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실천의 유형
2. 사회복지실천과 사회업의 통합적 방법
3. 사회복지실천의 맥락
4. 사회복지실천의 모델
5. 사회복지실천과정
2. 사회복지실천과 사회업의 통합적 방법
3. 사회복지실천의 맥락
4. 사회복지실천의 모델
5. 사회복지실천과정
본문내용
유지한다.
② 잠정적 욕구의 조건, 상황, 해결되어야 할 문제 및 조건들을 규명한다.
③ 사정평가의 과정은 과제진행에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에 명확한 초점을 둔다.
④ 이 단계에서는 과제수행을 위해 전문가가 어떻게 활동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수립으로 끝맺는다.
3) 개입행동단계
(1) 성격
①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 자원 간의 연계를 해주는 ‘중개자(broker)의 역할’
② 클라이언트의 입장을 표현해 주고, 대신하여 논쟁, 주장해 주는 ‘대변자(aduocacy)의 역할’
③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을 강화시키고, 자원의 발견과 활용을 도와주는 ‘가능하게 하는 자(enabler)의 역할’
④ 새로운 정보제공과 대인적 행동유형의 모델링(modeling)을 통하여 가르쳐 주고, 기술을 숙련하도록 지도해 주는 ‘교사(teacher)의 역할’
(2) 전문가의 활동
① 클라이언트가 지니고 있는 장점을 활용한다.
② 클라이언트와 직접 접하는 주변의 가족, 친구,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한다.
③ 전문적인 사회복지사의 자아와 기술을 활용하며, 다양한 개입역할을 수행한다.
3) 종결평가 단계
(1) 성격
서비스 업무에 관한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하며, 아울러 미진한 문제가 있을 때에는 다른 기관에 의뢰(referral) 및 동일한 기관내의 다른 전문가에게 이전(transfer)해야 하고, 종결된 이후에는 사후보호(after-care)가 일정기간 주어져야 함.
(2) 전문가의 활동
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를 종결짓는다.
② 가능한 다른 원조자원을 얻도록 의뢰하거나 이전시켜 준다.
③ 결과를 평가 한다. 단 평가는 종결단계뿐만 아니라 모든 국면에 관련되는 지속적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투입을 위한 피트백이 일어나게 한다.
참고문헌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 외 나남출판
사회복지실천론 김기태외 양서원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실천론 기본서 나눔의 집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김동배 외1인(2000).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학지사
사회복지 실천과 임상사회사업 (1999) 임상사회사업연구회 엮음 학문사
이효선(2003).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이해. 학지사.
② 잠정적 욕구의 조건, 상황, 해결되어야 할 문제 및 조건들을 규명한다.
③ 사정평가의 과정은 과제진행에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에 명확한 초점을 둔다.
④ 이 단계에서는 과제수행을 위해 전문가가 어떻게 활동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수립으로 끝맺는다.
3) 개입행동단계
(1) 성격
①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 자원 간의 연계를 해주는 ‘중개자(broker)의 역할’
② 클라이언트의 입장을 표현해 주고, 대신하여 논쟁, 주장해 주는 ‘대변자(aduocacy)의 역할’
③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을 강화시키고, 자원의 발견과 활용을 도와주는 ‘가능하게 하는 자(enabler)의 역할’
④ 새로운 정보제공과 대인적 행동유형의 모델링(modeling)을 통하여 가르쳐 주고, 기술을 숙련하도록 지도해 주는 ‘교사(teacher)의 역할’
(2) 전문가의 활동
① 클라이언트가 지니고 있는 장점을 활용한다.
② 클라이언트와 직접 접하는 주변의 가족, 친구,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한다.
③ 전문적인 사회복지사의 자아와 기술을 활용하며, 다양한 개입역할을 수행한다.
3) 종결평가 단계
(1) 성격
서비스 업무에 관한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하며, 아울러 미진한 문제가 있을 때에는 다른 기관에 의뢰(referral) 및 동일한 기관내의 다른 전문가에게 이전(transfer)해야 하고, 종결된 이후에는 사후보호(after-care)가 일정기간 주어져야 함.
(2) 전문가의 활동
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를 종결짓는다.
② 가능한 다른 원조자원을 얻도록 의뢰하거나 이전시켜 준다.
③ 결과를 평가 한다. 단 평가는 종결단계뿐만 아니라 모든 국면에 관련되는 지속적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투입을 위한 피트백이 일어나게 한다.
참고문헌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 외 나남출판
사회복지실천론 김기태외 양서원
2012년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사회복지실천론 기본서 나눔의 집
신성자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양서원
이윤로 (2007).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
김기태 외 4인 (2002).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3인 (2005).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
엄명용 외2인 (2008).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학지사
김동배 외1인(2000).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학지사
사회복지 실천과 임상사회사업 (1999) 임상사회사업연구회 엮음 학문사
이효선(2003).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의 이해. 학지사.
추천자료
지역사회실천 전술-에린브로코비치 에서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협의회와 푸드뱅크, 푸드마켓
사회극놀이(사회극, 소시오드라마)의 발달, 사회극놀이(사회극, 소시오드라마)의 정의, 사회...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정의와 자아정체감 필요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
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
사회복지실천론-장애인복지와사례관리.hwp
집단사회사업의 접근방법, 집단사회복지사의 역할, 집단개입단계와 사회복지사의 과제
사회복지실천 사례를 선정하여 관련 체계를 분석하시오.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중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모형과 그 이...
[사회복지실천의 변화과정] 직접적 개입방법과 간접적 개입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