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병합발전의개요
2. 국제열병합발전
3. 결론 및 고찰
■ 참고문헌
2. 국제열병합발전
3. 결론 및 고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다
① 미국
▶ 미국은 1978년의 공익사업규제정책법 외에 수요 추진시책으로서는 1988년에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에 서 제안된 전기사업에 대폭적인 경쟁을 도입하는 규제제정안이 있다. 잉여전 력의 매입에 관해서는 공익사업규제정책법에서 전기사업자가 비전기사업자의 잉여전력을 매입하는 방침을 명확히 내세웠다. 동법 제210조는 전기사업자가 인정설비인 열병합발전설비나, 소규모발전설비에 대해 전기를 판매하거나 구 입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 가스터빈과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보급대수는(엔진의 경우 가스엔진과 디젤 엔진을 합한 것임) 총 874대이고, 총용량은 1,439,100kW로 미국 열병합발전 보급대수의 89.2%(전체 980대)이고, 총용량의 29.2%(전체 4,926,130kW)이 다. 원동기 용량별로 나누어 보면 아래의 표Ⅶ-6과 같고 엔진열병합의 경우 1,000kW 이하 용량이 주로 설치된 반면 가스터빈 열병합발전의 경우 1,000~5,000kW 정도의 용량에서 가장 활발하게 보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 다.
<표11. 용량별 보급현황>
<표12. 용도별 설치현황>
② 캐나다
▶ 캐나다의 발전량 전체에 대한 열병합 발전 비중은 6% 정도로서 유럽 선진국 에 비하여 좀 낮은 수치이다.(미국 및 독일은 각각 8% 및 11%, 네덜란드 38%, 덴마크 50%, 그리고 핀랜드는 32%이다.) 따라서, 캐나다는 2010까지 총 발전량의 20%인 7 기가 와트를 발전할 것으로 예 상되며, 유럽연합은 회 원국으로 하여금 2010년까지 열 병합 발전량을 현 행 전체발전량의 9%에서 18%인 2배정도로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추진 중에 있다.
▶ 캐나다에서는 열병합 발전 에 사용되는 주요발전 5 대 기슬은 증기터빈, 가 스터빈, 혼합엔진(디젤엔진과 스파크점화엔진을 포함), 마이크로 터빈 및 복 합 사이클 가스 터빈이며, 최근 새로이 바이오매스가스화, 석탄가스화, 연 료전지 및 스터링 엔진을 이용한 기술들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 사용 연료는 천연가스, 디젤, 석탄 외에 펄프액, landfill가스, 나무쓰 레기 등의 폐 연료 등이다.
▶ 캐나다 정부는 열병합발전이 가져다주는 환경, 사회, 및 경제적 이점 을 고려 하여 캐나다의 열 병합 발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각종 지원 정책을 마련하 여 추진 중에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저 탄소배출을 위한 국가 발전 표준 제정
ⓐ 전기 생산 시 저 탄소 발생을 의무화하도록 국가표준 마련
ⓑ 동 표준 제정은 연방 정부의 정책 수행시의 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무임승차하는 정책 수혜자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 수단임
ⓒ 또한 열병합발전을 증대시키도록 전기 시장의 변화를 유도하게 될 것으로 예상
ㅇ 친환경 열병합발전 인증제도 신설 운영
ⓐ 저 탄소배출을 위한 국가 발전 표준을 제정하여 저탄소 발생 자원의 인 증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서는 친환경 프로그램의 대상을 열 병합 발전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열병합 발전시스템의 크기, 열 부하에 대한 필요조건 및 열병합발전 시스 템 대체 이전의 독립시스템 등을 고려하여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동 표준은 캐나다의 고품질 열병합 발전을 의미하게 되며 세금 면제를 유도하기 위한 좋은 조건이 될 것임
3. 결론
지난 10년간 우리 나라는 에너지사용 부문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어왔으며, 현제 계속되는 국제유가 인상과 중동지역의 지속되는 긴장과 불안은 우리경제에 항상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CO2 등 온실가스를 저감하자는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등은 ’92년 리우데자네이로에서 시작된 이래 각국의 다양한 이견을 통해 논란을 겪고 있지만 이미 국제사회가 참여해야 할 새로운 과제이며 향후 세계 무역 구도를 재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가 특히 이런 문제에 반응이 민감한 것은 국내 수요의 97%가 넘는 에너지를 해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자원빈국이기 때문이다. 또한 매년 우리나라 총수입액의 1/4에 가까울 만큼 큰 금액이 에너지수입 비용으로 쓰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에너지소비증가 세계 상위권에 드는 에너지과소비국이다.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가격,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중공업 중심의 경제, 우리 사회를 휩쓸었던 과소비 등으로 경제성장률을 훨씬 상회하는 에너지소비증가율을 보였고, 에너지이용효율도 다른 다라 선진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같이 전 세계적으로 유가가 불안정하고 환경오염 문제가 중요한 시기에 이에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의 고효율이다.
에너지지의 고효율에는 여러 가지 방법은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열병합발전(Cogenration system)을 들 수 있다. 현 에너지 생산기기 및 시설과 비교하였을때 아주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면에서도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는 열병합발전에 대한 내용과 세계에서의 발전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럽 및 미국 등의 환경보전 및 에너지의 효율 측면에서 정책적인 지원을 통한 보급 및 발전과 특히 유럽의 오랜 발전 역사와 현재 총 에너지 생산에서는 작은 비율을 차지히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는 성황을 설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현 열병합의 발전과 더불어 비교해 보면서 우리 나라의 앞으로의 발전과제 등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참고문헌
http://seis.scienceall.com/ 과학콘텐츠 진흥센터
http://www.stepi.re.kr/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http://www.neasiaenergy.net/ 동북아 에너지 연구센터
http://www.dicer.org/ 한국과학재단지정 환경공학연구정보센터
http://www.kemco.or.kr/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cogeneration.co.kr/ 소형열병합 발전에너지 jounal
http://lib.kier.re.kr/ 에너지기술정보 사이트
http://www.dieselpub.com 디젤, 가스터빈 발표 사이트
① 미국
▶ 미국은 1978년의 공익사업규제정책법 외에 수요 추진시책으로서는 1988년에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에 서 제안된 전기사업에 대폭적인 경쟁을 도입하는 규제제정안이 있다. 잉여전 력의 매입에 관해서는 공익사업규제정책법에서 전기사업자가 비전기사업자의 잉여전력을 매입하는 방침을 명확히 내세웠다. 동법 제210조는 전기사업자가 인정설비인 열병합발전설비나, 소규모발전설비에 대해 전기를 판매하거나 구 입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 가스터빈과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보급대수는(엔진의 경우 가스엔진과 디젤 엔진을 합한 것임) 총 874대이고, 총용량은 1,439,100kW로 미국 열병합발전 보급대수의 89.2%(전체 980대)이고, 총용량의 29.2%(전체 4,926,130kW)이 다. 원동기 용량별로 나누어 보면 아래의 표Ⅶ-6과 같고 엔진열병합의 경우 1,000kW 이하 용량이 주로 설치된 반면 가스터빈 열병합발전의 경우 1,000~5,000kW 정도의 용량에서 가장 활발하게 보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 다.
<표11. 용량별 보급현황>
<표12. 용도별 설치현황>
② 캐나다
▶ 캐나다의 발전량 전체에 대한 열병합 발전 비중은 6% 정도로서 유럽 선진국 에 비하여 좀 낮은 수치이다.(미국 및 독일은 각각 8% 및 11%, 네덜란드 38%, 덴마크 50%, 그리고 핀랜드는 32%이다.) 따라서, 캐나다는 2010까지 총 발전량의 20%인 7 기가 와트를 발전할 것으로 예 상되며, 유럽연합은 회 원국으로 하여금 2010년까지 열 병합 발전량을 현 행 전체발전량의 9%에서 18%인 2배정도로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추진 중에 있다.
▶ 캐나다에서는 열병합 발전 에 사용되는 주요발전 5 대 기슬은 증기터빈, 가 스터빈, 혼합엔진(디젤엔진과 스파크점화엔진을 포함), 마이크로 터빈 및 복 합 사이클 가스 터빈이며, 최근 새로이 바이오매스가스화, 석탄가스화, 연 료전지 및 스터링 엔진을 이용한 기술들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 사용 연료는 천연가스, 디젤, 석탄 외에 펄프액, landfill가스, 나무쓰 레기 등의 폐 연료 등이다.
▶ 캐나다 정부는 열병합발전이 가져다주는 환경, 사회, 및 경제적 이점 을 고려 하여 캐나다의 열 병합 발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각종 지원 정책을 마련하 여 추진 중에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저 탄소배출을 위한 국가 발전 표준 제정
ⓐ 전기 생산 시 저 탄소 발생을 의무화하도록 국가표준 마련
ⓑ 동 표준 제정은 연방 정부의 정책 수행시의 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무임승차하는 정책 수혜자를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 수단임
ⓒ 또한 열병합발전을 증대시키도록 전기 시장의 변화를 유도하게 될 것으로 예상
ㅇ 친환경 열병합발전 인증제도 신설 운영
ⓐ 저 탄소배출을 위한 국가 발전 표준을 제정하여 저탄소 발생 자원의 인 증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서는 친환경 프로그램의 대상을 열 병합 발전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열병합 발전시스템의 크기, 열 부하에 대한 필요조건 및 열병합발전 시스 템 대체 이전의 독립시스템 등을 고려하여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 동 표준은 캐나다의 고품질 열병합 발전을 의미하게 되며 세금 면제를 유도하기 위한 좋은 조건이 될 것임
3. 결론
지난 10년간 우리 나라는 에너지사용 부문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어왔으며, 현제 계속되는 국제유가 인상과 중동지역의 지속되는 긴장과 불안은 우리경제에 항상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CO2 등 온실가스를 저감하자는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 등은 ’92년 리우데자네이로에서 시작된 이래 각국의 다양한 이견을 통해 논란을 겪고 있지만 이미 국제사회가 참여해야 할 새로운 과제이며 향후 세계 무역 구도를 재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가 특히 이런 문제에 반응이 민감한 것은 국내 수요의 97%가 넘는 에너지를 해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자원빈국이기 때문이다. 또한 매년 우리나라 총수입액의 1/4에 가까울 만큼 큰 금액이 에너지수입 비용으로 쓰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에너지소비증가 세계 상위권에 드는 에너지과소비국이다.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가격,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중공업 중심의 경제, 우리 사회를 휩쓸었던 과소비 등으로 경제성장률을 훨씬 상회하는 에너지소비증가율을 보였고, 에너지이용효율도 다른 다라 선진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같이 전 세계적으로 유가가 불안정하고 환경오염 문제가 중요한 시기에 이에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의 고효율이다.
에너지지의 고효율에는 여러 가지 방법은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열병합발전(Cogenration system)을 들 수 있다. 현 에너지 생산기기 및 시설과 비교하였을때 아주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면에서도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는 열병합발전에 대한 내용과 세계에서의 발전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럽 및 미국 등의 환경보전 및 에너지의 효율 측면에서 정책적인 지원을 통한 보급 및 발전과 특히 유럽의 오랜 발전 역사와 현재 총 에너지 생산에서는 작은 비율을 차지히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는 성황을 설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현 열병합의 발전과 더불어 비교해 보면서 우리 나라의 앞으로의 발전과제 등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참고문헌
http://seis.scienceall.com/ 과학콘텐츠 진흥센터
http://www.stepi.re.kr/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http://www.neasiaenergy.net/ 동북아 에너지 연구센터
http://www.dicer.org/ 한국과학재단지정 환경공학연구정보센터
http://www.kemco.or.kr/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cogeneration.co.kr/ 소형열병합 발전에너지 jounal
http://lib.kier.re.kr/ 에너지기술정보 사이트
http://www.dieselpub.com 디젤, 가스터빈 발표 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