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렌즈의 종류와 역할
1) 표준렌즈
2) 광각렌즈
3) 망원렌즈
4) 줌렌즈
5) 단렌즈
6) 어안렌즈
7) 메크로렌즈
8) 틸트렌즈
9) 익스텐더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순광
2. 사광
3. 측광
4. 반역광
5. 역광
6. 역광보정
1) 표준렌즈
2) 광각렌즈
3) 망원렌즈
4) 줌렌즈
5) 단렌즈
6) 어안렌즈
7) 메크로렌즈
8) 틸트렌즈
9) 익스텐더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순광
2. 사광
3. 측광
4. 반역광
5. 역광
6. 역광보정
본문내용
Report
( 렌즈의 종류, 역할, 측정 방법, 빛의 방향, 특징, 기법, 사용법, 특징,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
목 차
1. 렌즈의 종류와 역할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렌즈의 종류와 역할
일반적으로 렌즈는 초점거리에 따라 광각, 표준, 망원으로 나누어지며, 이 외에도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이 유동적인가 고정적인가에 따라서, 단렌즈, 종렌즈로 구분되어지기도하며, 그 외에 어안렌즈, 틸트렌즈, 매크로렌즈 등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렌즈의 화질은 색수차, 구면수차, 회절현상등에 의해서 달라지는데 이것은 각 렌즈의 구조에 기인한 것입니다. 구면수차와 색수차는 조리개를 조이는 방법으로 해결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조리개 값은 회절현상을 야기하여 사진의 화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1) 표준렌즈 : 가장 일반적으롤 쓰이는 렌즈입니다. 50mm의 화각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 보는 것과 가장 비슷한 원근감을 가진 렌즈이며, 또한 zkapk에 쓰이는 필름(혹은 CCD/CMOS)의 대각선 길이를 표준화각이라고 정의합니다.
2) 광각렌즈 : 50mm보다 ㅖ은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들로 사람이 보는 것 보다 더 넓은 범위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주변부로 갈수록 이미지의 왜곡이 심해지고 비네팅현상이 생기며, 원근감이 과장되게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망원렌즈 : 50mm보다 더 긴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좁은 범위를 넓게 확대해서 보는 렌즈이며, 같은 조리개 값을 가지고 있을 때 광각렌즈에 비해서 더 뛰어난 배경 압축능력(아웃포커싱)을 가지고 있습니다. 광각이나 표준렌즈에 비해 무거운 무게와 흔들림에 취약합니다.
4) 줌렌즈 : 복수의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Eans에 줌렌즈를 표기할 때는 70-200mm와 같이 그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의 범위를 표기합니다. 마운트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러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지만 단렌즈에 비해 무거운 경우가 많습니다.
5) 단렌즈 : 하나의 초점거리만 가지고 있는 렌즈를 단렌즈라고 합니다, 때문에 단렌즈를 표기할 땐 50mm와 같이 그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 하나만을 적습니다. 줌렌즈와 비교해 볼 때 여러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기 곤란하지만 상대적으로 뛰어난 선예도, 해상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가벼운 무게와 더 밝은 조리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6) 어안렌즈 : 180도의 화각을 가지고 있는 렌즈의 가장 앞부분이 둥글게 되어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종의 광각렌즈라고 할 수 있으며, 광각렌즈가 가지는 특징들을 좀더 극단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7) 메크로렌즈 : 접사를 위한 렌즈입니다. 때문에 다른 렌즈와 비교해봤을 때 같은 화각대에서 더 짧은 최단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8) 틸트렌즈 : 피사계심도의 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으며 주변부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렌즈입니다. 잘 쓰여지지는 않지만 건물, 건축사진을 찍을 때 사용되어지곤 합니다.
9) 익스텐더 : 엄밀히 말하면 렌즈는 아니지만 렌즈와 카메라사이에 장착되어져 렌저의 초점거리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렌즈입니다. 하지만 조릭가 더 어두워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순광
2. 사광
3. 측광
4. 반역광
5. 역광
6. 역광보정
( 렌즈의 종류, 역할, 측정 방법, 빛의 방향, 특징, 기법, 사용법, 특징,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
목 차
1. 렌즈의 종류와 역할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렌즈의 종류와 역할
일반적으로 렌즈는 초점거리에 따라 광각, 표준, 망원으로 나누어지며, 이 외에도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이 유동적인가 고정적인가에 따라서, 단렌즈, 종렌즈로 구분되어지기도하며, 그 외에 어안렌즈, 틸트렌즈, 매크로렌즈 등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렌즈의 화질은 색수차, 구면수차, 회절현상등에 의해서 달라지는데 이것은 각 렌즈의 구조에 기인한 것입니다. 구면수차와 색수차는 조리개를 조이는 방법으로 해결 될 수 있지만 과도한 조리개 값은 회절현상을 야기하여 사진의 화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1) 표준렌즈 : 가장 일반적으롤 쓰이는 렌즈입니다. 50mm의 화각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 보는 것과 가장 비슷한 원근감을 가진 렌즈이며, 또한 zkapk에 쓰이는 필름(혹은 CCD/CMOS)의 대각선 길이를 표준화각이라고 정의합니다.
2) 광각렌즈 : 50mm보다 ㅖ은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들로 사람이 보는 것 보다 더 넓은 범위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주변부로 갈수록 이미지의 왜곡이 심해지고 비네팅현상이 생기며, 원근감이 과장되게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망원렌즈 : 50mm보다 더 긴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좁은 범위를 넓게 확대해서 보는 렌즈이며, 같은 조리개 값을 가지고 있을 때 광각렌즈에 비해서 더 뛰어난 배경 압축능력(아웃포커싱)을 가지고 있습니다. 광각이나 표준렌즈에 비해 무거운 무게와 흔들림에 취약합니다.
4) 줌렌즈 : 복수의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Eans에 줌렌즈를 표기할 때는 70-200mm와 같이 그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의 범위를 표기합니다. 마운트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러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지만 단렌즈에 비해 무거운 경우가 많습니다.
5) 단렌즈 : 하나의 초점거리만 가지고 있는 렌즈를 단렌즈라고 합니다, 때문에 단렌즈를 표기할 땐 50mm와 같이 그 렌즈가 가지고 있는 화각 하나만을 적습니다. 줌렌즈와 비교해 볼 때 여러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기 곤란하지만 상대적으로 뛰어난 선예도, 해상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가벼운 무게와 더 밝은 조리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6) 어안렌즈 : 180도의 화각을 가지고 있는 렌즈의 가장 앞부분이 둥글게 되어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종의 광각렌즈라고 할 수 있으며, 광각렌즈가 가지는 특징들을 좀더 극단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7) 메크로렌즈 : 접사를 위한 렌즈입니다. 때문에 다른 렌즈와 비교해봤을 때 같은 화각대에서 더 짧은 최단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는 렌즈입니다.
8) 틸트렌즈 : 피사계심도의 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으며 주변부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렌즈입니다. 잘 쓰여지지는 않지만 건물, 건축사진을 찍을 때 사용되어지곤 합니다.
9) 익스텐더 : 엄밀히 말하면 렌즈는 아니지만 렌즈와 카메라사이에 장착되어져 렌저의 초점거리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렌즈입니다. 하지만 조릭가 더 어두워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
1. 순광
2. 사광
3. 측광
4. 반역광
5. 역광
6. 역광보정
추천자료
렌즈의 종류와 특성
절삭 연삭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비구면렌즈의 원리및 계산식
[눈][안구][눈질환][시력][시력이상][시력교정][콘텍트렌즈]눈(안구)의 기능, 눈(안구)이 나...
[물리학] 뉴턴링 - 여러 가지 색의 빛을 렌즈-평판유리 경계면에 입사하여 간섭현상으로 Newt...
렌즈의 종류와 피사계심도
카메라 렌즈의 특징, 종류, 빛의 성질, 화각, 역할, 사용법, 특징, 차이, 현황, 분석, 시사...
카메라 렌즈의 분류법, 종류, 역할, 표준렌즈, 광각렌즈, 망원렌즈, 줌렌즈, 매크로 렌즈, 어...
렌즈의 특징, 종류, 측정 방법, 빛의 방향, 역할, 기법, 사용법, 특징,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