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오차
4. 토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오차
4. 토론
본문내용
%
D.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① 눕혀서 회전시켰을 때
횟수
낙하거리(h)
낙하시간(t)
가속도(a)
장력(T)
1
0.71
22.32
2.85010-3
5.388
2
0.71
21.96
2.94510-3
5.388
3
0.71
21.70
3.01610-3
5.388
4
0.71
22.17
2.88910-3
5.388
5
0.71
22.39
2.83310-3
5.388
평균값
0.71
22.11
2.90510-3
5.388
낙하질량 = 5.5 ㎏
전체 관성모멘트 2.453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2.452
이론값 : 9.588 오차 : 25474 %
② 세워서 회전시켰을 때
횟수
낙하거리(h)
낙하시간(t)
가속도(a)
장력(T)
1
0.71
17.20
4.80010-3
5.387
2
0.71
16.94
4.94810-3
5.387
3
0.71
17.45
4.66310-3
5.387
4
0.71
16.44
5.25410-3
5.387
5
0.71
16.76
5.05510-3
5.387
평균값
0.71
16.96
4.93710-3
5.387
낙하질량 = 5.5 ㎏
전체 관성모멘트 1.443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1.442
이론값 : 4.794 오차 : 29979 %
(2) 분석 및 토의
① 관성모멘트의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라.
☞ 실험
A
B
C①
측정값
9.155
5.452
2.929
이론값
3.366
1.198
8.656
오차
27098 %
454992 %
3383680 %
C②
C③
D①
D②
2.233
5.228
2.452
1.442
7.178
1.604
9.588
4.794
310989 %
325835 %
25474 %
29979 %
② 매달린 추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관성모멘트의 값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I = 의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매달린 추의 질량(m)이 증가하면 관성모멘트(I)의 값은 증가한다. 하지만 이번 실험으로는 추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관성모멘트의 값의 변화를 알수가 없다. 왜냐하면 외부요인은 변화시키지 않은채 질량만 변화시켜서 관성모멘트의 값을 구한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③ 원판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관성모멘트의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또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원판의 면적이 감소할수록 원판의 반경도 줄어들기 때문에
I = 식으로부터 반경(r)의 값이 줄어들면 제곱에 비례하여 관성모멘트(I)의 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수 있다.
3. 오차
=>
실 험
A
B
C①
측정값
9.155
5.452
2.929
이론값
3.366
1.198
8.656
오 차
27098 %
454992 %
3383680 %
C②
C③
D①
D②
2.233
5.228
2.452
1.442
7.178
1.604
9.588
4.794
310989 %
325835 %
25474 %
29979 %
4. 토론
=> 이번 실험의 보고서를 쓰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오차가 굉장히 많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1학기때는 많이 나왔다고 놀랐던 것이 200% 안팎이었는데, 이번 실험은 3백만%가 나와서 상당히 놀랐습니다. 이런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면 시간의 측정에 있어서 사람의 시각적인 판단에만 의존한 것이 라고 생각합니다. 추를 낙하시킨후 실이 모두 풀릴때까지 초시계로 정확히 잰다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세심하게 시간을 쟀지만 사람 눈으로 한다는것에는 약간의 오류가 있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시각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적인 경험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오차가 날 수 있는 원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회전판과 회전막대가 회전을 할때 밑이
D.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① 눕혀서 회전시켰을 때
횟수
낙하거리(h)
낙하시간(t)
가속도(a)
장력(T)
1
0.71
22.32
2.85010-3
5.388
2
0.71
21.96
2.94510-3
5.388
3
0.71
21.70
3.01610-3
5.388
4
0.71
22.17
2.88910-3
5.388
5
0.71
22.39
2.83310-3
5.388
평균값
0.71
22.11
2.90510-3
5.388
낙하질량 = 5.5 ㎏
전체 관성모멘트 2.453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2.452
이론값 : 9.588 오차 : 25474 %
② 세워서 회전시켰을 때
횟수
낙하거리(h)
낙하시간(t)
가속도(a)
장력(T)
1
0.71
17.20
4.80010-3
5.387
2
0.71
16.94
4.94810-3
5.387
3
0.71
17.45
4.66310-3
5.387
4
0.71
16.44
5.25410-3
5.387
5
0.71
16.76
5.05510-3
5.387
평균값
0.71
16.96
4.93710-3
5.387
낙하질량 = 5.5 ㎏
전체 관성모멘트 1.443
회전원판의 관성모멘트 1.442
이론값 : 4.794 오차 : 29979 %
(2) 분석 및 토의
① 관성모멘트의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라.
☞ 실험
A
B
C①
측정값
9.155
5.452
2.929
이론값
3.366
1.198
8.656
오차
27098 %
454992 %
3383680 %
C②
C③
D①
D②
2.233
5.228
2.452
1.442
7.178
1.604
9.588
4.794
310989 %
325835 %
25474 %
29979 %
② 매달린 추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관성모멘트의 값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I = 의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매달린 추의 질량(m)이 증가하면 관성모멘트(I)의 값은 증가한다. 하지만 이번 실험으로는 추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관성모멘트의 값의 변화를 알수가 없다. 왜냐하면 외부요인은 변화시키지 않은채 질량만 변화시켜서 관성모멘트의 값을 구한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③ 원판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관성모멘트의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또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원판의 면적이 감소할수록 원판의 반경도 줄어들기 때문에
I = 식으로부터 반경(r)의 값이 줄어들면 제곱에 비례하여 관성모멘트(I)의 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수 있다.
3. 오차
=>
실 험
A
B
C①
측정값
9.155
5.452
2.929
이론값
3.366
1.198
8.656
오 차
27098 %
454992 %
3383680 %
C②
C③
D①
D②
2.233
5.228
2.452
1.442
7.178
1.604
9.588
4.794
310989 %
325835 %
25474 %
29979 %
4. 토론
=> 이번 실험의 보고서를 쓰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오차가 굉장히 많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1학기때는 많이 나왔다고 놀랐던 것이 200% 안팎이었는데, 이번 실험은 3백만%가 나와서 상당히 놀랐습니다. 이런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면 시간의 측정에 있어서 사람의 시각적인 판단에만 의존한 것이 라고 생각합니다. 추를 낙하시킨후 실이 모두 풀릴때까지 초시계로 정확히 잰다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세심하게 시간을 쟀지만 사람 눈으로 한다는것에는 약간의 오류가 있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시각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적인 경험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오차가 날 수 있는 원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회전판과 회전막대가 회전을 할때 밑이
추천자료
[물리실험][결과보고서]낙하운동과 중력가속도 측정 결과보고서
[물리실험][결과보고서]줄의 진동
[물리실험][결과보고서]낙하운동과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결과, 토의, 정리
[물리실험][결과보고서]토오크의 평형
[물리화학실험]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의한분자량측정
[물리화학실험]분몰랄부피
[물리화학실험]끓는점오름에 의한 분자량 측정
[물리실험] 2-4. 암페어 법칙 (자기장 측정)
[물리실험] 1-8. 관의 공명과 음속 측정
[물리실험] 1-3. 토오크의 평형
[물리실험] 2-3. 자기력 측정 (전류천칭)
[물리실험보고서]전기저항(옴의법칙)
[공학/컴퓨터/통신] [물리실험보고서] 쿨롱의 법칙
[대학물리학실험2] (예비) 6-8.지구 자기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