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피하 주사 (supcutaneous injectoin)
(목적)
(준비 물품)
(방법)
(피하주사 부위)
(유의사항)
●주의하여야 할 피하주사
5.흡인(suction)
1.목적
2.준비물품
3.방법
(1)구강 및 비강 흡인
(2)기관 흡인
4.유의 사항
(목적)
(준비 물품)
(방법)
(피하주사 부위)
(유의사항)
●주의하여야 할 피하주사
5.흡인(suction)
1.목적
2.준비물품
3.방법
(1)구강 및 비강 흡인
(2)기관 흡인
4.유의 사항
본문내용
멸균장밥, 멸균된 용액(생리식염수나 증류수), 검사물 용기, 개구기, 산소주입물품(필요시)
3.방법
1.손을 씻고 침상가를 정리하며 흡인압을 점검한다.(성인에서 80~140mmHg)정도로 사용
2.흡인경로를 결정하고 경로의 지름이 1/2정도인 카테터를 선택한다.
3.필요시 산소공급 준비를 하며 대상자와 가족에세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4.대상자 체위를 편하게 하고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고 스크린을 친다.
5.구강이나 비강 기도에 삽입하고 멸균된 용약을 멸균된 컵에 따른다.
6.한손만 장갑을 끼고 카테터를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7.맥박과 혈약내 산소 분압을 확인하고 산소 농도와 환기를 가능한한 높게 증가시킨다.
8.카테터를 멸균된 용약으로 윤활시키고 엄지손으로 눌러보아 잘 통과되는지 확인한다.
9.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장갑낀 손으로 카테터를 해당 경로로 주입한다.
10.카테터를 주입하는 동안은 엄지로 누르거나 흡인은 하지 않는다. 흡인시는 엄지로 눌러서 흡인하도록 한다. 자극하여 기침을 하거나 저항감 혹은 분비물이 있는 곳까지 계속한다.
11.카테터를 넣었다 뺏다 하면서 간헐적으로 흡인한다.
12.카테터를 손끝으로 돌리면서 흡인하고 뺄때는 손가락으로 돌려서 빼도록 한다.
13.카테터를 주입하는 시간은 10~15초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
14.경로를 바꾸게 되면 카테터, 장갑, 컵, 용약등을 교환하고 흡인이 끝나면 카테터를 뺀다
15.적어도 5회 호흡이전에 산소 공급과 팽창된 주머니를 사용한다.
16.분비물이 남아있으면 다시 반복하고 분비물 흡인이 끝났으면 카테터,장갑,컵등은 버린다.
17.효과에 대해 대상자
3.방법
1.손을 씻고 침상가를 정리하며 흡인압을 점검한다.(성인에서 80~140mmHg)정도로 사용
2.흡인경로를 결정하고 경로의 지름이 1/2정도인 카테터를 선택한다.
3.필요시 산소공급 준비를 하며 대상자와 가족에세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4.대상자 체위를 편하게 하고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고 스크린을 친다.
5.구강이나 비강 기도에 삽입하고 멸균된 용약을 멸균된 컵에 따른다.
6.한손만 장갑을 끼고 카테터를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7.맥박과 혈약내 산소 분압을 확인하고 산소 농도와 환기를 가능한한 높게 증가시킨다.
8.카테터를 멸균된 용약으로 윤활시키고 엄지손으로 눌러보아 잘 통과되는지 확인한다.
9.산소 공급을 중단하고 장갑낀 손으로 카테터를 해당 경로로 주입한다.
10.카테터를 주입하는 동안은 엄지로 누르거나 흡인은 하지 않는다. 흡인시는 엄지로 눌러서 흡인하도록 한다. 자극하여 기침을 하거나 저항감 혹은 분비물이 있는 곳까지 계속한다.
11.카테터를 넣었다 뺏다 하면서 간헐적으로 흡인한다.
12.카테터를 손끝으로 돌리면서 흡인하고 뺄때는 손가락으로 돌려서 빼도록 한다.
13.카테터를 주입하는 시간은 10~15초 이상 초과하지 않는다.
14.경로를 바꾸게 되면 카테터, 장갑, 컵, 용약등을 교환하고 흡인이 끝나면 카테터를 뺀다
15.적어도 5회 호흡이전에 산소 공급과 팽창된 주머니를 사용한다.
16.분비물이 남아있으면 다시 반복하고 분비물 흡인이 끝났으면 카테터,장갑,컵등은 버린다.
17.효과에 대해 대상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