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주제 선정 동기 및 중국 시장 현황
본론 -1. 진출과정
2. 이마트의 글로벌화 전략
1)현지화 전략
2)차별화 전략
3)In China, 이마트가 고려한, 고려해야 할 세부 사항
3.이마트의 고민
4.이마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
결론 - 그래서 이마트는?
본론 -1. 진출과정
2. 이마트의 글로벌화 전략
1)현지화 전략
2)차별화 전략
3)In China, 이마트가 고려한, 고려해야 할 세부 사항
3.이마트의 고민
4.이마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
결론 - 그래서 이마트는?
본문내용
하여 육류와 주류, 고급식품, 건강식품, 유기농식품 선호도 증가. 소득 증가에 따른 현상이다. 이미 발전한 선진국과 같은 경우 앵갤지수로 그 국가의 경제력을 평가하는 것이 과거의 것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건강한 자본주의가 정착되지 않았고, 아직 성장 중인 중국의 위와 같은 변화는, 국민의 소비력 증가와 함께 그 이상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예상 할 수 있게 한다.
Anyway, China Dream?_(물류업계와 중국)
낙후된 물류관리
중국 유통, 물류 시장은 도매의 개념이 아직까지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았다. 한국의 경우도 겨우 근래에 와서야 소매업체와 택배 시스템의 발달로 정합해진 물류시스템을 갖췄지만, 중국에서 RFID, 유비쿼터스적인 어떤 것을 기대하기는 아직 무리가 있다. 그것은 둘째 치더라도 더 근본적인 인프라도 탄탄하지 못하다. 중국의 물류시설 및 운송수단은 경제 선진국들에 비해 낙후된 수준이며, 따라서 시장에서 물류비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납기의 준수 등의 거래관행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 또한 원활한 물류를 방해하는 특징이며, 따라서 납품의 정확도와 신속도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도매상의 개념 자체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소매업체들이 도매업체의 역할과 개별적인 물류를 수행해야 하는 구조이다. 중국 기업들은 자체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세한 소매 대리점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마트의 예를 들자면 상해 점의 경우 중국 도매점 선정과 거래관행, 물류인프라 때문에 아직까지도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마트는 수 천개의 소매 대리상들과 직접 거래하고 있다. 또한 소매대리상들은 물류창고 및 수송수단 등이 미흡하여 주문처리 시 납품까지 소요시간이 길고 높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들이 있다. 실제로 납기일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납기준수의 의무에 대한 인식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관행이 있다. 또한 도심지역은 교통 혼잡으로 제품의 대부분이 밤이나 새벽에 도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경영의 융통성과 효과성의 문제 대두되곤 한다. 그래도 중국이어야 하는가? 그래도 중국이다.
본론_이마트의 중국 진출과 그 과정
이마트는 중국 진출 이전에 중국 진출을 위한 치밀한 사전 조사를 수행했다. 어쩌면 해외로 진출하는 기업의 당연한 고민이겠지만, 상해를 필두로 한 중국 전역의 진출이라는 장기적인 비전으로 현지 소비자의 구매패턴과 현지 지역의 성격, 미래의 구매체제 변화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세밀한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가장 선두에 둔 전략은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보는 형이상학적인 방법론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이다. 중국은 큰 나라다. 큰 나라를 하나의 시장으로 여기는 것은 의미 없는 추상에 불과하며, 경쟁사인 월마트 테스코 등의 자본력과 직접 비교하였을 때 투자 가능액이 적은 이마트의 경우 진입초기 공략 예상 지역을 지엽적으로 선별하고 진출 대상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했다. 본격적인 사업 시작 이전에 이미 현지에 분석 사무소를 마련하여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업시작 초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데에 최선을 다했다. 뒤에 이을 차별화 현지화 전략은 미리 구상되었던 셈이다. IMF 등의 이유로 1호점에서 2호점을 추가로 건설하는데 7년의 시간이 걸렸지만, 이는 보다 차분하게 중국 시장에서 이마트만의 색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이마트가 글로벌화 과정에서서 진출시장으로 중국시장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중국시장은 규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연간 10%에 이를 정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진출 시점 뿐만 아니라 지금에서도) 이 시장을 놓쳐서 진출 기회를 놓치게 된다면, 차후 시장 확장에 크나 큰 손실로 다가 올 수가 있다. 진출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점포 한 두개 개설에 드는 투자비용이 드느냐 들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 최대의 시장에 뛰어들 요금은 최소한 부과하느냐, 지나치느냐 하는 문제다.
BCG 매트릭스를 통하여 살펴보면 이마트는 Cash Cow에서 Star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중국시장의 성장성이나 전략적 중요성은 매우 크고, 이마트의 현지 경쟁력을 따져봤을 때 시장점유율 면에서는 까르푸나 월마트 등에 뒤쳐지고 있지만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지화와 차별화된 전략이 점차 중국 소비자에게 적응되어 갈 것이라 예상하기 때문에 성장이 예상 된다.
그림. 이마트의 중국시장에 대한 BCG매트릭스 위치 이강문, 「글로벌전략의 수립」
1. 진출과정_story
신세계는 1993년 이래, 홍콩에 사무소를 개설하고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 유통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었다. 1996년, 신세계는 일본계 유통업체인 야오한의 요청을 받고 상해 푸동 지역의 넥스테이지 쇼핑몰 1500평을 600만 달러에 임차하여 신세계백화점을 개점하였다. 그곳에서 3년간에 걸쳐 식품과 의류를 중심으로 실험을 계속했는데,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신세계 백화점 개점 후, 신세계에 좋은 인식을 갖게 된 상해시의 고위인사가 상해시 시청 상업위원회산하 국영기업인 상해상무중심주식회사(上海商務中心株式會社)를 신세계에 소개하였다. 그 결과 신세계 500만 달러, 상무중심 100만 달러의 자본금으로 특혜적 합작회사인 이마트를 1996년 말에 설립하게 되었으며, 1997년 2월 중국 상해시 곡양로(曲陽路)에서 면적 2400 평의 이마트 1호점을 개점하였고 실질적인 독자경영을 하게 되었다. 왕문도, 「한국 기업의 중국진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2008.
합작형식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유는 1997년 당시 중국유통시장은 아직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서 외국유통업체들이 중국시장진출 시 합작투자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합작조건으로 유통업체의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한도가 49% 이하여야 했고 이 때문에 이마트의 지분 49% 중국합작파트너인 구백유한회사 49%, 기존 사업파트너인 상하시상무가 2%의 지분을 보유한 형태가 되었다. 이렇게 현지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해온 국영기업체와의 합작투자는 중국 특유의 ‘
Anyway, China Dream?_(물류업계와 중국)
낙후된 물류관리
중국 유통, 물류 시장은 도매의 개념이 아직까지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았다. 한국의 경우도 겨우 근래에 와서야 소매업체와 택배 시스템의 발달로 정합해진 물류시스템을 갖췄지만, 중국에서 RFID, 유비쿼터스적인 어떤 것을 기대하기는 아직 무리가 있다. 그것은 둘째 치더라도 더 근본적인 인프라도 탄탄하지 못하다. 중국의 물류시설 및 운송수단은 경제 선진국들에 비해 낙후된 수준이며, 따라서 시장에서 물류비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납기의 준수 등의 거래관행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 또한 원활한 물류를 방해하는 특징이며, 따라서 납품의 정확도와 신속도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도매상의 개념 자체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소매업체들이 도매업체의 역할과 개별적인 물류를 수행해야 하는 구조이다. 중국 기업들은 자체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세한 소매 대리점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마트의 예를 들자면 상해 점의 경우 중국 도매점 선정과 거래관행, 물류인프라 때문에 아직까지도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마트는 수 천개의 소매 대리상들과 직접 거래하고 있다. 또한 소매대리상들은 물류창고 및 수송수단 등이 미흡하여 주문처리 시 납품까지 소요시간이 길고 높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들이 있다. 실제로 납기일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납기준수의 의무에 대한 인식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관행이 있다. 또한 도심지역은 교통 혼잡으로 제품의 대부분이 밤이나 새벽에 도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경영의 융통성과 효과성의 문제 대두되곤 한다. 그래도 중국이어야 하는가? 그래도 중국이다.
본론_이마트의 중국 진출과 그 과정
이마트는 중국 진출 이전에 중국 진출을 위한 치밀한 사전 조사를 수행했다. 어쩌면 해외로 진출하는 기업의 당연한 고민이겠지만, 상해를 필두로 한 중국 전역의 진출이라는 장기적인 비전으로 현지 소비자의 구매패턴과 현지 지역의 성격, 미래의 구매체제 변화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세밀한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가장 선두에 둔 전략은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보는 형이상학적인 방법론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이다. 중국은 큰 나라다. 큰 나라를 하나의 시장으로 여기는 것은 의미 없는 추상에 불과하며, 경쟁사인 월마트 테스코 등의 자본력과 직접 비교하였을 때 투자 가능액이 적은 이마트의 경우 진입초기 공략 예상 지역을 지엽적으로 선별하고 진출 대상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했다. 본격적인 사업 시작 이전에 이미 현지에 분석 사무소를 마련하여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업시작 초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데에 최선을 다했다. 뒤에 이을 차별화 현지화 전략은 미리 구상되었던 셈이다. IMF 등의 이유로 1호점에서 2호점을 추가로 건설하는데 7년의 시간이 걸렸지만, 이는 보다 차분하게 중국 시장에서 이마트만의 색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이마트가 글로벌화 과정에서서 진출시장으로 중국시장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중국시장은 규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연간 10%에 이를 정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진출 시점 뿐만 아니라 지금에서도) 이 시장을 놓쳐서 진출 기회를 놓치게 된다면, 차후 시장 확장에 크나 큰 손실로 다가 올 수가 있다. 진출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점포 한 두개 개설에 드는 투자비용이 드느냐 들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 최대의 시장에 뛰어들 요금은 최소한 부과하느냐, 지나치느냐 하는 문제다.
BCG 매트릭스를 통하여 살펴보면 이마트는 Cash Cow에서 Star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중국시장의 성장성이나 전략적 중요성은 매우 크고, 이마트의 현지 경쟁력을 따져봤을 때 시장점유율 면에서는 까르푸나 월마트 등에 뒤쳐지고 있지만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지화와 차별화된 전략이 점차 중국 소비자에게 적응되어 갈 것이라 예상하기 때문에 성장이 예상 된다.
그림. 이마트의 중국시장에 대한 BCG매트릭스 위치 이강문, 「글로벌전략의 수립」
1. 진출과정_story
신세계는 1993년 이래, 홍콩에 사무소를 개설하고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 유통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었다. 1996년, 신세계는 일본계 유통업체인 야오한의 요청을 받고 상해 푸동 지역의 넥스테이지 쇼핑몰 1500평을 600만 달러에 임차하여 신세계백화점을 개점하였다. 그곳에서 3년간에 걸쳐 식품과 의류를 중심으로 실험을 계속했는데,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신세계 백화점 개점 후, 신세계에 좋은 인식을 갖게 된 상해시의 고위인사가 상해시 시청 상업위원회산하 국영기업인 상해상무중심주식회사(上海商務中心株式會社)를 신세계에 소개하였다. 그 결과 신세계 500만 달러, 상무중심 100만 달러의 자본금으로 특혜적 합작회사인 이마트를 1996년 말에 설립하게 되었으며, 1997년 2월 중국 상해시 곡양로(曲陽路)에서 면적 2400 평의 이마트 1호점을 개점하였고 실질적인 독자경영을 하게 되었다. 왕문도, 「한국 기업의 중국진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2008.
합작형식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유는 1997년 당시 중국유통시장은 아직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서 외국유통업체들이 중국시장진출 시 합작투자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합작조건으로 유통업체의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한도가 49% 이하여야 했고 이 때문에 이마트의 지분 49% 중국합작파트너인 구백유한회사 49%, 기존 사업파트너인 상하시상무가 2%의 지분을 보유한 형태가 되었다. 이렇게 현지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해온 국영기업체와의 합작투자는 중국 특유의 ‘
추천자료
아모레,태평양,화장품사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소셜커머스,티몬,티켓몬스터,쿠팡,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LVMH,성공전략,사례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유통,도매,소매,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
국제경영,미원,해외진출,국제경영,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삼성생명의 CRM 추진사례 - mis삼성생명crm,삼성생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
SM ENTERTAINMENT - sm엔터테인먼트,jyp,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룩옵티컬,안경산업,안경시장,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삼성전자,LTE,스마트폰,해드폰시장,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듀오,결혼정보회사,웨딩,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스타벅스,소비자행동론,스타벅스로고,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국제경영,DHL유통,운송사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스파오, 이랜드패션, spao, 마케팅, 브랜드, 브랜드마케팅, 기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 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