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법론
1.랑그와 빠롤에의 초대
2.고자와 서자
*목적
3.보편언어를 찾아서
*언어의 실질
4.돼지가죽이 없으면 돼지가 흐트러진다
*습득
5.떤탠니 안냐세요?
6.스무 개의 외국어를 구사하는 저능아
*문자
7.고양이(cat)가 나무(log)에 붙으면 목록(catalog)?
*언어의 계통
8.한글, 어디서 왔나?
9.한국어는 인도-아리안?
*음운론
10.머저(merger)가 아니고 마자(merger)라니까!
11.샌드(sand)가 위치(wich)를 만날 때
*형태론
12.꼬리에 꼬리를 물고
13.베리(berry)와 너트(nut)
*통사론
14.늙은 남자와 그냥 여자
*의미론
15.랑그, 혹은 시니피에
*비교언어
16.언어의 족보를 찾아서
17. 백 백만은 일억
*언어와 사회
18.교수님, 코딱지 묻었어요!
*언어와 문화
19.나나쥐와 도도쥐
20. 입맞춤과 열맞춤의 미학
1.랑그와 빠롤에의 초대
2.고자와 서자
*목적
3.보편언어를 찾아서
*언어의 실질
4.돼지가죽이 없으면 돼지가 흐트러진다
*습득
5.떤탠니 안냐세요?
6.스무 개의 외국어를 구사하는 저능아
*문자
7.고양이(cat)가 나무(log)에 붙으면 목록(catalog)?
*언어의 계통
8.한글, 어디서 왔나?
9.한국어는 인도-아리안?
*음운론
10.머저(merger)가 아니고 마자(merger)라니까!
11.샌드(sand)가 위치(wich)를 만날 때
*형태론
12.꼬리에 꼬리를 물고
13.베리(berry)와 너트(nut)
*통사론
14.늙은 남자와 그냥 여자
*의미론
15.랑그, 혹은 시니피에
*비교언어
16.언어의 족보를 찾아서
17. 백 백만은 일억
*언어와 사회
18.교수님, 코딱지 묻었어요!
*언어와 문화
19.나나쥐와 도도쥐
20. 입맞춤과 열맞춤의 미학
본문내용
울리지 않는 소리
·유기음 과 무기음 : 유기음은 무성음이 발음될 때 거친 입김이 새어나오면서 만들어지 는 소리 무기음은 기음화되지 않은 무성음
·비음 과 구강음 : 비강에서 나온 소리와 구강에서 나는 소리
·유음 : 공기가 구강에서 어느 정도 방해를 받지만 마찰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상태 에서 나는 소리
·전이음 : 공기가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형태론)
12.꼬리에 꼬리를 물고 , 13.베리(berry)와 너트(nut)
형태론 : 형태소에서 단어까지를 다루는 문법학 분야
*형태소 :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최소한의 의미단위
-의존형태소 : 다른 단어에 붙여서 쓰이는 형태소
-자유형태소 :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소
-굴절형태소 : 품사를 바꾸지도 않고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지도 않는 형태소
-파생형태소 : 단어의 파생과 관계되는 형태소
*단어 : 형태소의 모임
*동음이의어 : 형태소는 겉모양이 같아도 엉뚱한 의미를 가지는 것
(통사론)
14.늙은 남자와 그냥 여자
통사론 :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자연언어 : 자연스럽게 인간들에게 생겨난 이런 언어
(의미론)
15.랑그, 혹은 시니피에
의미론 : 단어와 문장의 뜻과 실제 상황에 나타나는 발화의 뜻을 연구하는 학문
문장을 문자의 배열로 보지 않고 문장이 포함하는 내용이나 의미를 문제로 삼는 것
-의미 속성 혹은 의미 자질로 구성되어 있다.
-->반의어, 동의어, 부정어, 은유, 의미의 장 등
(비교언어)
16.언어의 족보를 찾아서 , 17. 백 백만은 일억
언어의 족보를 찾는 작업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에 대해 하나의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비교언어학 : 언어 사이의 비교를 통하여 친족 관계를 증명하고 그 공통 조어의 모습을 추정하여, 친족어들이 분기하여 내려온 역사적 변화를 밝히는 학문
(언어와 사회)
18.교수님, 코딱지 묻었어요!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어떠한 사회적 금기가 작용하는지 또 어떻게 그런 문제를 해결하는지
를 살펴본다.
*화용론 : 말하는 이, 듣는 이, 시간, 장소 따위로 구성되는 맥락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의미론의 한 분야.
(언어와 문화)
19.나나쥐와 도도쥐 , 20. 입맞춤과 열맞춤의 미학
*언어의 중요성
*언어의 사회적 기능
*시의 본질
- 자주 사용되는 기교 : 두운, 각운, 반복 등...
*언어의 아름다움의 본질
·유기음 과 무기음 : 유기음은 무성음이 발음될 때 거친 입김이 새어나오면서 만들어지 는 소리 무기음은 기음화되지 않은 무성음
·비음 과 구강음 : 비강에서 나온 소리와 구강에서 나는 소리
·유음 : 공기가 구강에서 어느 정도 방해를 받지만 마찰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상태 에서 나는 소리
·전이음 : 공기가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형태론)
12.꼬리에 꼬리를 물고 , 13.베리(berry)와 너트(nut)
형태론 : 형태소에서 단어까지를 다루는 문법학 분야
*형태소 :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최소한의 의미단위
-의존형태소 : 다른 단어에 붙여서 쓰이는 형태소
-자유형태소 :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소
-굴절형태소 : 품사를 바꾸지도 않고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지도 않는 형태소
-파생형태소 : 단어의 파생과 관계되는 형태소
*단어 : 형태소의 모임
*동음이의어 : 형태소는 겉모양이 같아도 엉뚱한 의미를 가지는 것
(통사론)
14.늙은 남자와 그냥 여자
통사론 :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자연언어 : 자연스럽게 인간들에게 생겨난 이런 언어
(의미론)
15.랑그, 혹은 시니피에
의미론 : 단어와 문장의 뜻과 실제 상황에 나타나는 발화의 뜻을 연구하는 학문
문장을 문자의 배열로 보지 않고 문장이 포함하는 내용이나 의미를 문제로 삼는 것
-의미 속성 혹은 의미 자질로 구성되어 있다.
-->반의어, 동의어, 부정어, 은유, 의미의 장 등
(비교언어)
16.언어의 족보를 찾아서 , 17. 백 백만은 일억
언어의 족보를 찾는 작업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에 대해 하나의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비교언어학 : 언어 사이의 비교를 통하여 친족 관계를 증명하고 그 공통 조어의 모습을 추정하여, 친족어들이 분기하여 내려온 역사적 변화를 밝히는 학문
(언어와 사회)
18.교수님, 코딱지 묻었어요!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어떠한 사회적 금기가 작용하는지 또 어떻게 그런 문제를 해결하는지
를 살펴본다.
*화용론 : 말하는 이, 듣는 이, 시간, 장소 따위로 구성되는 맥락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의미론의 한 분야.
(언어와 문화)
19.나나쥐와 도도쥐 , 20. 입맞춤과 열맞춤의 미학
*언어의 중요성
*언어의 사회적 기능
*시의 본질
- 자주 사용되는 기교 : 두운, 각운, 반복 등...
*언어의 아름다움의 본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