미세혈관감압술)
(5) VP shunt(뇌실복강단락술)
*검사
(1) Brain CT
(2) TCD(TransCranial Doppler 뇌혈류검사)
3. 환자간호
(1) IICP 환자 사정 및 간호
(2) ICP 모니터
4. 약물
(1) osmotic diuretics(mannitol, cerol)
1) mannitol
2) cerol
(2) steroid(dexamethasone, solumedrol)
1) dexamethasone
2) solumedrol
(3)anti-epileptic drug
1) phenytoin
본문내용
혐기) 검사 후 즉시 시행
-ABR & head flat 설명하고 식사 시 clamping 후 처방에 따라 head up 가능한 경우 도 있음
4. 약물
(1) osmotic diuretics(mannitol, cerol)
1) mannitol
①효능효과 : 이뇨제
▲ 수술중, 수술후, 외상후의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 약물중독시의 배설촉진
▲ 두개내압 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 안내압 강하가 필요한 경우
②용법용량
♣ 성인: D-만니톨로서 보통 1회 체중 ㎏당 1∼3g 점적정맥
♣ 1일 최대량은 200g까지, 투여속도는 100mL/3∼10분
③금기
급성 두개내 혈종ㆍ뇌출혈이 있는 환자,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
탈수환자,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의 환자, 폐부종·폐울혈 환자
대사성 부종 환자, 무뇨 환자,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 과민반응 환자
긴장성, 과다 긴장성 환자, 시험주입 이후 지속되는 핍뇨증/무뇨증 환자
④부작용 : 구갈, 구강건조, 탈수증상, 시력불선명, 두통, 오심, 구토, 배뇨증가, 두드러기
2) cerol
①효능효과
▲ 두개내압항진, 두개부종
▲ 두개내압항진, 두개부종 개선에 의하여 다음 질환의 의식장애, 신경장애, 자각증상의 개선 : 뇌경색(뇌혈전, 뇌색전증), 뇌내출혈, 두부외상, 지주막하출혈, 뇌종양,
뇌수막염
▲ 뇌의 외과수술 후 요법
▲ 뇌의 외과수술 시 뇌용적의 축소
▲ 안압 하강을 필요로 하는 경우
▲ 안과 수술시의 안용적 축소
②용법용량
♣ 안과 수술 중에 요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수술 전에 배뇨하도록 한다.
♣ 투여 시에는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환자의 피부나 기구 소독).
♣ 한랭기에는 체온 정도로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 개봉 후 즉시 사용하며 잔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③금기 : 천성 글리세린, 과당 대사이상증(과당불내증 포함) 환자(중증의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 있다.)
④부작용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드물게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비뇨기계 : 때때로 요잠혈반응, 혈색소뇨, 혈뇨, 요의가 나타날 수 있다.
대사이상 : 때때로 저칼륨혈증, 드물게 고나트륨혈증, 비케톤성고삼투압성 고혈당 이 나타날 수 있다.
기타 : 때때로 두통, 구갈, 드물게 완통(팔의 통증), 혈압상승, 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다.
(2) steroid(dexamethasone, solumedrol)
1) dexamethasone
①효능효과 : 부신피질호르몬제
▲ 내분비 장애, 교원성 질환, 피부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안과 질환, 위장관 질환
▲ 혈액 질환, 종양성 질환, 부종성 질환, 신경계 질환(호즈킨병:일시조치)
▲ 류마티스성 장애 급성진행 또는 악화 방지 위한 단기 투여용 보조요법
②용법용량 : 질환 및 환자, 증상에 따라 다름
③금기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이 있거나 그 병력이 있는 환자
관절강내, 점액낭내, 건초내 또는 건주위에 감염증이 있는 환자
관절이 불안정한 환자, 생백신 투여 환자, 단순포진 환자, 대상포진 환자
수두 환자,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 환자,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
④부작용
식욕증가, 소화불량, 불면, 초조, 당뇨병, 다모증, Moon face
쿠싱증후군, 소양감, 소화성 궤양, 혈압상승, 유소아 발육억제
2) solumedrol
①효능효과 : 부신피질호르몬제(항염증 효과와 면역억제 효과)
②용법용량 :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③금기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 환자,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
이 약 또는 이 약 성분에 과민증 환자 및 그 병력 환자, 신생아 및 미숙아
생백신 또는 약독생백신을 투여중인 환자, 단순포진 환자, 대상포진 환자, 수두 환자
④부작용
식욕증가, 소화불량, 불면, 초조, 관절통, 다모증, 체액전해질 불균형
근무력증, 골다공증, 천공 및 출혈성 위궤양, 복부팽만, 췌장염,홍반
외상치유지연, 피부쇠약, 경련, 두통, 안압항진, 녹내장, 소아의 발육억제
(3)anti-epileptic drug
1) phenytoin
①효능효과 :
▲ 간질: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심실성 부정맥)
②용법용량
♣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용량은 발작의 정도, 환자의 내약성에 따라 조절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혈중농도를 측정한다. 본제는 1회/day 용법으로 투여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분할투여한다.
1)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1회 100mg을 3회/day 경구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300-400mg을 분할투여한다.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600mg/day까지 증량할 수 있다.
2)소아: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5mg/kg을 2-3회 분할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4-8mg/kg/day을 분할투여한다.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 나트륨으로 300mg/day까지 투여할 수 있다.
♣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 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첫날 1000mg, 둘째날 500mg을 투여하며 유지량으로 100mg/day 을 3-4회 투여한다.
③금기
히단토인계 화합물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의 혈액 및 골수장애 환자
방실블록(2, 3도) 환자
심근경색(3개월 이내) 환자
애덤스-스톡스 증후군 환자(주사제에 한함.)
동서맥, 동방블록 환자 (주사제에 한함.)
④부작용
정신신경계 : 불수의운동(이상운동증, 무도병, 고정자세불능증등), 신경병증, 어지 러움, 운동실조증, 정신착란, 구음장애, 불면, 신경과민,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드물게 두통, 권태감(주사제에한함.), 조화불능, 진전,장기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감각말초 다발신경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계 : 드물게 간질성 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피부 : 드물게 피부점막안증후군(Stevens-Johnsonsyndrome) 중독성표피괴사증(Lyell syndrome), 전신성홍반성루푸스(SLE)양 증상, 드물게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과민증 :
-ABR & head flat 설명하고 식사 시 clamping 후 처방에 따라 head up 가능한 경우 도 있음
4. 약물
(1) osmotic diuretics(mannitol, cerol)
1) mannitol
①효능효과 : 이뇨제
▲ 수술중, 수술후, 외상후의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 약물중독시의 배설촉진
▲ 두개내압 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 안내압 강하가 필요한 경우
②용법용량
♣ 성인: D-만니톨로서 보통 1회 체중 ㎏당 1∼3g 점적정맥
♣ 1일 최대량은 200g까지, 투여속도는 100mL/3∼10분
③금기
급성 두개내 혈종ㆍ뇌출혈이 있는 환자, 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환자
탈수환자,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상태의 환자, 폐부종·폐울혈 환자
대사성 부종 환자, 무뇨 환자,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 과민반응 환자
긴장성, 과다 긴장성 환자, 시험주입 이후 지속되는 핍뇨증/무뇨증 환자
④부작용 : 구갈, 구강건조, 탈수증상, 시력불선명, 두통, 오심, 구토, 배뇨증가, 두드러기
2) cerol
①효능효과
▲ 두개내압항진, 두개부종
▲ 두개내압항진, 두개부종 개선에 의하여 다음 질환의 의식장애, 신경장애, 자각증상의 개선 : 뇌경색(뇌혈전, 뇌색전증), 뇌내출혈, 두부외상, 지주막하출혈, 뇌종양,
뇌수막염
▲ 뇌의 외과수술 후 요법
▲ 뇌의 외과수술 시 뇌용적의 축소
▲ 안압 하강을 필요로 하는 경우
▲ 안과 수술시의 안용적 축소
②용법용량
♣ 안과 수술 중에 요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수술 전에 배뇨하도록 한다.
♣ 투여 시에는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환자의 피부나 기구 소독).
♣ 한랭기에는 체온 정도로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 개봉 후 즉시 사용하며 잔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③금기 : 천성 글리세린, 과당 대사이상증(과당불내증 포함) 환자(중증의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 있다.)
④부작용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드물게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비뇨기계 : 때때로 요잠혈반응, 혈색소뇨, 혈뇨, 요의가 나타날 수 있다.
대사이상 : 때때로 저칼륨혈증, 드물게 고나트륨혈증, 비케톤성고삼투압성 고혈당 이 나타날 수 있다.
기타 : 때때로 두통, 구갈, 드물게 완통(팔의 통증), 혈압상승, 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다.
(2) steroid(dexamethasone, solumedrol)
1) dexamethasone
①효능효과 : 부신피질호르몬제
▲ 내분비 장애, 교원성 질환, 피부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안과 질환, 위장관 질환
▲ 혈액 질환, 종양성 질환, 부종성 질환, 신경계 질환(호즈킨병:일시조치)
▲ 류마티스성 장애 급성진행 또는 악화 방지 위한 단기 투여용 보조요법
②용법용량 : 질환 및 환자, 증상에 따라 다름
③금기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이 있거나 그 병력이 있는 환자
관절강내, 점액낭내, 건초내 또는 건주위에 감염증이 있는 환자
관절이 불안정한 환자, 생백신 투여 환자, 단순포진 환자, 대상포진 환자
수두 환자,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 환자,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
④부작용
식욕증가, 소화불량, 불면, 초조, 당뇨병, 다모증, Moon face
쿠싱증후군, 소양감, 소화성 궤양, 혈압상승, 유소아 발육억제
2) solumedrol
①효능효과 : 부신피질호르몬제(항염증 효과와 면역억제 효과)
②용법용량 :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③금기
유효한 항균제가 없는 감염증 환자, 전신 진균 감염증 환자
이 약 또는 이 약 성분에 과민증 환자 및 그 병력 환자, 신생아 및 미숙아
생백신 또는 약독생백신을 투여중인 환자, 단순포진 환자, 대상포진 환자, 수두 환자
④부작용
식욕증가, 소화불량, 불면, 초조, 관절통, 다모증, 체액전해질 불균형
근무력증, 골다공증, 천공 및 출혈성 위궤양, 복부팽만, 췌장염,홍반
외상치유지연, 피부쇠약, 경련, 두통, 안압항진, 녹내장, 소아의 발육억제
(3)anti-epileptic drug
1) phenytoin
①효능효과 :
▲ 간질: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심실성 부정맥)
②용법용량
♣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용량은 발작의 정도, 환자의 내약성에 따라 조절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혈중농도를 측정한다. 본제는 1회/day 용법으로 투여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분할투여한다.
1)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1회 100mg을 3회/day 경구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300-400mg을 분할투여한다.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600mg/day까지 증량할 수 있다.
2)소아: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5mg/kg을 2-3회 분할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4-8mg/kg/day을 분할투여한다.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 나트륨으로 300mg/day까지 투여할 수 있다.
♣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 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첫날 1000mg, 둘째날 500mg을 투여하며 유지량으로 100mg/day 을 3-4회 투여한다.
③금기
히단토인계 화합물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의 혈액 및 골수장애 환자
방실블록(2, 3도) 환자
심근경색(3개월 이내) 환자
애덤스-스톡스 증후군 환자(주사제에 한함.)
동서맥, 동방블록 환자 (주사제에 한함.)
④부작용
정신신경계 : 불수의운동(이상운동증, 무도병, 고정자세불능증등), 신경병증, 어지 러움, 운동실조증, 정신착란, 구음장애, 불면, 신경과민,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드물게 두통, 권태감(주사제에한함.), 조화불능, 진전,장기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감각말초 다발신경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계 : 드물게 간질성 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피부 : 드물게 피부점막안증후군(Stevens-Johnsonsyndrome) 중독성표피괴사증(Lyell syndrome), 전신성홍반성루푸스(SLE)양 증상, 드물게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과민증 :
추천자료
신경계 구조와 기능 [논문]
신경계 수술 종류와 수술 후 간호 중재
[뇌졸중][중풍][뇌졸중 증상][중풍 증상][뇌졸중(중풍) 진단검사]뇌졸중(중풍)의 개념, 뇌졸...
12 뇌신경
파킨슨씨 병
hydrocephalus 의 증상과 간호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Case 1. 최종 - Cerebral Infaction
혈관미주신경 실신
시냅스,뉴런,신경교 구조 기능
[소아치료] 소아 신경계 질환에 관해
[신경 해부 생리학] 근육 내 수용체, 근방추[muscle spindle], GTO에 관해
노인의 변화 (심혈관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소화기계 변화, 내분비계 변화, 신경계 및 감각...
뇌와 신경계 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