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서론
1. 윤리경영 및 윤리의 본래 의미
2. 정보사회에서의 인터넷 윤리
3. 전자깡패란?
02 본론
1. 사이버 폭력 정의
2. 사이버 폭력의 원인
3. 사이버 폭력의 특징
4. 전자 깡패의 유형
(1)사이버 명예훼손
(2)사이버 모욕
(3)사이버 스토킹
(4)사이버 성폭력
(5)사이버 음란
5. 전자 깡패를 길들이기
(1)제도적 노력
(2)기술적 노력
(3)자발적 노력
03 결론
1. 신 윤리강령
0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1. 윤리경영 및 윤리의 본래 의미
2. 정보사회에서의 인터넷 윤리
3. 전자깡패란?
02 본론
1. 사이버 폭력 정의
2. 사이버 폭력의 원인
3. 사이버 폭력의 특징
4. 전자 깡패의 유형
(1)사이버 명예훼손
(2)사이버 모욕
(3)사이버 스토킹
(4)사이버 성폭력
(5)사이버 음란
5. 전자 깡패를 길들이기
(1)제도적 노력
(2)기술적 노력
(3)자발적 노력
03 결론
1. 신 윤리강령
0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http://www.internet119.or.kr이나 사이버 패트롤 등에 신고를 하면 되지만 대부분의 성인들은 이러한 신고 절차가 귀찮거나 잘 몰라서 불법, 유해 정보가 있더라도 신고를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인터넷119에서 인터넷파랑새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항상 시스템 트레이에 상주하면서 언제라도 마우스 클릭 몇 번만으로 쉽게 불법적인 정보나 사이트들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고 전용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최초에 몇 가지의 세부적인 사항을 입력해 놓으시면 매번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신고를 할수 있으며, 신고처리 상황을 이메일 등으로 받아볼 수도 있고 또한, 화면 캡쳐 기능도 제공을 해주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을 증거물로 첨부를 해서 보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자녀들을 키우시는 분이거나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네티즌들이라면 한번쯤 설치를 해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정보나 사이트를 신고하는 신고 정신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3) 자발적 노력
제도적, 기술적 방법 외에도 네티즌 스스로의 힘으로 전자깡패를 길들이려는 노력 또한 많다. 그리고 자발적인 노력으로 앞서의 여러 문제들을 잡을 수 있다. 자발적인 노력으로 전자깡패를 길들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
지금도 진행되고 있지만,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 합니다.)’는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한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명예를 훼손하였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네티즌들이 스스로 서명운동을 시작하여, ‘타진요’를 만든 왓비컴즈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외에도 현재 많은 서명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네티즌들이 스스로 참여하여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하는 서명운동으로 인해 우리는 제도적, 기술적 방법 외에도 인터넷문화를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서명운동 외에도 선플 달기운동이 있다. 선플 달기운동은 한국이 인터넷 환경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온라인 참여지수’ 세계 1위를 기록을 하였지만, 악성댓글,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가 생겨 이를 방지하고 올바른 인터넷 문화를 선도하기 위한 노력이다.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 모두 행복해지는 선플을 통해, 보다 진보된 인터넷 문화의 실현을 위한 노력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서명운동은 2007년 초, 젊은 여가수가 악플에 시달리다 자살을 하자, 중앙대 민병철 교수가 자신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과제를 낸 것이 시초가 되었다. 그로 인해 악플이 달린 연예인의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5,700여개의 선플이 달리게 되었다. 이것이 더 커져서 선플 달기운동본부가 발족했다. 선플 달기운동본부에 들어가면 선잠 선언문이 있으며, 네티즌들은 아직도 꾸준히 선플을 쓰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사례를 더 들어보자면 휴먼다큐사랑에 나왔던 정소향씨의 사연이다. 19세의 어린 나이에 교도소에 들어가면서 신체검사를 받던 도중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정소향씨는 교도소 안에서 아이를 낳았다. 하지만 부모에게 버려지는 아픔을 알았던 소향씨는 아이를 입양 보내지 못하고 사회로 나와 싱글 맘으로써 도넛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생활을 해왔다. 이러한 사연이 휴먼다큐사랑에서 소개되자 인터넷 네티즌들의 따스한 격려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관심이 도넛 회사를 소향씨를 정식사원으로 고용하도록 하였다.
3. 결론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이버 공간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네티즌은 사이버 공간에서 유익한 정보를 서로 나누고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 또한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정보사회의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며,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사이버 공간의 주체는 네티즌이다. 네티즌은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와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의무와 책임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권리가 존중되지 않고 의무가 이행되지 않을 때 사이버 공간은 무질서와 타락으로 붕괴하고 말 것이다. 이에 사이버 공간을 모두의 행복과 자유, 평등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네티즌 윤리 강령\'을 제정하고 이를 실천할 것을 다짐한다.
우리는 사이버예절을 지키는 대한민국 누리꾼이다.
하나. 윤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인터넷 정보윤리를 준수한다
둘. 우리는 현실세상과 같은 마음으로 인터넷을 사용한다
셋. 우리는 법규를 준수하고 타인의 심정을 고려한다.
넷. 우리는 예절과 매너를 지키며 네티켓으로 굳게 단결한다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황경식 (1988). 『응용윤리학』, 서울: 종로서적.
남길우양희인 (2004). 건전한 정보윤리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 『정보격차 이슈리포트』, 통권 9호.
추병완 (2001a). 사이버 윤리의 정립 방안, 『정보와 사회』, 제 3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과 청소년의 언어폭력』.한국청소년개발원.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0604/h2006040718374221540.htm
http://news.donga.com/3//20060410/8293897/1
http://blog.naver.com/hongkol?Redirect=Log&logNo=5066690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17&aid=000003609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347987
http://www2.readersnews.com/sub_read.html?uid=24334§ion=sc1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10629104351&type=det
http://www.etnews.com/news/people/2008831_1617.html
http://www.safenet.ne.kr/madang/faq.html
http://blog.naver.com/e_library?Redirect=Log&logNo=120054597924
최초에 몇 가지의 세부적인 사항을 입력해 놓으시면 매번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신고를 할수 있으며, 신고처리 상황을 이메일 등으로 받아볼 수도 있고 또한, 화면 캡쳐 기능도 제공을 해주기 때문에 이미지 파일을 증거물로 첨부를 해서 보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자녀들을 키우시는 분이거나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네티즌들이라면 한번쯤 설치를 해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정보나 사이트를 신고하는 신고 정신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3) 자발적 노력
제도적, 기술적 방법 외에도 네티즌 스스로의 힘으로 전자깡패를 길들이려는 노력 또한 많다. 그리고 자발적인 노력으로 앞서의 여러 문제들을 잡을 수 있다. 자발적인 노력으로 전자깡패를 길들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
지금도 진행되고 있지만,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 합니다.)’는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한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명예를 훼손하였다. 이러한 사태에 대해 네티즌들이 스스로 서명운동을 시작하여, ‘타진요’를 만든 왓비컴즈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외에도 현재 많은 서명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네티즌들이 스스로 참여하여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하는 서명운동으로 인해 우리는 제도적, 기술적 방법 외에도 인터넷문화를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서명운동 외에도 선플 달기운동이 있다. 선플 달기운동은 한국이 인터넷 환경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온라인 참여지수’ 세계 1위를 기록을 하였지만, 악성댓글,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가 생겨 이를 방지하고 올바른 인터넷 문화를 선도하기 위한 노력이다.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 모두 행복해지는 선플을 통해, 보다 진보된 인터넷 문화의 실현을 위한 노력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서명운동은 2007년 초, 젊은 여가수가 악플에 시달리다 자살을 하자, 중앙대 민병철 교수가 자신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과제를 낸 것이 시초가 되었다. 그로 인해 악플이 달린 연예인의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5,700여개의 선플이 달리게 되었다. 이것이 더 커져서 선플 달기운동본부가 발족했다. 선플 달기운동본부에 들어가면 선잠 선언문이 있으며, 네티즌들은 아직도 꾸준히 선플을 쓰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사례를 더 들어보자면 휴먼다큐사랑에 나왔던 정소향씨의 사연이다. 19세의 어린 나이에 교도소에 들어가면서 신체검사를 받던 도중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정소향씨는 교도소 안에서 아이를 낳았다. 하지만 부모에게 버려지는 아픔을 알았던 소향씨는 아이를 입양 보내지 못하고 사회로 나와 싱글 맘으로써 도넛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생활을 해왔다. 이러한 사연이 휴먼다큐사랑에서 소개되자 인터넷 네티즌들의 따스한 격려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관심이 도넛 회사를 소향씨를 정식사원으로 고용하도록 하였다.
3. 결론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이버 공간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네티즌은 사이버 공간에서 유익한 정보를 서로 나누고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 또한 사이버 공간을 통해 정보사회의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며, 인류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사이버 공간의 주체는 네티즌이다. 네티즌은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와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의무와 책임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권리가 존중되지 않고 의무가 이행되지 않을 때 사이버 공간은 무질서와 타락으로 붕괴하고 말 것이다. 이에 사이버 공간을 모두의 행복과 자유, 평등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네티즌 윤리 강령\'을 제정하고 이를 실천할 것을 다짐한다.
우리는 사이버예절을 지키는 대한민국 누리꾼이다.
하나. 윤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인터넷 정보윤리를 준수한다
둘. 우리는 현실세상과 같은 마음으로 인터넷을 사용한다
셋. 우리는 법규를 준수하고 타인의 심정을 고려한다.
넷. 우리는 예절과 매너를 지키며 네티켓으로 굳게 단결한다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황경식 (1988). 『응용윤리학』, 서울: 종로서적.
남길우양희인 (2004). 건전한 정보윤리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 『정보격차 이슈리포트』, 통권 9호.
추병완 (2001a). 사이버 윤리의 정립 방안, 『정보와 사회』, 제 3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과 청소년의 언어폭력』.한국청소년개발원.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0604/h2006040718374221540.htm
http://news.donga.com/3//20060410/8293897/1
http://blog.naver.com/hongkol?Redirect=Log&logNo=5066690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17&aid=000003609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347987
http://www2.readersnews.com/sub_read.html?uid=24334§ion=sc1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10629104351&type=det
http://www.etnews.com/news/people/2008831_1617.html
http://www.safenet.ne.kr/madang/faq.html
http://blog.naver.com/e_library?Redirect=Log&logNo=120054597924
추천자료
[사범/법학] 청소년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인터넷 익명성 문제의 원인, 문제점 및 해결방안
성폭력 범죄의 실태와 대응방안
사이버 모욕죄(최진실법)에 대한 찬.반 양론과 개인적 견해
사이버 모욕죄 도입에 관한 논의
인터넷(사이버공간)불건전정보 개념, 인터넷(사이버공간)불건전정보 유형, 인터넷(사이버공간...
[학교문제][학교문제 사례]학교문제(집단따돌림, 집단괴롭힘, 왕따) 사례, 학교문제(흡연) 사...
청소년비행의 유형(학교폭력, 집단따돌림, 성 비행, 사이버 일탈, 자살)
[인터넷실명제에 따른 찬반]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시행에 대한 찬반입장을 ...
[청소년 폭력] 학교폭력에 대한 자료를 분석, 자신이 생각하는 발생원인 무엇인지에 대해서[...
사이버 세계의 윤리
[청소년교육개론 靑少年敎育槪論]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행동 (청소년 폭력, 청소년 집단 괴롭...
[청소년 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의 특성과 특징, 청소년 사이버범죄의 특징, 실태와 사례,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