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자각론』과 사회진화론적 진보주의
2.『조선문명사』의 역사인식과 자료
3. 안확의 사학사적 의의
2.『조선문명사』의 역사인식과 자료
3. 안확의 사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한 조선에 대한 긍정 외에도, 시대구분을 통해 근대 사서의 체제를 한국사에 적용했다는 점과 비교사의 단초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시대구분에 관한 것은 전술하였고, 비교사에 관해서 그는 佛蘭西, 獨逸, 米國, 英國, 羅馬와 같은 나라들의 역사와 제도를 『조선문명사』에서 수도 없이 언급하고 있다. 그러한 서양사와의 비교가 종종 직관적인 수준에 그칠뿐 아니라 중국사와 일본사 등은 접어두고 오로지 서양사와 조선사를 비교하고 있는 것도 안확 역사 인식의 한계라 비판받을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문명사』에서 안확이 보여주는 서양 문명에 관한 폭넓은 지식은 1920년대 한국 역사서의 수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며, 따라서 비교사의 단초를 보인 사서였다고 평하는 것이 잘못된 평가가 되지는 않을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