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격효과의 개념
1. 1 소격효과의 개념
1. 2 브레히트의 변증법과 소외
1. 3 브레히트 이전 소외의 형태
2. 소격효과의 기법
2. 1 공연기술
․ 연기
․ 무대장치
․ 음향효과
․ 조명효과
․ 슬라이드 및 영상
3. 소격효과의 양상
3. 1 소설
3. 2 시
3. 3 극
4. 소격효과의 한계
1. 1 소격효과의 개념
1. 2 브레히트의 변증법과 소외
1. 3 브레히트 이전 소외의 형태
2. 소격효과의 기법
2. 1 공연기술
․ 연기
․ 무대장치
․ 음향효과
․ 조명효과
․ 슬라이드 및 영상
3. 소격효과의 양상
3. 1 소설
3. 2 시
3. 3 극
4. 소격효과의 한계
본문내용
부분은 무진의 안개에 대한 묘사의 한 대목이다. 그런데 주인공은 안개에 대한 비일상적 시각을 갖고 있어서 안개를 퍽 낯설고 서머한 새 모습의 형태로 드러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낯설게 하기’의 수법에 의해 안개, 더 나아가 안개가 무진장으로 있는 무진이란 도시의 낯설음을 한껏 높이고 있다.
3) 시점에 의한 소격효과
a. 1인칭 관찰자 시점
하루는 밤에 아저씨 방에서 놀다가 졸려 안방으로 들어오려고 일어서니까 아저씨가 하이얀 봉투를 서랍에서 꺼내어 내게 주었다.
“옥희, 이거 갖다 엄마 드리고 지나간 달 밥값이라구, 응.”
나는 그 봉투를 갖다가 어머니에게 드렸습니다. 어머니는 그 봉투를 받아들자 갑자기 얼굴이 파랗게 질렸습니다. 그 전날 달밤에 마루에 앉았을 때보다도 더 새하얗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어머니는 그 봉토를 들고 어쩔 줄을 모르는 듯이 초조한 빛이 나타났습니다. 나는,
“그거 지나간 달 밥값이래.”
하고 말을 하니까 어머니는 갑자기 잠자다가 깨나는 사람처럼 응? 하고 놀라더니 또 금시에 백짓장같이 새하얗던 얼굴이 발갛게 물들었습니다. 봉투 속으로 들어갔던 어머니의 파들파들 떨리는 손가락이 지전을 몇장 걸고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 다시 어머니가 무엇에 놀랐는지 흠칫하더니 금시에 얼굴이 다시 새하얘지고 입술이 바르르 떨렸습니다. 어머니의 손을 바라보니 거기에는 지전 몇 장 외에 네모로 저은 하얀 종이가 한 장 잡혀 있는 것이었습니다.
-주요섭의<사랑 손님과 어머니>에서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는 어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애정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순진한 어린애가 화자로 되어 있어서 화자가 느끼는 것과 청자가 느끼는 것 사이의 거리가 독특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하숙비를 넣은 봉투에다 구애의 편지를 보낸다는 모티프는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런 이야기는 특별한 흥미를 일으키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작가는 순진한 어린애의 시점을 이용함으로써 그것이 어른들의 속 타는 사람과 연애편지임을 강조해 주고, 어린 딸의 천진한 몰이해 뒤에 크게 부각되는 어머니의 고민을 새삼스레 깨달을 수 있게 해 준다.
b. 작가 관찰자 시점
천 기자가 자살을 했을거라구요?
중위가 갑자기 진지한 얼굴로 양주호에게 덤벼들었다. 이상한 일이었다. 양주호는 절말 어뚱한 말을 하고 있었다. 천 기자의 사고 경위를 따지지 않는 이유를 그는 천 기자가 아마 자살을 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선우 중위의 입장만 점점 더 편리하게 해 주고 있다. 하지만 중위는 물론 그 양주호의 말을 무심히 들어 넘길 수가 없었다. 중위 역시 그 천남석의 죽음에는 처음부터 늘 어딘가 석연찮은 구석이 느껴져 오고 있던 터였다.
-이청준의<이어도>에서
작가가 모든 스토리를 전개하되 관찰자의 위치에서 자기의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묘사해 나간다. 한 마디로 이 시점에 의한 서술의 특색은 극적이고 객관적이라는 데 있다. 작품밖에 있는 작가가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펼쳐 나가게 되므로 흔히 이런 이야기는 인물들이 ‘그’, ‘그들’로 되어 있어서 3인칭 시점이라고 부른다. 화자인 작가는 ‘무비 카메라’가 사건을 좇듯이 작중인물의 마음속에 들어가지 않고 단지 밖에서 보고들은 것을 독자에게 들려준다. 그러므로 독자는 영화를 보는 관객의 입장이 된다. 이러한 서술은 작중인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독자가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퍽 단조로운 느낌을 주게 되며 무한정 길게 이끌어 갈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시점만으로는 소설을 구성할 수는 없으나 부분적으로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다.
3. 2 시에서 나타나는 소격효과
1) 전경화를 통한 소격효과
언어의 일상적 관습적 표현은 대상인식을 통념에 의존하게 한다. 어떤 대상에 대한 지각이 반복되어 습관화 되었을 때 친숙성이 형성된다. 통념 혹은 관습에 의존할 때 사물이나 사태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깨달음은 차단되고 만다.
낯설게 하기 위해서는 시어는 표현행위, 언표행위 그 자체를 최대한으로 내세운다. 체코의 언어학자 무카조프스키는 이를 내세우기, 또는 전경화라는 용어로 명명한바있다. 언어의 지시적 국면이나 논리적 관계를 배경화함으로써 획득되는 내세우기는 낯설게 하기와 상통한다. 언어표현의 일상적 지각의 세계를 낯설게 하기 때문이다. 시간을 노래하고 있는 다음 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인식하는 시간의 친숙성을 낯설게 함으로써 지각의 어려움을 통해 예술적 목적을 구현하고 있다.
낮술
정현종
하루여, 그대 시간의 작은 그릇이
아무리 일들로 가득차 덜그덕거린다 해도
신성한 시간이여, 그대는 가혹하다
우리는 그대의 빈 그릇을
무엇으로든지 채워야 하느니,
우리가 죽음으로 그대를 배부르게 할 때까지
죽음이 혹은 그대를 배부르게 할 때까지
2) 괄호의 사용
괄호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거리를 조성하고 시속의 정서에 함몰되는 것을 미연에 막아준다.
사상을 낚는 그물,
물을 낚고 있네
대형선박이
바리캉으로 뒤통수 밀듯, 물 위로
기다란 흰 자취 끌고
부천공단으로 들어오는 동안
(여기서 뭔 말인가 하려 했는데
잊어 버렸네)
웅, 그렇지,
아이들이 뭉게 구름에서 잡은 빙과
잠자리,
땅에 내려오자 녹아 버렸네
-날개 속에 그물이 있다(황지우)에서
이 시의 시적화자는 ‘물’, ‘선박’등의 이미지를 통해 팽팽한 긴장감을 마련해간다. 그러다 갑자기 시적화자 대신에 작가가 괄호를 통해 시에 개입한다. 그래서 시적 긴장감은 깨져 버리고 이완된다. 이를 통해서 이어 나오는 ‘아이들이 뭉게구름에서 잡은 빙과/ 잠자리’라는 이미지와 연관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생소한 발화는 독자가 시적정조에 함몰되는 것을 막아주고, 변혁운동의 과오를 성찰할 계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3) 웃음 혹은 풍자
웃음 역시 대상에 대한 거리감을 유지케 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웃음이란 본래 대상과 거리를 유지하며, 이를 낯선 시각에서 바라보는 계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소격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그때 거기서 나는 웃었다
이름을 대고 나이와 직업을 대고
꽝 내리치는 주먹
떨어지는 국화꽃잎 아래서
그때 거기서 나는 웃었다
컵의 물이 근엄한 근영에 튀었다
쓰레기통에 자기 그림자를
파먹는 미친 개 같애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묵시이 물 우에
3) 시점에 의한 소격효과
a. 1인칭 관찰자 시점
하루는 밤에 아저씨 방에서 놀다가 졸려 안방으로 들어오려고 일어서니까 아저씨가 하이얀 봉투를 서랍에서 꺼내어 내게 주었다.
“옥희, 이거 갖다 엄마 드리고 지나간 달 밥값이라구, 응.”
나는 그 봉투를 갖다가 어머니에게 드렸습니다. 어머니는 그 봉투를 받아들자 갑자기 얼굴이 파랗게 질렸습니다. 그 전날 달밤에 마루에 앉았을 때보다도 더 새하얗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어머니는 그 봉토를 들고 어쩔 줄을 모르는 듯이 초조한 빛이 나타났습니다. 나는,
“그거 지나간 달 밥값이래.”
하고 말을 하니까 어머니는 갑자기 잠자다가 깨나는 사람처럼 응? 하고 놀라더니 또 금시에 백짓장같이 새하얗던 얼굴이 발갛게 물들었습니다. 봉투 속으로 들어갔던 어머니의 파들파들 떨리는 손가락이 지전을 몇장 걸고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 다시 어머니가 무엇에 놀랐는지 흠칫하더니 금시에 얼굴이 다시 새하얘지고 입술이 바르르 떨렸습니다. 어머니의 손을 바라보니 거기에는 지전 몇 장 외에 네모로 저은 하얀 종이가 한 장 잡혀 있는 것이었습니다.
-주요섭의<사랑 손님과 어머니>에서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는 어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애정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순진한 어린애가 화자로 되어 있어서 화자가 느끼는 것과 청자가 느끼는 것 사이의 거리가 독특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하숙비를 넣은 봉투에다 구애의 편지를 보낸다는 모티프는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런 이야기는 특별한 흥미를 일으키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작가는 순진한 어린애의 시점을 이용함으로써 그것이 어른들의 속 타는 사람과 연애편지임을 강조해 주고, 어린 딸의 천진한 몰이해 뒤에 크게 부각되는 어머니의 고민을 새삼스레 깨달을 수 있게 해 준다.
b. 작가 관찰자 시점
천 기자가 자살을 했을거라구요?
중위가 갑자기 진지한 얼굴로 양주호에게 덤벼들었다. 이상한 일이었다. 양주호는 절말 어뚱한 말을 하고 있었다. 천 기자의 사고 경위를 따지지 않는 이유를 그는 천 기자가 아마 자살을 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선우 중위의 입장만 점점 더 편리하게 해 주고 있다. 하지만 중위는 물론 그 양주호의 말을 무심히 들어 넘길 수가 없었다. 중위 역시 그 천남석의 죽음에는 처음부터 늘 어딘가 석연찮은 구석이 느껴져 오고 있던 터였다.
-이청준의<이어도>에서
작가가 모든 스토리를 전개하되 관찰자의 위치에서 자기의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묘사해 나간다. 한 마디로 이 시점에 의한 서술의 특색은 극적이고 객관적이라는 데 있다. 작품밖에 있는 작가가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펼쳐 나가게 되므로 흔히 이런 이야기는 인물들이 ‘그’, ‘그들’로 되어 있어서 3인칭 시점이라고 부른다. 화자인 작가는 ‘무비 카메라’가 사건을 좇듯이 작중인물의 마음속에 들어가지 않고 단지 밖에서 보고들은 것을 독자에게 들려준다. 그러므로 독자는 영화를 보는 관객의 입장이 된다. 이러한 서술은 작중인물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독자가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퍽 단조로운 느낌을 주게 되며 무한정 길게 이끌어 갈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시점만으로는 소설을 구성할 수는 없으나 부분적으로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다.
3. 2 시에서 나타나는 소격효과
1) 전경화를 통한 소격효과
언어의 일상적 관습적 표현은 대상인식을 통념에 의존하게 한다. 어떤 대상에 대한 지각이 반복되어 습관화 되었을 때 친숙성이 형성된다. 통념 혹은 관습에 의존할 때 사물이나 사태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깨달음은 차단되고 만다.
낯설게 하기 위해서는 시어는 표현행위, 언표행위 그 자체를 최대한으로 내세운다. 체코의 언어학자 무카조프스키는 이를 내세우기, 또는 전경화라는 용어로 명명한바있다. 언어의 지시적 국면이나 논리적 관계를 배경화함으로써 획득되는 내세우기는 낯설게 하기와 상통한다. 언어표현의 일상적 지각의 세계를 낯설게 하기 때문이다. 시간을 노래하고 있는 다음 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인식하는 시간의 친숙성을 낯설게 함으로써 지각의 어려움을 통해 예술적 목적을 구현하고 있다.
낮술
정현종
하루여, 그대 시간의 작은 그릇이
아무리 일들로 가득차 덜그덕거린다 해도
신성한 시간이여, 그대는 가혹하다
우리는 그대의 빈 그릇을
무엇으로든지 채워야 하느니,
우리가 죽음으로 그대를 배부르게 할 때까지
죽음이 혹은 그대를 배부르게 할 때까지
2) 괄호의 사용
괄호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거리를 조성하고 시속의 정서에 함몰되는 것을 미연에 막아준다.
사상을 낚는 그물,
물을 낚고 있네
대형선박이
바리캉으로 뒤통수 밀듯, 물 위로
기다란 흰 자취 끌고
부천공단으로 들어오는 동안
(여기서 뭔 말인가 하려 했는데
잊어 버렸네)
웅, 그렇지,
아이들이 뭉게 구름에서 잡은 빙과
잠자리,
땅에 내려오자 녹아 버렸네
-날개 속에 그물이 있다(황지우)에서
이 시의 시적화자는 ‘물’, ‘선박’등의 이미지를 통해 팽팽한 긴장감을 마련해간다. 그러다 갑자기 시적화자 대신에 작가가 괄호를 통해 시에 개입한다. 그래서 시적 긴장감은 깨져 버리고 이완된다. 이를 통해서 이어 나오는 ‘아이들이 뭉게구름에서 잡은 빙과/ 잠자리’라는 이미지와 연관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생소한 발화는 독자가 시적정조에 함몰되는 것을 막아주고, 변혁운동의 과오를 성찰할 계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3) 웃음 혹은 풍자
웃음 역시 대상에 대한 거리감을 유지케 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웃음이란 본래 대상과 거리를 유지하며, 이를 낯선 시각에서 바라보는 계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소격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그때 거기서 나는 웃었다
이름을 대고 나이와 직업을 대고
꽝 내리치는 주먹
떨어지는 국화꽃잎 아래서
그때 거기서 나는 웃었다
컵의 물이 근엄한 근영에 튀었다
쓰레기통에 자기 그림자를
파먹는 미친 개 같애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묵시이 물 우에
추천자료
계발효과 이론
적하효과[Trickle-Down Effect]와 한국경제
특수효과의 의미와 역사
[공격적 정치광고][정치광고][정치][광고][공격적]공격적 정치광고의 실태, 공격적 정치광고...
영상효과가 무용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수방법][양성평등교육][교수방법 사례][교수방법 유의사항][효과적인 교수방법]교수방법의...
카오스이론(혼돈이론) 정의와 특징, 카오스이론(혼돈이론) 프랙탈과 비선형적 속성, 카오스이...
소효과이론
환율인상효과에_대한_이론과_모형에_대하여_설멍하여라
비용효과분석과 비용편익분석에 대해 논하시오
[광양자설, 광자설, 광검출기, 광리소그래피, 광디스크, 광채널, 광자결정, 광전효과]광양자...
[광고자막][광고][자막][광고자막 특징][광고자막 유형][광고자막 효과][광고자막 단가]광고...
한중FTA효과/한중 FTA 협상/협상과정/FTA협상/협상방식/
선별효과이론 (Selective Influence Theory).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