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와 종결 및 사후지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와 종결 및 사후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평가
2. 종결
3. 사후지도

본문내용

지도
1. 평가
2. 종결
3. 사후지도
최근 평가, 종결 그리고 사후지도를 각기 별개의 단계로 나누기도 하지만 평가와 사후지도는 종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대체적으로 이들을 함께 논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평가와 종결 그리고 사후지도를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1. 평가
사회복지실천에서 평가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오늘날 평가는 사회복지실천의 계획된 변화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책임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에 기인한다.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 볼 때 평가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 서비스의 효과성뿐 아니라 전문적 기술과 지식의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평가에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가 있다. 형성평가는 원조과정에 초점이 있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진전 상황을 평가한다면 이것은 일정의 형성평가이다. 사회복지기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PERT차트 - 프로그램 목적을 보여주고 수행되어야 할 모든 활동,. 각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 활동의 순서, 필요한 자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역시 형성평가의 한 형태이다. 어느 진행 시점에서 보더라고 무엇이-누구에 의해-어느 날짜까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 차트는 과정이 계획한 바대로 진전되고 있는지 그리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총괄평가는 계획한 변화과정이 시작시점에서 기대하였던 결과가 성취되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계획된 변화과정이 끝난 후에 평가할 수 있다. 요약해 보면 형성평가는 계획된 변화과정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총괄평가는 변화과정이 종결된 시점에 이루어진다. 총괄평가는 이미 발생한 것을 총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반대로 형성평가는 미래지향적이며 앞으로 오게 될 것에 영향을 미치고자 함이다.
1) 단일사례설계
단일사례설계(single-subject design)는 흔히 단일 사례(혹은 클라이언트)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단일사례 설계는 개입 이전의 상태와 개입 이후의 상태를 비교하는 것으로 흔히 AB설계라고도 한다. 여기에서 A는 개입이전 상태 그리고 B는 개입 상태를 의미한다. 단일사례설계는 우선 측정할 수 있는 목적을 설정하고 개입이전의 행동 빈도를 보여주는 기초 선을 설정한다. 다음에는 개입을 하면서 행동 빈도를 기록하고 이를 도표에 표시함으로써 변화를 쉽게 살펴볼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에서는 기초선을 측정할 수 없는 상황도 많으며 이 경우 개입기간의 행동기록만 이용가능한데 이를 B설계라고 한다. 그 외에도 단일사례 설계는 두 가지의 개입방법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ABC 설계 그리고 개입을 한 후 일정 기간동안 중단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방법으로 개입하는 ABAB설계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ABAB 설계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즉, 개입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입을 중단한다는 것을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복지기관의 사정 혹은 사회복지사 개인의 사정으로 개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ABAB설계에 의한 평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목적성취척도
목적성취척도에서는 목적성취를 결과기준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의 문제(예, 실업)가 아니라 희망상태(예, 취업)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단일사례설계로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입을 평가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목적이 쉽게 측정되지 않을 경우등이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매맞는 여성을 위한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가해남편에 대한 접근금지명령을 획득하고, 직장을 구하고, 가족과 친구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망을 재수립하는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클라이언트가 남편과 헤어지며 좋은 직장을 찾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자아존중감과 독립심에서 상당한 향상이 있었다고 할 때, 이를 목적성취척도를 활용하여 차트화할 수 있다.
결과수준
목적1
목적2
목적3
최악의
결과
클라이언트가 가해자에게 돌아가고 목적을 포기함
클라이언트가 가해자에게 돌아가고 목적을 포기함
클라이언트가 가해자에게 돌아가고 목적을 포기함
기대이하의 결과
클라이언트가 한군데 취직서류를 제출함
클라이언트가 접근금지 명령을 얻기 위해 법원과 접촉함
클라이언트가 옛 친구 한 명에게 연락함
기대수준의 결과
클라이언트가 2-3군데 취직서류를 제출함
클라이언트가 접근금지명령을 획득함
클라이언트가 친구들과 시간을 보냄
기대이상의 결과
클라이언트를 고용하겠다는 곳이 있으나 클라이언트가 이를 원하지 않음
클라이언트의 배우자가 접근금지 명령을 위반하지 않음
클라이언트가 몇 명의 친구와 시간을 보냄
최상의
결과
클라이언트가 좋은 직장에 취업을 함
배우자가 집을 떠나서 클라이언트가 집에서 지낼수 있게 됨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친구를 사귐
3) 과제성취척도
과제성취척도는 과제가 성취된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사회복지실천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제중심의 개입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과제성취척도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합의한 과제를 완수하는 정도를 평가하게 되며, 전형적으로 5점 척도를 사용한다. 히드와 엡스타인은 4(과제를 완전히 성취함)에서 3(과제를 상당히 성취함), 2(과제를 부분적으로 성취함), 1(과제를 최소한으로 성취함) 그리고 0(과제를 수행할 기회가 없었음)까지의 5점 척도를 사용한다.
4) 클라이언트 만족도 설문
이 방법은 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회복지실천에서도 상황에 따라 개입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만족도 설문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클라이언트 만족도 설문은 단일 사례 뿐 아니라 집단 혹은 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직접적 서비스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8.10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