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테오 앙겔로풀로스(Theo Angelopoulos)의 '안개 속의 풍경(Landscape In The Mist/Topio Stin Omichli)'을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감상문] 테오 앙겔로풀로스(Theo Angelopoulos)의 '안개 속의 풍경(Landscape In The Mist/Topio Stin Omichli)'을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념으로 만나는 미학

<안개 속의 풍경>


영화를 봐야 하는 이유.
줄거리 자체가 코멘트.
현실을 밟게 된 아이들.
그것이 성장이란 것을 알까.
보울라와 알렉산더를 위한, 내가 할 수 있는 정도의 이해.
보울라와 알렉산더를 위한, 내가 할 수 있는 정도의 위로.

본문내용

고 시작되는 연극, 하지만 극장에서의 공연이 완전히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고 단원들은 이 시대를 증오한다. 허망하게 바다로 가는 단원들의 뒷모습이 지금 시대와 대사 속 시대가 다를 게 뭐냐고 말하는 듯 했다.
그것이 성장이란 것을 알까.
아이들은 다시 비오는 도로에 서있다. 그리고 한 트럭에 자리를 빌린다. 밤새 달려 어느 공터에 세워진 트럭. 알렉산더가 잠든 사이 트럭 주인은 강제로 보울라를 데리고 트럭 뒤 칸으로 간다. 겁탈. 거의 5 분 동안 영화는 어떤 내용도 비춰주지 않고 그저 트럭의 뒷모습만 보여준다. 가끔 서는 차는 도움의 손길인가 착각하게 했으나 무관심하게 지나갈 뿐. 소녀의 비명이 들릴 것 만 같다 그래서 숨소리조차 조심스럽게 내뱉어야했던 순간. 그래서 더 숨 막히는 침묵이었고 침묵은 보이는 것보다 더 컸다. 보울라를 찾는 알렉산더의 외침은 소녀의 비명과도 같은 것이었을까. 결국 성장도 어긋남도 아닌 피를 토해내는 보울라. 보울라는 기차에서 또 다시 아버지에게 편지를 쓴다.
<우린 계속 여행 중이에요. 도시, 사람 모든 게 빨리 지나갑니다. 하지만 가끔 우린 너무 피곤해요. 우리가 있는 곳이 어딘지 아는 게 피곤했어요. 전 며칠 동안 아주 아팠고, 다 타버렸어요. 독일이 너무 멀어 갈 수 없을 것만 같기도 했어요. 알렉산더는 미쳐가요. 자란다는 것은 미쳐가는 거예요. 내가 자기를 배신했다고 말했어요. 전 부끄러웠어요. 우린 각자 서로 같은 세상을 보면서 침묵에 빠져요.>
아이들은 여행을 계속하고 있지만, 피곤을 마주한 보울라는, ‘피곤’이 곧 ‘현실 속에 있다는 것’임을 알게 된다. 피곤함은 가끔 여행의 목적을 잊어버리게도 -아버지를 잊어버리게도, 하지만, 잃지는 않겠다고 한다. 마음의 성장과 다르게 시작된 몸의 성장으로 보울라의 순수함이 타버렸다. 보울라의 원치 않는 성장을 본 알렉산더 역시. 맞지 않는 성장은 아이들을 미치게 만든다. 창 앞에서 보울라의 피 묻은 손을 연상시키듯 손가락을 비비적거리던 알렉산더의 작은 손이, 그 손을 응시하던 알렉산더의 눈빛이 잊히지 않는다.
경찰을 보고 기차에서 도망쳐 어딘가로 온 아이들은 오레스테스와 다시 만난다. 오토바이를 타고 도망치는 세 사람. 언덕을 내려오며 “이륙한다.”고 말하는 오레스테스. 그것이 아이들에게 어떤 날갯짓이 되기를 바래본다. 바닷가로 온 이들, 청년이 보울라에게 춤을 추자고 한다. 그의 손을 뿌리치고 멀리 달려가는 보울라, 그리고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8.28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