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격과 기질
제1절 트레이트 심리학
제2절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제3절 진화심리학과 행동유전학
제1절 트레이트 심리학
•Allport의 개성의 탐색•
1. 성격과 트레이트의 정의
2. 상황과 트레이트
3. 트레이트들의 분류
제2절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1. 상호 결정론 : 인지, 행동, 환경의 상호 영향
2. 대리 역량
3. 자기조절
4. 자기효능(self-efficacy)
제3절 진화심리학과 행동유전학
1. 진화심리학
•성책략 이론•
2. 행동유전학
⑴ 지능의 유전
⑵ 기질과 그에 대한 적응 기질
참고자료
제1절 트레이트 심리학
제2절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제3절 진화심리학과 행동유전학
제1절 트레이트 심리학
•Allport의 개성의 탐색•
1. 성격과 트레이트의 정의
2. 상황과 트레이트
3. 트레이트들의 분류
제2절 행동주의와 사회인지 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1. 상호 결정론 : 인지, 행동, 환경의 상호 영향
2. 대리 역량
3. 자기조절
4. 자기효능(self-efficacy)
제3절 진화심리학과 행동유전학
1. 진화심리학
•성책략 이론•
2. 행동유전학
⑴ 지능의 유전
⑵ 기질과 그에 대한 적응 기질
참고자료
본문내용
내는 문제
ⓓ 헌신과 투자를 최소화하는 문제
③ 반면 남자가 역사적으로 장기적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네 가지 문제는?
ⓐ 번식적으로 가치있는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자신이 자녀의 아버지라는 확실성을 확보하는 문제
ⓒ 좋은 엄마가 될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장기 짝짓기 관계에 헌신하려 들고 또 할 수 있는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④ 여자들은 역사적으로 번식 성공에서 일차적으로 자신과 자녀를 위해 확보할 수 있는 외적 자원의 양과 질에 의해 그리고 아마 이차적으로 그 남자의 유전자들의 질에 의해 제약되어 왔다.
⑤ 이 제약들은 여자가 역사적으로 단기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한 두 문제로 나눌 수 있다.
ⓐ 즉시적 자원 추출 문제
ⓑ 장래의 장기짝들을 평가하는 문제
⑥ 반면 여자가 장기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한 적응문제들에는,
ⓐ 자신과 자녀에게 장기적으로 자원을 투자할 능력을 가진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자신과 자녀에게 장기적으로 자원을 투자할 태세가 된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좋은 아버지가 될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장기 관계에 헌신하려 들고 또 할 수 있는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공격적 남자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해 줄 수 있고 또 그러려 드는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2. 행동유전학
행동유전학자들은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사촌, 일란성과 이란성 쌍생아 등 유전과 환경을 여러 다른 정도로 공유하는 가족성원들을 연구하여 전집 내에서 관찰된 성격특성들의 차이중에서 어느 만큼이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추정합니다. 전집변량 중에서 유전의 차이에 기인하는 변량의 비율을 유전성(heritability)이라 합니다.
⑴ 지능의 유전
지능은 다른 어떤 성격특성보다도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격의 유전적, 환경적 기여를 연구하는 데 특히 많이 채택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면 환경이 유사할수록 IQ유사성도 더 큽니다. 서로 다른 친부모를 가진 양자들은 같은 환경에서 자라도 따로 자란 타인들처럼 IQ 유사성이 없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행동유전학의 놀라운 결론 중의 하나는 일반적으로 동일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환경을 공유해도 서로 유사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함께 자라는 혈연관계가 있는 아동들이 대부분의 성격특성들 상에서 유사한 정도가 그들이 따로 자랄 경우와 차이가 없었고, 또 혈연관계가 없이 자란 아동들이 혈연관계가 없는 아동들 보다 더 유사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환경적 전달의 단위가 가족이 아니라 가족내소환경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⑵ 기질과 그에 대한 적응 기질
연구자들은 인간이 어릴 때부터 타고난 기질(temperament) 때문에 같은 자극이나 환경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기질은 “유전, 성숙, 경험에 의해 시간이 가면서 영향받는 반응성과 자기조절의 체질적(constitutionally based), 개인차(Rothbart & Ahadi, 1994. p.55)”라고 정의됩니다. 즉 자극들에 정서적, 생리적으로 반응하는 강도가 사람마다 다르며 또 그 반응성에 대한 조절과 적응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예민한 사람은 강한 자극을 피하는 조절기제를 발달시킬 것입니다. 이 반응성과 자기조절은 신체적 토대를 가지지만, 성숙, 경험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자료
- 이근홍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 김동배, 권중돈 공저 <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 시부야 쇼조 <즐거운 일상을 만드는 심리실험이야기> 일빛
- 이종복,전남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현사
- 이인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 헌신과 투자를 최소화하는 문제
③ 반면 남자가 역사적으로 장기적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네 가지 문제는?
ⓐ 번식적으로 가치있는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자신이 자녀의 아버지라는 확실성을 확보하는 문제
ⓒ 좋은 엄마가 될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장기 짝짓기 관계에 헌신하려 들고 또 할 수 있는 여자를 알아내는 문제
④ 여자들은 역사적으로 번식 성공에서 일차적으로 자신과 자녀를 위해 확보할 수 있는 외적 자원의 양과 질에 의해 그리고 아마 이차적으로 그 남자의 유전자들의 질에 의해 제약되어 왔다.
⑤ 이 제약들은 여자가 역사적으로 단기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한 두 문제로 나눌 수 있다.
ⓐ 즉시적 자원 추출 문제
ⓑ 장래의 장기짝들을 평가하는 문제
⑥ 반면 여자가 장기 짝짓기 책략을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해결해야 한 적응문제들에는,
ⓐ 자신과 자녀에게 장기적으로 자원을 투자할 능력을 가진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자신과 자녀에게 장기적으로 자원을 투자할 태세가 된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좋은 아버지가 될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장기 관계에 헌신하려 들고 또 할 수 있는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 공격적 남자들로부터 그들을 보호해 줄 수 있고 또 그러려 드는 남자를 알아내는 문제
2. 행동유전학
행동유전학자들은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사촌, 일란성과 이란성 쌍생아 등 유전과 환경을 여러 다른 정도로 공유하는 가족성원들을 연구하여 전집 내에서 관찰된 성격특성들의 차이중에서 어느 만큼이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추정합니다. 전집변량 중에서 유전의 차이에 기인하는 변량의 비율을 유전성(heritability)이라 합니다.
⑴ 지능의 유전
지능은 다른 어떤 성격특성보다도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격의 유전적, 환경적 기여를 연구하는 데 특히 많이 채택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면 환경이 유사할수록 IQ유사성도 더 큽니다. 서로 다른 친부모를 가진 양자들은 같은 환경에서 자라도 따로 자란 타인들처럼 IQ 유사성이 없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행동유전학의 놀라운 결론 중의 하나는 일반적으로 동일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환경을 공유해도 서로 유사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함께 자라는 혈연관계가 있는 아동들이 대부분의 성격특성들 상에서 유사한 정도가 그들이 따로 자랄 경우와 차이가 없었고, 또 혈연관계가 없이 자란 아동들이 혈연관계가 없는 아동들 보다 더 유사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환경적 전달의 단위가 가족이 아니라 가족내소환경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⑵ 기질과 그에 대한 적응 기질
연구자들은 인간이 어릴 때부터 타고난 기질(temperament) 때문에 같은 자극이나 환경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기질은 “유전, 성숙, 경험에 의해 시간이 가면서 영향받는 반응성과 자기조절의 체질적(constitutionally based), 개인차(Rothbart & Ahadi, 1994. p.55)”라고 정의됩니다. 즉 자극들에 정서적, 생리적으로 반응하는 강도가 사람마다 다르며 또 그 반응성에 대한 조절과 적응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예민한 사람은 강한 자극을 피하는 조절기제를 발달시킬 것입니다. 이 반응성과 자기조절은 신체적 토대를 가지지만, 성숙, 경험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자료
- 이근홍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 김동배, 권중돈 공저 <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 시부야 쇼조 <즐거운 일상을 만드는 심리실험이야기> 일빛
- 이종복,전남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현사
- 이인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