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술실 구조, 수술실 직원의 업무와 책임
1. 수술실 구조
2. 수술실 직원의 업무와 책임
Ⅱ.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1. 수술 전 간호 상태 확인표(제주대학병원에서 사용 중)
2. 환자 확인 및 수술 전 처치
Ⅲ. 수술체위방법
1. 안전하고 적절한 체위 기준
2. 수술 체위
Ⅳ. 외과적 손씻기, 가운입기, 장갑끼기
1. 손씻기 (Hand washing)
2. 손말리기 (Drying hands and arms)
3. 가운입기(gowning)
4. 장갑끼기 : 폐쇄식 (Closed glove technique)
Ⅴ. 수술대의 피부준비
Ⅵ. 멸균세트 풀기, 이동감자 사용법
1. 포장이 깨끗하고 건조한지 확인한다.
2. 물품 꾸러미를 개방한다.
3. 멸균포를 이용하여 멸균 영역을 확보한다.
4. 필요한 멸균물품을 첨가한다.
5. 멸균 물품을 다루기 위해 멸균 겸자를 이용한다.
Ⅶ. 스폰지 계수법
1. 목적
2. 일반적 지침
3. Procedure
Ⅷ. 봉합사, 봉합침 종류
1. 봉합사
2. 봉합침
Ⅸ. 마취 종류와 약물
1. 마취종류
2. 주요 약품 및 작용
Ⅹ. 마취기록지 내용
Ⅺ. 수술직후 간호와 관찰
1. 회복실로의 환자 이송
2. 회복실 환자사정
4. 회복상태 관찰
5. 수술에 따른 체위변경
6. 수술 후 검사 및 결과
8. 환자 및 가족의 사회 심리적 지지
9. 병실로 환자 이송
10. 회복실 간호기록지
Ⅻ. 기관 내 삽관 및 제거
1. 기관내 삽관
2. 기관내관 제거
ⅩⅢ. 회복실 퇴실 기준
1. 전반적 상태
2. 심혈관계 상태
3. 기도유지
4. 환기와 산소
6. 신기능
7. 부위마취
8. 통원환자
1. 수술실 구조
2. 수술실 직원의 업무와 책임
Ⅱ.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1. 수술 전 간호 상태 확인표(제주대학병원에서 사용 중)
2. 환자 확인 및 수술 전 처치
Ⅲ. 수술체위방법
1. 안전하고 적절한 체위 기준
2. 수술 체위
Ⅳ. 외과적 손씻기, 가운입기, 장갑끼기
1. 손씻기 (Hand washing)
2. 손말리기 (Drying hands and arms)
3. 가운입기(gowning)
4. 장갑끼기 : 폐쇄식 (Closed glove technique)
Ⅴ. 수술대의 피부준비
Ⅵ. 멸균세트 풀기, 이동감자 사용법
1. 포장이 깨끗하고 건조한지 확인한다.
2. 물품 꾸러미를 개방한다.
3. 멸균포를 이용하여 멸균 영역을 확보한다.
4. 필요한 멸균물품을 첨가한다.
5. 멸균 물품을 다루기 위해 멸균 겸자를 이용한다.
Ⅶ. 스폰지 계수법
1. 목적
2. 일반적 지침
3. Procedure
Ⅷ. 봉합사, 봉합침 종류
1. 봉합사
2. 봉합침
Ⅸ. 마취 종류와 약물
1. 마취종류
2. 주요 약품 및 작용
Ⅹ. 마취기록지 내용
Ⅺ. 수술직후 간호와 관찰
1. 회복실로의 환자 이송
2. 회복실 환자사정
4. 회복상태 관찰
5. 수술에 따른 체위변경
6. 수술 후 검사 및 결과
8. 환자 및 가족의 사회 심리적 지지
9. 병실로 환자 이송
10. 회복실 간호기록지
Ⅻ. 기관 내 삽관 및 제거
1. 기관내 삽관
2. 기관내관 제거
ⅩⅢ. 회복실 퇴실 기준
1. 전반적 상태
2. 심혈관계 상태
3. 기도유지
4. 환기와 산소
6. 신기능
7. 부위마취
8. 통원환자
본문내용
None
의치, 안경, 의안, 콘텍트렌즈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장신구(시계, 반지 등), 화장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복 착용 (속옷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표시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표시 (상세)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피부 준비
□ Y □ N □ None
□ Y □ N □ None
배뇨 확인
□ Y □ N □ None
□ Y □ N □ None
항생제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항생제 보냄
□ Y □ N □ None
□ Y □ N □ None
혈압약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당뇨약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욕창 여부
□ Y □ N □ None
활력 징후 BP BT PR RR
수술실로 보내는 약품
마취통증의학과 처방
진료과 처방
기타
작성시간/작성자
2. 환자 확인 및 수술 전 처치
(1) 수술 시작 전의 확인과정(time-out)으로 마취 유도 전에 하던 일을 멈추고, 환자와 함께 수술에 참여하는 집도과 의사, 마취과 의사, 수술실 순회 간호사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정확한 환자의 신원, 수술명, 수술 부위 및 위치를 확인한다.
(2) 환자의 chart를 비교 확인하고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마취 및 수술에 필요한 각종 검사 결과, 혈액형, 수술동의서 유무, 활력징후(vital sign)의 이상 및 질병 유무, 지금까지 투여한 약물 등을 확인한다.
(3) 환자가 의치, 콘택트렌즈, 귀중품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재확인한다.
(4) 부적절한 체위는 환자의 신경손상을 초래하므로 체위를 취할 때 신체 돌출 부위에 pad를 대준다.
(5) 환자의 배액관이나 튜브가 빠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6) 수술 중 전기지혈기 사용, 부적절한 체위에 의한 압박, 장시간 수술, 세척에 의한 젖은 피부 등으로 피부 통합성 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bovie plate의 적절한 부착, 체위에 따른 압박 부위의 padding 등 세심한 간호가 요구된다.
(7) 피부 절개 시 세균의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준비를 한다.
* Bovie는 전기로 절개 및 상처 부위를 봉합하고 Bovie plate는 Bovie로 인해 대상자의 몸으로 흘러들어간 전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
Ⅲ. 수술체위방법
1. 안전하고 적절한 체위 기준
(1) 호흡장애를 유지하지 않아야 한다.
(2) 적당한 순환유지를 해야 한다.
(3) 혈관 신경을 압박하지 않고 근육의 긴장을 피해야 한다.
(4) 수술 시야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5) 마취제의 투여가 용이하고 마취 상태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6) 불필요한 노출을 피하여 환자의 존엄성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2. 수술 체위
(1) 앙와위 (배와위, Dorsal or Supine position)
① 해부학적 자세에 근거한 기본 체위로써 등을 대고 똑바로 눕는다.
② 복부 수술, 흉곽 수술, 골반 수술, 하지 수술에 많이 이용된다.
③ 압력 부위는 후두골, 견갑골, 흉곽, 천골/미골, 종골, 무릎, 팔의 신경총, 척골, 외음부 신경 등이다.
④ 발 뒤꿈치, 팔 뒤꿈치, 무릎, 척추에 패드를 적용하고, 후두부와 엉덩이를 정렬하고, 다리를 평행하게 하며 발목을 교차시키지 않는다.
⑤ 바닥 높이 팔 보호대를 90° 보다 작은 각도로 위치하고 암보드 패드와 수술침대의 패드 높이가 같도록 한다.
(2) 복위(Prone position)
① 배를 수술침대 바닥에 대고 엎드리는 체위로 등이나 엉덩이 등 몸체의 뒷부분 수술 시 취한다.
② 압박부위는 머리, 눈, 코, 흉부, 장골, 가슴, 남성의 생식기, 무릎, 발 등이다.
③ 복부에 체중이 걸리지 않도록 상흉부, 골반부 밑에 지지를 해준다.
④ 기관 내 튜브의 고정을 확실히 하며 안연고로 건조나 소독제 등에 의한 각막손상을 예방한다.
(3) 측위 (Lateral position)
① 우측 또는 좌측 어느 한 부분이 침대의 가장자리와 닿도록 한다.
② 가슴, 폐, 신장, 요관 등의 수술 시 필요한 체위이다.
③ 아래쪽 상지의 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측흉부 액와에 베개를 대주며 위쪽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하지의 교차부에 스펀지를 끼운다.
④ 압박 받는 쪽의 겨드랑이에 롤을 적용한다.
⑤ 다리를 펴고 다리 사이에 베개를 적용한다.
⑥ 회전하는 동안 척추 정렬을 유지해 준다.
(4) 파울러 체위(Fowler\'s position)
① 앙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무릎 아래 table 자체를 아래로 구부리고 상체는 45° 상승시킨다. 혈압 하강이 나타나므로 하지에 탄력 붕대를 감아주어야 한다.
(5) 잭나이프 체위(Jack knife position)
① 복위에서 수술침대 상부가 꺾이는 곳에 둔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수술침대를 꺾어 무릎과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둔부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위이다.
② 치질수술, 모소낭수술, 미골수술 등에 사용된다.
* 모소낭은 항문의 후방이나 미추 부위에 동공이나 누를 형성하여 피부에 개구를 만드는데 피부에 누공이 생기거나 분비물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쇄석위 (Lithohomy potision)
① 앙와위 상태에서 다리를 금속 지지대 위에 직각으로 올려놓는다.
② Cystoscopy, vagina, perineum, rectum 수술에 적용된다.
③ 엉덩이, 무릎관절의 상해, 혈관 울혈, 횡격막 운동의 제한 등의 위험이 있다.
④ 두 발의 등자(stirrup)을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두 다리를 천천히 동시에 등자에서 들어 올린다.
⑤ 엉덩이의 외측 회전을 최소화한다.
⑥ 호흡이 용이하도록 팔을 가슴으로부터 멀리 유지하고 팔을 암보드 위에서 90° 이하 각도로 유지하거나 복부 위로 위치한다.
⑦ 다리 쪽의 혈액순환에 주의하여야 하며, 마취 중에 양쪽 하지를 천장골 관절인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시에 올리거나 내리거나 해야 한다. 앙와위로 되돌아 올
의치, 안경, 의안, 콘텍트렌즈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장신구(시계, 반지 등), 화장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복 착용 (속옷 제거)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표시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표시 (상세)
□ Y □ N □ None
□ Y □ N □ None
수술 부위 피부 준비
□ Y □ N □ None
□ Y □ N □ None
배뇨 확인
□ Y □ N □ None
□ Y □ N □ None
항생제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항생제 보냄
□ Y □ N □ None
□ Y □ N □ None
혈압약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당뇨약 투여
□ Y □ N □ None
□ Y □ N □ None
욕창 여부
□ Y □ N □ None
활력 징후 BP BT PR RR
수술실로 보내는 약품
마취통증의학과 처방
진료과 처방
기타
작성시간/작성자
2. 환자 확인 및 수술 전 처치
(1) 수술 시작 전의 확인과정(time-out)으로 마취 유도 전에 하던 일을 멈추고, 환자와 함께 수술에 참여하는 집도과 의사, 마취과 의사, 수술실 순회 간호사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정확한 환자의 신원, 수술명, 수술 부위 및 위치를 확인한다.
(2) 환자의 chart를 비교 확인하고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마취 및 수술에 필요한 각종 검사 결과, 혈액형, 수술동의서 유무, 활력징후(vital sign)의 이상 및 질병 유무, 지금까지 투여한 약물 등을 확인한다.
(3) 환자가 의치, 콘택트렌즈, 귀중품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재확인한다.
(4) 부적절한 체위는 환자의 신경손상을 초래하므로 체위를 취할 때 신체 돌출 부위에 pad를 대준다.
(5) 환자의 배액관이나 튜브가 빠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6) 수술 중 전기지혈기 사용, 부적절한 체위에 의한 압박, 장시간 수술, 세척에 의한 젖은 피부 등으로 피부 통합성 장애가 올 수 있으므로 bovie plate의 적절한 부착, 체위에 따른 압박 부위의 padding 등 세심한 간호가 요구된다.
(7) 피부 절개 시 세균의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준비를 한다.
* Bovie는 전기로 절개 및 상처 부위를 봉합하고 Bovie plate는 Bovie로 인해 대상자의 몸으로 흘러들어간 전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
Ⅲ. 수술체위방법
1. 안전하고 적절한 체위 기준
(1) 호흡장애를 유지하지 않아야 한다.
(2) 적당한 순환유지를 해야 한다.
(3) 혈관 신경을 압박하지 않고 근육의 긴장을 피해야 한다.
(4) 수술 시야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5) 마취제의 투여가 용이하고 마취 상태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6) 불필요한 노출을 피하여 환자의 존엄성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2. 수술 체위
(1) 앙와위 (배와위, Dorsal or Supine position)
① 해부학적 자세에 근거한 기본 체위로써 등을 대고 똑바로 눕는다.
② 복부 수술, 흉곽 수술, 골반 수술, 하지 수술에 많이 이용된다.
③ 압력 부위는 후두골, 견갑골, 흉곽, 천골/미골, 종골, 무릎, 팔의 신경총, 척골, 외음부 신경 등이다.
④ 발 뒤꿈치, 팔 뒤꿈치, 무릎, 척추에 패드를 적용하고, 후두부와 엉덩이를 정렬하고, 다리를 평행하게 하며 발목을 교차시키지 않는다.
⑤ 바닥 높이 팔 보호대를 90° 보다 작은 각도로 위치하고 암보드 패드와 수술침대의 패드 높이가 같도록 한다.
(2) 복위(Prone position)
① 배를 수술침대 바닥에 대고 엎드리는 체위로 등이나 엉덩이 등 몸체의 뒷부분 수술 시 취한다.
② 압박부위는 머리, 눈, 코, 흉부, 장골, 가슴, 남성의 생식기, 무릎, 발 등이다.
③ 복부에 체중이 걸리지 않도록 상흉부, 골반부 밑에 지지를 해준다.
④ 기관 내 튜브의 고정을 확실히 하며 안연고로 건조나 소독제 등에 의한 각막손상을 예방한다.
(3) 측위 (Lateral position)
① 우측 또는 좌측 어느 한 부분이 침대의 가장자리와 닿도록 한다.
② 가슴, 폐, 신장, 요관 등의 수술 시 필요한 체위이다.
③ 아래쪽 상지의 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측흉부 액와에 베개를 대주며 위쪽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하지의 교차부에 스펀지를 끼운다.
④ 압박 받는 쪽의 겨드랑이에 롤을 적용한다.
⑤ 다리를 펴고 다리 사이에 베개를 적용한다.
⑥ 회전하는 동안 척추 정렬을 유지해 준다.
(4) 파울러 체위(Fowler\'s position)
① 앙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무릎 아래 table 자체를 아래로 구부리고 상체는 45° 상승시킨다. 혈압 하강이 나타나므로 하지에 탄력 붕대를 감아주어야 한다.
(5) 잭나이프 체위(Jack knife position)
① 복위에서 수술침대 상부가 꺾이는 곳에 둔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수술침대를 꺾어 무릎과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둔부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위이다.
② 치질수술, 모소낭수술, 미골수술 등에 사용된다.
* 모소낭은 항문의 후방이나 미추 부위에 동공이나 누를 형성하여 피부에 개구를 만드는데 피부에 누공이 생기거나 분비물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쇄석위 (Lithohomy potision)
① 앙와위 상태에서 다리를 금속 지지대 위에 직각으로 올려놓는다.
② Cystoscopy, vagina, perineum, rectum 수술에 적용된다.
③ 엉덩이, 무릎관절의 상해, 혈관 울혈, 횡격막 운동의 제한 등의 위험이 있다.
④ 두 발의 등자(stirrup)을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두 다리를 천천히 동시에 등자에서 들어 올린다.
⑤ 엉덩이의 외측 회전을 최소화한다.
⑥ 호흡이 용이하도록 팔을 가슴으로부터 멀리 유지하고 팔을 암보드 위에서 90° 이하 각도로 유지하거나 복부 위로 위치한다.
⑦ 다리 쪽의 혈액순환에 주의하여야 하며, 마취 중에 양쪽 하지를 천장골 관절인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시에 올리거나 내리거나 해야 한다. 앙와위로 되돌아 올
추천자료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
수술 전 간호
C-sec전후 산모간호
신경계(개두술수술간호,척수수술간호)수술간호
수술실실습 레포트 뇌수종(Hydrocephalus)
기본간호학 수술간호 (수술 전중후 요약)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진단명 : Ut. Myoma -> L- Myomectomy (multiple)) 실습
성인간호 laparoscopic 담낭절제술
수술을 마친 김씨에게 간호사가 수행해야할 장루 내용을 사정후 효과적인 회장루 관리를 위한...
자궁근종 케이스 myoma case study [모성간호실습]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CASE STUDY, 자궁근종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난청 및 귀 수술 대상자 간호
여성간호실습CASE[c-sec] A+받은 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