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제 1장 글쓰기의 가치와 의미-------------------19
1. 언어의 두 모습-----------------------19
2. 언어와 사고 ․ 심리 ․ 문화---------------21
1)언어와 사고--------------------21
2)언어와 심리--------------------23
3)언어와 문화--------------------24
3. 글쓰기의 의의------------------------26
제2장 글쓰기의 과정--------------------------31
1. 계획 단계---------------------------31
1) 주제 정하기-------------------31
2) 제목 붙이기-------------------35
3) 제재의 선택과 정리-------------36
4) 구성과 개요작성----------------39
2 . 집필단계---------------------------66
1) 글의 머리 쓰기-----------------66
2) 글의 가운데 쓰기---------------69
3) 글의 끄트머리 쓰기-------------71
3. 퇴고 단계---------------------------72
1) 전체적 퇴고-------------------72
2) 부분적 퇴고-------------------73
제 3장 글쓰기의 진술 방식---------------------77
1. 설명-------------------------------77
1) 지정-------------------------78
2) 정의-------------------------79
3) 예시-------------------------80
4) 비교와 대조-------------------82
5) 분류와 구분-------------------84
6) 분석-------------------------86
7) 설명적 서사-------------------87
8) 설명적 묘사-------------------88
2. 논증-------------------------------90
1) 귀납추론----------------------91
2) 연역추론----------------------93
3. 묘사-------------------------------97
4. 서사-------------------------------99
제 4장 생각과 표현--------------------------103
1. 생각하기---------------------------103
1) 자신의 경험을 살린 연상---------106
2) 고정관념 깨기-----------------110
2. 표현하기---------------------------115
1) 진부한 표현과 창의적인 표현------115
2) 구체적인 표현과 추상적인 표현----122
제 2부 문화적 글쓰기
제 5장 문학과 글쓰기------------------------131
1. 장르 간의 경계 넘나들기---------------131
1) 과거와 현재의 경계 허물기-------132
(고전을 통한 상상력)
2) 장르 간의 경계 허물기----------139
(영상 시나리오 다시 만들기)
2. 패러디의 현대적 의미와 글쓰기----------145
제 6장 역사와 글쓰기------------------------155
1. 역사 연구와 글쓰기-------------------155
2. 역사에 대한 이해---------------------156
1) 역사와 역사가-----------------156
2) 기억과 망각 사이의 역사가-------157
3) 역사 기록과 사관--------------158
3. 역사 읽기와 쓰기---------------------160
1) 사례를 통한 역사 읽기----------160
2) 역사의 사실과 허구 사이--------173
3) 유적 답사를 위한 조언----------180
제 7장 논증과 글쓰기------------------------189
1. 논증적 글쓰기란 무엇인가?-------------189
2. 비논증적인 글쓰기의 유형들------------194
1) 믿음의 진술------------------195
2) 기술------------------------196
3) 보고------------------------196
4) 설명------------------------197
3. 논증의 전통적인 방법 : 귀납과 연역------198
1) 귀납------------------------199
2) 연역------------------------201
4. 좋은 논증적 글쓰기의 조건-------------204
1) 형식적인 오류의 회피-----------205
2) 상대방에 대한 경청------------ 207
3) 논점의 유지------------------208
4) 전제와 결론의 관련-------------210
5) 수미일관한 내용---------------212
6) 반박에 대한 고려--------------213
제 8장 광고카피와 네이밍---------------------221
1. 광고카피---------------------------221
1) 광고카피의 개념과 정책----------221
2) 광고카피의 구성 요소와 표현 전략--223
3) 광고카피와 문학적 수사----------230
2. 네이밍----------------------------236
1) 네이밍의 개념-----------------236
2) 네이밍의 조건-----------------238
3) 네이밍을 위한 테크닉-----------242
4) 네이밍 제작 방식---------------245
5) 네이밍의 실제-----------------249
제 9장 비평과 글쓰기------------------------257
1. 비평의 개념과 기능-------------------257
2. 비평 글의 특징----------------------259
1) 해석적 성격------------------259
2) 상호텍스트적 성격-------------259
3) 비판적 성격------------------260
4) 통합적 성격------------------260
5) 메타적 성격------------------260
6) 주체적 성격------------------260
3. 비평 글의
제 1장 글쓰기의 가치와 의미-------------------19
1. 언어의 두 모습-----------------------19
2. 언어와 사고 ․ 심리 ․ 문화---------------21
1)언어와 사고--------------------21
2)언어와 심리--------------------23
3)언어와 문화--------------------24
3. 글쓰기의 의의------------------------26
제2장 글쓰기의 과정--------------------------31
1. 계획 단계---------------------------31
1) 주제 정하기-------------------31
2) 제목 붙이기-------------------35
3) 제재의 선택과 정리-------------36
4) 구성과 개요작성----------------39
2 . 집필단계---------------------------66
1) 글의 머리 쓰기-----------------66
2) 글의 가운데 쓰기---------------69
3) 글의 끄트머리 쓰기-------------71
3. 퇴고 단계---------------------------72
1) 전체적 퇴고-------------------72
2) 부분적 퇴고-------------------73
제 3장 글쓰기의 진술 방식---------------------77
1. 설명-------------------------------77
1) 지정-------------------------78
2) 정의-------------------------79
3) 예시-------------------------80
4) 비교와 대조-------------------82
5) 분류와 구분-------------------84
6) 분석-------------------------86
7) 설명적 서사-------------------87
8) 설명적 묘사-------------------88
2. 논증-------------------------------90
1) 귀납추론----------------------91
2) 연역추론----------------------93
3. 묘사-------------------------------97
4. 서사-------------------------------99
제 4장 생각과 표현--------------------------103
1. 생각하기---------------------------103
1) 자신의 경험을 살린 연상---------106
2) 고정관념 깨기-----------------110
2. 표현하기---------------------------115
1) 진부한 표현과 창의적인 표현------115
2) 구체적인 표현과 추상적인 표현----122
제 2부 문화적 글쓰기
제 5장 문학과 글쓰기------------------------131
1. 장르 간의 경계 넘나들기---------------131
1) 과거와 현재의 경계 허물기-------132
(고전을 통한 상상력)
2) 장르 간의 경계 허물기----------139
(영상 시나리오 다시 만들기)
2. 패러디의 현대적 의미와 글쓰기----------145
제 6장 역사와 글쓰기------------------------155
1. 역사 연구와 글쓰기-------------------155
2. 역사에 대한 이해---------------------156
1) 역사와 역사가-----------------156
2) 기억과 망각 사이의 역사가-------157
3) 역사 기록과 사관--------------158
3. 역사 읽기와 쓰기---------------------160
1) 사례를 통한 역사 읽기----------160
2) 역사의 사실과 허구 사이--------173
3) 유적 답사를 위한 조언----------180
제 7장 논증과 글쓰기------------------------189
1. 논증적 글쓰기란 무엇인가?-------------189
2. 비논증적인 글쓰기의 유형들------------194
1) 믿음의 진술------------------195
2) 기술------------------------196
3) 보고------------------------196
4) 설명------------------------197
3. 논증의 전통적인 방법 : 귀납과 연역------198
1) 귀납------------------------199
2) 연역------------------------201
4. 좋은 논증적 글쓰기의 조건-------------204
1) 형식적인 오류의 회피-----------205
2) 상대방에 대한 경청------------ 207
3) 논점의 유지------------------208
4) 전제와 결론의 관련-------------210
5) 수미일관한 내용---------------212
6) 반박에 대한 고려--------------213
제 8장 광고카피와 네이밍---------------------221
1. 광고카피---------------------------221
1) 광고카피의 개념과 정책----------221
2) 광고카피의 구성 요소와 표현 전략--223
3) 광고카피와 문학적 수사----------230
2. 네이밍----------------------------236
1) 네이밍의 개념-----------------236
2) 네이밍의 조건-----------------238
3) 네이밍을 위한 테크닉-----------242
4) 네이밍 제작 방식---------------245
5) 네이밍의 실제-----------------249
제 9장 비평과 글쓰기------------------------257
1. 비평의 개념과 기능-------------------257
2. 비평 글의 특징----------------------259
1) 해석적 성격------------------259
2) 상호텍스트적 성격-------------259
3) 비판적 성격------------------260
4) 통합적 성격------------------260
5) 메타적 성격------------------260
6) 주체적 성격------------------260
3. 비평 글의
본문내용
것과 덜 중요한 것으로 분류한다.
4)구성과 개요 작성
(1) 구성이란 머리 속에서 생각을 짜는 의식의 단계인 구상을 문장화하며 구체화하는 단계이다. 즉, 제재를 배열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구성의 원칙 : -중심이 없는 산만한 글이 되지 않도록 할 것.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글이 되지 않도록 할 것.
-처음 쓰고자 했던 바를 글 쓰는 중도에서 변경시키는 일이 없도록 할 것.
-자연스럽게 내용이 전개되도록 할 것.
-처음과 중간과 끝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할 것.
구성의 종류 : -전개적 구성-시간적 순서에 따르는 구성
-공간적 순서에 따르는 구성
-단계적 구성 : 3단 구성, 4단 구성, 5단 구성
-포괄식 구성 : 두괄식 구성, 미괄식 구성, 양괄식 구성
-종합적 구성-열거식 구성
-점층식 구성
(2) 개요란 글의 설계도이다. 즉, 한편의 글을 어떤 구성을 거쳐 어떻게 전개해 나갈까를 일목요연하게 작성한 것이다.
화제 개요 : 주요 논점, 종속 논점, 세목 등의 각 항목을 핵심 어구로 나타낸 것
문장 개요 : 주요 논점, 종속 논점, 세목 등의 각 항목을 완전한 문장으로 나타낸 것
유의해야 할 점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의 관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작성한다: 유기성
-각 항목에 사용되는 부호와 배열 순서를 통일한다.
-전체가 균형성과 완전성을 갖도록 배열한다.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주제가 뚜렷하게 드러나도록 한다.
2. 집필단계
-처음에 의도했던 주제가 잘 드러나게 한다.
-되도록 쉽고 간결하게 쓰도록 노력한다.
-미리 구상했던 것을 되도록 바꾸지 않는다.
-붓이 멈출 때에는 처음부터 되읽는다.
1) 글의 머리 쓰기
글의 머리는 글의 길잡이 역할을 하며 글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제를 명쾌하게 제시하며 독자의 관심을 끌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머리 쓰기 방법 - 문제제기, 글의 취지, 글의 주제 제시, 체험이나 심경 제시,
격언, 속담, 일화, 관련 작품 등을 인용,
자신의 주장과 대립되는 화제 제시, 비유를 통한 주제 암시
글머리 쓰기 주의해야할 사항 - 상투적인 이야기를 하지 말 것
- 지나치게 장황한 이야기를 서술하지 말 것
- 단지 주의를 끌 목적으로만 제재를 사용하지 말 것 - 도입 부분의 진술과 논점의 방향의 연관성
- 글의 가운데, 글의 끄트머리 등과의 유기성
2) 글의 가운데 쓰기
글의 가운데 쓰기는 글의 머리에서 제시한 방향대로 글을 써가는 부분이다.
글의 가운데 쓰기 방법 -자신의 견해를 명쾌하게 제시할 것.
-사고의 깊이와 폭을 충분히 드러낼 것.
-단락 나누기에 유의할 것.
-적절한 진술 방식을 택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것.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것.
-글의 머리, 끄트머리 등과 내용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할 것.
3) 글의 끄트머리 쓰기
글의 끄트머리는 글의 가운데에서 풀어 쓴 자신의 견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장을 압축하여 명료하게 내리는 부분이다.
글의 끄트머리 쓰기 방법 - 본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 과제에 대한 전망이나 제언을 덧붙인다.
- 주제를 압축 제시한다.
3. 퇴고단계
퇴고단계란 초고를 완성한 다음에 더욱 좋은 글이 되도록 글을 다듬는 것이다.
퇴고의 3원칙 : 첨가의 원칙 - 꼭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빠져 버리거나 불충분하게 처리된 것을 첨가하거나 보충
삭제의 원칙 - 불필요한 단어나 문장을 빼 버려 글 전체의 통일성과 긴밀성을 높이는것
구성의 원칙 - 글 전체의 주제를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문장이나 단락을 재구성 하는것
전체적 퇴고 : 글의 전체 흐름과 맥락을 파악
부분적 퇴고 : 작은 시각에서 어휘나 문장, 단락을 파악
제 3장 글쓰기의 진술 방식
글쓰기의 진술 방식(=기술방식)은 필자가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진술 방식에는 설명, 논증, 묘사, 서사 등이 있다. 이들 진술 방식 가운데 어느 것을 사용하여 글을 쓰느냐는 글의 목적과 내용,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1. 설명
설명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지식, 정보 등을 독자에게 전달하여 그를 이해시키려는 데 목적이 있는 진술 방식이다. 따라서 설명의 진술 방식을 활용 할 때에는 먼저 쓰고자 하는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효과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설명 방법에는 지정, 정의, 예시, 비교와 대조, 유추, 분류와 분석, 서사 묘사 등이 있다.
1)지정 - 몇가지 후보가 되는 사실 가운데 해당되는 사실을 찾아 내어 알려주는 것으로 설 명 방법 가운데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
2)정의 - 어떤 사물이나 개념의 내용, 성격 속성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명제 형식으로 밝히는 설명 방법이다.
3)예시 - 이해할 수 없었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독 자에게도 잘 알려진 사실을 사례로 제시하여 보여주는 설명 방법이다.
4)비교와 대조 - 다 같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물들을 견주어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밝혀 냄으로써, 대상들의 특성을 보다 선명하게 부각시켜, 그 대상들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고자 할때 쓰는 설명 방법이다.
비교는 정도의 유사점이나 차이점을, 대조는 서로 대립되는 속성 강조
5)분류와 구분 - 분류와 구분은 복잡하고 잡다한 여러 사물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사물의 부류를 일관된 기준대로 계층화(범주화, 유 형화)하여 모으거나 가르는 설명 방법이다.
분류:종개념→유개념으로 묶어가는것/구분:유개념→종개념으로 가르는 것
6)분석 - 어떤 사상을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나 분자들로 나누어서 각 부분의 상호관 계, 연관성, 기능, 가치, 의미 등을 밝혀 내는 설명 방법이다.
성질-물리적 분석, 개념적 분석 / 작용-기능적 분석, 연대기적 분석, 인과적 분석
7)설명적 서사 -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상의 움직임이나 사건의 전마링 어떻게 변화, 전개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어 변화하거나 진행된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를 이해시키고자 하는 설명 방법이다.
8)설명적 묘사 - 대상이 마치 눈
4)구성과 개요 작성
(1) 구성이란 머리 속에서 생각을 짜는 의식의 단계인 구상을 문장화하며 구체화하는 단계이다. 즉, 제재를 배열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구성의 원칙 : -중심이 없는 산만한 글이 되지 않도록 할 것.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글이 되지 않도록 할 것.
-처음 쓰고자 했던 바를 글 쓰는 중도에서 변경시키는 일이 없도록 할 것.
-자연스럽게 내용이 전개되도록 할 것.
-처음과 중간과 끝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할 것.
구성의 종류 : -전개적 구성-시간적 순서에 따르는 구성
-공간적 순서에 따르는 구성
-단계적 구성 : 3단 구성, 4단 구성, 5단 구성
-포괄식 구성 : 두괄식 구성, 미괄식 구성, 양괄식 구성
-종합적 구성-열거식 구성
-점층식 구성
(2) 개요란 글의 설계도이다. 즉, 한편의 글을 어떤 구성을 거쳐 어떻게 전개해 나갈까를 일목요연하게 작성한 것이다.
화제 개요 : 주요 논점, 종속 논점, 세목 등의 각 항목을 핵심 어구로 나타낸 것
문장 개요 : 주요 논점, 종속 논점, 세목 등의 각 항목을 완전한 문장으로 나타낸 것
유의해야 할 점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의 관계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작성한다: 유기성
-각 항목에 사용되는 부호와 배열 순서를 통일한다.
-전체가 균형성과 완전성을 갖도록 배열한다.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주제가 뚜렷하게 드러나도록 한다.
2. 집필단계
-처음에 의도했던 주제가 잘 드러나게 한다.
-되도록 쉽고 간결하게 쓰도록 노력한다.
-미리 구상했던 것을 되도록 바꾸지 않는다.
-붓이 멈출 때에는 처음부터 되읽는다.
1) 글의 머리 쓰기
글의 머리는 글의 길잡이 역할을 하며 글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제를 명쾌하게 제시하며 독자의 관심을 끌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머리 쓰기 방법 - 문제제기, 글의 취지, 글의 주제 제시, 체험이나 심경 제시,
격언, 속담, 일화, 관련 작품 등을 인용,
자신의 주장과 대립되는 화제 제시, 비유를 통한 주제 암시
글머리 쓰기 주의해야할 사항 - 상투적인 이야기를 하지 말 것
- 지나치게 장황한 이야기를 서술하지 말 것
- 단지 주의를 끌 목적으로만 제재를 사용하지 말 것 - 도입 부분의 진술과 논점의 방향의 연관성
- 글의 가운데, 글의 끄트머리 등과의 유기성
2) 글의 가운데 쓰기
글의 가운데 쓰기는 글의 머리에서 제시한 방향대로 글을 써가는 부분이다.
글의 가운데 쓰기 방법 -자신의 견해를 명쾌하게 제시할 것.
-사고의 깊이와 폭을 충분히 드러낼 것.
-단락 나누기에 유의할 것.
-적절한 진술 방식을 택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것.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것.
-글의 머리, 끄트머리 등과 내용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할 것.
3) 글의 끄트머리 쓰기
글의 끄트머리는 글의 가운데에서 풀어 쓴 자신의 견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장을 압축하여 명료하게 내리는 부분이다.
글의 끄트머리 쓰기 방법 - 본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 과제에 대한 전망이나 제언을 덧붙인다.
- 주제를 압축 제시한다.
3. 퇴고단계
퇴고단계란 초고를 완성한 다음에 더욱 좋은 글이 되도록 글을 다듬는 것이다.
퇴고의 3원칙 : 첨가의 원칙 - 꼭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빠져 버리거나 불충분하게 처리된 것을 첨가하거나 보충
삭제의 원칙 - 불필요한 단어나 문장을 빼 버려 글 전체의 통일성과 긴밀성을 높이는것
구성의 원칙 - 글 전체의 주제를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문장이나 단락을 재구성 하는것
전체적 퇴고 : 글의 전체 흐름과 맥락을 파악
부분적 퇴고 : 작은 시각에서 어휘나 문장, 단락을 파악
제 3장 글쓰기의 진술 방식
글쓰기의 진술 방식(=기술방식)은 필자가 자신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진술 방식에는 설명, 논증, 묘사, 서사 등이 있다. 이들 진술 방식 가운데 어느 것을 사용하여 글을 쓰느냐는 글의 목적과 내용,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1. 설명
설명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지식, 정보 등을 독자에게 전달하여 그를 이해시키려는 데 목적이 있는 진술 방식이다. 따라서 설명의 진술 방식을 활용 할 때에는 먼저 쓰고자 하는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효과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설명 방법에는 지정, 정의, 예시, 비교와 대조, 유추, 분류와 분석, 서사 묘사 등이 있다.
1)지정 - 몇가지 후보가 되는 사실 가운데 해당되는 사실을 찾아 내어 알려주는 것으로 설 명 방법 가운데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
2)정의 - 어떤 사물이나 개념의 내용, 성격 속성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명제 형식으로 밝히는 설명 방법이다.
3)예시 - 이해할 수 없었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독 자에게도 잘 알려진 사실을 사례로 제시하여 보여주는 설명 방법이다.
4)비교와 대조 - 다 같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물들을 견주어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밝혀 냄으로써, 대상들의 특성을 보다 선명하게 부각시켜, 그 대상들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고자 할때 쓰는 설명 방법이다.
비교는 정도의 유사점이나 차이점을, 대조는 서로 대립되는 속성 강조
5)분류와 구분 - 분류와 구분은 복잡하고 잡다한 여러 사물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사물의 부류를 일관된 기준대로 계층화(범주화, 유 형화)하여 모으거나 가르는 설명 방법이다.
분류:종개념→유개념으로 묶어가는것/구분:유개념→종개념으로 가르는 것
6)분석 - 어떤 사상을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나 분자들로 나누어서 각 부분의 상호관 계, 연관성, 기능, 가치, 의미 등을 밝혀 내는 설명 방법이다.
성질-물리적 분석, 개념적 분석 / 작용-기능적 분석, 연대기적 분석, 인과적 분석
7)설명적 서사 -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상의 움직임이나 사건의 전마링 어떻게 변화, 전개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어 변화하거나 진행된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를 이해시키고자 하는 설명 방법이다.
8)설명적 묘사 - 대상이 마치 눈
추천자료
미학특강
'판단의 부담'과 우리 사회의 공동체적 가치의 중압
교육철학의 의미,정의,기능,목적,현대적 흐름
학문이란 무엇인가. (역사학을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각종 권학문(학문을 권하는 글)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심리학 발달심리
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jo.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가치, 사회복지사의 가치의 개념과 기준
[관광학] 관광학의 학문적 성격과 인접학문
[정책과정분석이원론] 정책과정-분석 이원론의 발달배경( 정책학의 학문적인 특성, 정책현실...
사회복지 전문직으로서 지녀야 하는 지식, 기술, 가치와 윤리는 무엇이 있는지 조사해보고 이...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자신의 개인가치와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는 어...
사회복지사는 여러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야 하는 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