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발레, 음악, 미술,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러시아 발레
 1. 발레의 도입
 2. 발레의 기초 확립
 3. 근대 발레의 역사 시작
 4. 소비에트 발레 시대
 5. 러시아 발레의 현황

Ⅱ. 러시아 음악
 1. 러시아 음악 개관
 2. 19세기 러시아 음악
 3. 20세기 러시아 음악

Ⅲ. 러시아 미술
 1. 서설
 2. 러시아의 아방가르드와 구조주의
 3. 회화
 4. 조각
 5. 공예

본문내용

Ⅲ. 러시아 미술
1. 서설
- 러시아 미술은 10세기 말,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기독교 미술을 받아들이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8세기에는 러시아의 서유럽화 정책으로 당시 미술은 유럽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유럽 미술과는 독자적인 러시아만의 풍토를 만들었는데 이에 대한 큰 이유로 는 러시아가 종교로써 동방정교를 받아들인 점, 몽고의 지배 등으로 인한 유럽으로부 터의 분단과 고립기간이 길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2.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본시 군대 용어로 전투할 때 선두에 서서 적진을 향해 돌진하는 부대를 뜻함. 이것이 변형되어 러시아 혁명 전야의 계급투쟁에 선봉으로 서서 목적의식을 가진 집단으로서의 정당과 당원을 지칭하게 되었음. 그리고 이것이 예술에 전용되어 끊임없이 미지의 문제와 대결하여 이제까지의 예술 개념을 일변시킬 수 있는 혁명적인 예술 경향이나 그 운동을 뜻하게 됨.
와 구조주의
(1)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① 1920년대 러시아의 주류적인 예술 운동을 전개
② 표현상의 변혁과 정치적인 혁명을 동시에 고려함
③ 상실된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디자인마련에 주력
④ 공동체적 노력을 신성시 여김
(2) 구조주의
① 대표적 아방가르드 말레비치, 타틀린, 로드첸코, 리시츠키 등.
들에 의해 받아들여짐
② 이념으로서의 디자인을 추구
③ 미술상의 혁명인 추상주의와 정치적 형명인 사회주의를 동일시함
3. 회화
(1) 10-17세기 : 2차원적인 표현을 쓴 종교화가 대세였음
지역마다 회화의 양식이 조금씩 달랐음.
① 북노브고로드 - 다른 도시에 비해 자유로운 느낌을 추구
② 블라지미르 - 비잔틴 정통 고수. 민족적 감정을 반영한 양식을 형성. 이민족의 잦은 침입으로 파괴와 재건이 반복됨.
③ 노브고로드 - 프레스코의 영향을 받은 아름답고 명쾌하며 율동적인 노브고로드 특유의 이꼰 양식이 생겨남
(2) 18세기초 ~ 19세기 중반 : 프랑스 회화의 영향을 크게 받음. 19세기에 들어와 사 회적 의식에 눈을 뜨며 보다 러시아만의 독자적인 길을 가게 됨. 애국심에 중점 을 두고 역사화, 풍속화, 풍경화 등 모든 장르의 그림이 탄생하게 되었음. 러시아 사회를 비판하는 그림들이 많이 등장함
(3) 19세기 말 ~ 20세기 초반 : 러시아 회화의 발전이 촉진
4. 조각
- 러시아 외부의 조각가들이 들어오면서 바로크 양식을 전함
- 1757년에 미술 아카데미가 만들어져 본격적인 조각가들이 육성됨.
- 19세기 후반, 자연주의적인 세밀 묘사와 인간심리를 묘사한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 하여 뜨루베츠꼬이 같은 인상주의적 경향을 보인 작가가 나오기도 했으며, 20세기 초에는 꼬논꼬프와 같은 거장이 나옴.
5. 공예
(1) 특징 : 종교 의식에 쓰이는 예배용 도구를 만드는 기술이 뛰어났음
(2) 17세기 : 전반적인 공예 기술에 있어 급속한 발전을 이룸 -> 바로크 양식과 오 리엔트 풍의 영향을 많이 받음.
(3) 18세기 : 페테르부르그에 왕립 직속 도용공방이 생겼으며, 유럽으로부터 도자 기 전문가를 직접 초빙하여 도자기류에 있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룸.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7.18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