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으로서의 사회적 기업 지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회적 기업의 개념
사회적 기업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현황
경기복지재단의 사회적 기업 연구

본문내용

번 2~3명 연구위원의 발제와 이에 대한 토론을 벌이고 있으며, 연말에 이를 정리한 ‘경기도 사회적 기업 연구총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2. 경기도 사회적 기업 실태조사 및 경기도 사회적 기업 모형개발연구경기도에는 49개의 인증 사회적 기업과 97개의 예비 사회적 기업, 100여개의 경기도형 예비 사회적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이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병행하여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경기도 사회적 기업 모형개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3. 한·영 국제심포지엄 개최2010년 7월 8일 프레스센터에서 영국의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인 Social Enterprise London(SEL)의 Allison. N 소장 등을 초청하여 한국과 영국의 사회적 기업 현황과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그로부터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사회적 기업이 심화되어 가는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사회통합방안이며 취약계층의 노동통합을 통한 복지정책으로서 블루오션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의 역사가 짧고 그 정책 기반이 취약하여 개념 정의에서부터 전달체계에 이르기 까지 많은 혼란이 존재하는 것 또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책방향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과 자활 공동체와의 관계 설정,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협치 가능성 검토, 주류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프로보노 등의 기업의 사회공헌 활성화, 지역 중심의 사회적 기업 발굴 등이 향후 개선해야 할 과제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8.29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