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대책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대책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안전사고 유형
1. 안전사고
2. 유아기의 신체적, 인지, 사회∙정서적 발달 특성과 이에 따른 안전사고
3. 안전사고 발생현황 및 사고 유형
4. 아동안전사고의 유형과 장소

Ⅱ. 예방대책
1. 영아기 안전사고예방
2.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안전
3. 유아를 위한 사회환경 안전
4. 화재 및 교통안전

본문내용

어야 한다. 실제로 한국소비자보호원(1996)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유아의 안전사고 발행률이 가장 놓은 놀이 시설물이 오르기 시설, 미끄럼, 그네, 회전시설로 나타났다.
① 그네 - 그네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사고는 그네에서 떨어지거나 그네에서 내려온 후 움직이는 그네와 부딪혀 발생한다. 그네를 이용시 안전한 자세가 것은 물론 반드시 그네가 멈추고 난 후에 그네를 타고 내리도록 한다. 그네의 앉는 부분은 가죽이나 천막천, 또는 낡은 타이어로 만든다. 설치는 유아들의 왕래가 빈번하지 않은 장소로 한다. 그네의 앞.뒤에 충분한 낙하지점을 확보한다. 그네줄의 고리는 유아의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만큼 8mm 이하고 작게 한다.
② 미끄럼틀 - 높이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하며, 활주면 양쪽에 60cm 정도의 난간을 설치한다. 착지판의 수평 길이는 40~60cm로 하고 착지판의 높이는 지면에서 15~30cm정도 되어야 한다. 활주면의 넓이는 50cm 이상으로 하며, 플라스틱재질로 하되 금속활주면은 여름철 화상에 주의 한다.
③ 시소 - 시소는 무게의 균형이 정확하게 잡히고 흔들거림이 없도록 설치. 땅에 닿는 부분에 페타이어를 묻어 충격완화 장치를 한다. 반드시 손잡이를 부착. 시소를 타거나 내릴 때 주의해야 한다.
④ 오르기 시설 - 유아가 올라갈 때 흔들거림이 없이 단단히 고정되고, 오르기 기구의 높이는 바닦에서 2.5m 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 또한 유아가 단을 한전하게 쥐게 하기 위해 단의 지름은 2~4cm 정도가 적당하며, 단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색상을 서로 다르게 도색한다.
놀이 시설을 안전하게 구서하고 활용하기 위한 규칙
- 시설물을 설치하는 바닥에는 충격흡수용 재질을 깔아 준다.
- 시설물 주변에 충분한 낙하지점을 고려하여 놀이 시설물을 배치한다.
- 놀이 시설물이나 지면에 돌출 부분이나 위험한 부분이 없는지 살펴본다.
- 유아들의 몽이 끼어 사고가 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살펴본다.
- 놀이 시설물의 종류나 규모를 선택할 때 유아의 연령이나 발달수준을 고려한다.
- 놀이 시설물이나 설비 안전을 위하여 정기적인 정검과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한다.
2) 동물 안전 식물 안전
㈀ 동물
① 개에 대한 안전 - 유아들에게 개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나 잘못 다루면 위헌함 동물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고, 특히 낮선 개 앞에서는 적절하게 행동하여 공격을 당하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② 실내에 사육하는 동물에 대한 안전 - 동물을 데려오기 전에 먼저 동물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동물이 건강한지, 예방주사를 맞았는지 미리 확인하여야 한다.
③ 곤충에 대한 안전 - 유아들은 곤충을 좋아하나 곤충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 잘 만지려 한다. 유아에게 아무 곤충이나 만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한다. 야외에 나갈 때에는 가능하면 긴 소매의 옷을 입는다. 캠프시 전자모기향을 사용하며, 단음식을 피하고, 주위에 먹을 것을 두지 않는다.
㈁ 식물
① 관상용 식물에 대한 안전 - 독성을 지니고 있는 식물의 조유를 알고 있어야 하며, 유아교육기관이나 가정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에는 안전한 식물을 적절한 장소에 두어야 하고, 유아들에게도 이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해야한다.
② 야생식물에 대한 안전 - 가시나 바늘로 자신을 방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식물들은 사람의 피부를 자극하거나 위해하는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평소에 식물들을 함부로 만지거나 먹지 못하게 하여야 하며, 만약 가시에 찔리거나, 이러한 식물에 스치거나, 먹었을 경우 의심되는 식물을 가지고 병원으로 가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3. 유아를 위한 사회환경 안전
1) 중독 및 질식 안전
- 유아들이 손으로 사물을 잡고, 기고, 걸을 수 있는 운동능력이 발달하면서부터 시작되는 중독 및 질식사고는 유아들이 발견한 것을 무엇이든지 입으로 가져가 빨고, 먹고, 마신으로써 탐색하려 하는 5세 이하의 유아들에게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 일산화탄소와 세제
-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가스이다. 방이나 문틈 등으로 가스가 들어오는 곳 이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여야 한다.
- 폐쇄된 공간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어둔 채 방치하지 않아야 한다.
- 세제나 약품을 유아들이 손이 닿는 장소에 보관하지 않는다.
㈁ 내복약 및 에어졸 용품
- 처방약은 반드시 날짜와 이름을 명기하여 유아들이 쉽게 열 수 없는 안전한 용기에 넣 어 보관한다.
- 유아가 보는 앞에서 약을 먹거나, 약을 사탕이라고 하면서 먹이지 말아야 한다.
- 어둠속에서 유아에게 약을 먹이지 않는다.
㈂ 납중독
- 페인트는 압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 위험한 물질이다.
- 도자기의 유약 속에도 납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 기타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
- 장난감이나 사진기, 시계, 계산기 등에 들어 있는 원판형 순은이나 리튬전지를 유아가 삼켰을 때에도 위험하다.
㈄ 질식
① 이물질 흡입에 의한 질식
- 유아가 누워서 약이나 주스를 먹지 않게 한다.
- 딸랑이나 장신구 등을 유아의 목에 걸어 주지 않는다.
- 음식을 입에 넣은 사태로 웃거나 울거나 또는 달리지 않게 한다.
②본드나 침구, 비닐봉지 등에 의한 질식
- 본드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창문을 열어 환기시킨다.
- 유아들에게 비닐봉지를 가지고 놀지 않게한다.
- 창문의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묶을 때는 뒤편으로 묶는다. 또한 아이들이 커튼으로 몸을 감고 놀지 않게 한다.
2) 유괴 및 성폭력 안전
㈀ 유괴
- 유아에게 낯선 사람이 길을 물으면 말로만 알려 주고, 절대 따라가지 않도록 한다.
- 유아에게 늦게까지 집 밖에서 놀지 않도록 하고 귀가시간을 지키도록 한다.
- 유아가 집에서 혼자 있을 때는 문을 잠그게 하고, 문을 함부로 열어 부지 않게 한다.
- 유아에게 자신의 이름과 집 주소, 살고 있는 동네가 분명하게 외우게 한다.
㈁ 성폭력
- 유아에게 자신과 다른 사람의 몸의 소중함을 알게 한다. 또한 다른 사람으로 부당한 요구나 취급을 받았을 때는 즉시 부모나 믿을 만한 성인에게 이야기하게 한다.
- 유아가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9.1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