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토론
2. 실험
(1) 실험 결과
(2) 분석 및 토의
3. 토론
본문내용
니다. 그래서 반사각이 입사각보다는 작게 측정될 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처음에 잴때 계속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서 당황을 했습니다. 나중에 50 일때는 반사각이 51 가 나오길래 ‘이게 똑같이 나올려면 계속 똑같이 나와야지 왜 1 가 더 많이 나올까?’ 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실험책에 있는 이론도 참고를 했지만 답을 찾지 못했다가 나중에 의외로 쉬운곳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빛이 1자 모양의 구멍을 통해 나오는데 빛이 약간 희미하게 두꺼웠습니다. 그것이 거울에 반사되면 똑같이 두껍고 희미한 빛으로 반사되어서 각도기에 각을 1 정도 차지했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0 맞출때 약간 빗나가게 맞춰진 것 같았는데, 50 에서 1 가 더 많게 나온 것이 계속 조금씩 조금씩 각을 더 많이 차지하면서 반사되다가 그것이 축적되다보니 50 에서 1 더 많이 나오게 되었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볼록거울에서는 40 부터 1 씩 적게 나온 것을 보니 이것도 오목거울일때의 원인과 같을 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처음에 실험을 할때 임계각, 전반사에 대해서 이론 체계가 확실히 잡혀있지가 않았습니다. 나름대로 초등학교때부터 배운 반사, 굴절이어서 만만하게 봤습니다. 어렸을때는 전반사와 임계각을 공기중에서 물로 들어가는 빛으로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밀, 소 매질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에 대해서 조사해보니 물 속의 젓가락이 수면에서 꺽인 것처럼 보이거나, 물 속에 있는 물체가 위로 떠 보이거나, 어항 속의 금붕어가 크게 보인다거나, 물 속에 잠긴 다리가 짧고 굵게 보이게 되는 것과 돋보기를 이용하면 빛이 모이는 현상등등을 찾게 되었습니다.
또한 굴절각이 입사각 보다 작게 굴절하는 경우는 공기에서 물 속으로 들어갈 때와 공기에서 유리로 들어갈 때, 소한 매질(공기)에서 밀한 매질(물)로 입사하면 → 입사각( 〉)굴절각입니다. 반대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게 굴절하는 경우는 물에서 공기 중으로 나아갈 때와 유리에서 공기 중으로 나아갈 때 밀한 매질(공기)에서 소한 매질(공기)로 입사하면 → 입사각(〈 )굴절각입니다.
이 실험은 쉽게 수행하고 보고서도 어렵지 않게 작성할수 있었지만 습득하게된 지식이라던가, 일상생활에서 그냥 지나치던 경험을 과학적인면에서 접근한다던가 적용해 본다던가 하는 그러한것들은 오히려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실험이었습니다.
처음에 실험을 할때 임계각, 전반사에 대해서 이론 체계가 확실히 잡혀있지가 않았습니다. 나름대로 초등학교때부터 배운 반사, 굴절이어서 만만하게 봤습니다. 어렸을때는 전반사와 임계각을 공기중에서 물로 들어가는 빛으로 설명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밀, 소 매질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에 대해서 조사해보니 물 속의 젓가락이 수면에서 꺽인 것처럼 보이거나, 물 속에 있는 물체가 위로 떠 보이거나, 어항 속의 금붕어가 크게 보인다거나, 물 속에 잠긴 다리가 짧고 굵게 보이게 되는 것과 돋보기를 이용하면 빛이 모이는 현상등등을 찾게 되었습니다.
또한 굴절각이 입사각 보다 작게 굴절하는 경우는 공기에서 물 속으로 들어갈 때와 공기에서 유리로 들어갈 때, 소한 매질(공기)에서 밀한 매질(물)로 입사하면 → 입사각( 〉)굴절각입니다. 반대로 굴절각이 입사각보다 크게 굴절하는 경우는 물에서 공기 중으로 나아갈 때와 유리에서 공기 중으로 나아갈 때 밀한 매질(공기)에서 소한 매질(공기)로 입사하면 → 입사각(〈 )굴절각입니다.
이 실험은 쉽게 수행하고 보고서도 어렵지 않게 작성할수 있었지만 습득하게된 지식이라던가, 일상생활에서 그냥 지나치던 경험을 과학적인면에서 접근한다던가 적용해 본다던가 하는 그러한것들은 오히려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실험이었습니다.
추천자료
일반 물리 실험 횡파실험 결과 레포트
[기계 공학 응용 실험] 2. 열전달 실험
[기계 공학 응용 실험] 4. 초음파를 이용한 구조 진단 실험
[물리학 실험] 공명실험
[자료이용, 공공도서관, 과학실험, 통계자료, 인터넷아카이브]자료이용과 공공도서관, 자료이...
[유체역학 기초실험] 벤츄리미터 실험 보고서
[상수도 공학 실험] T-P(Total Phosphorus;총인) 측정 실험
[전기도금 실험] 철-니켈(Fe-Ni) 합금 도금실험
[물리학 실험] 쿨롱의 법칙 실험 : 일정한 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두 도체판 사이에 작용하는 ...
일반 물리 실험 2차원 탄성 충돌 실험 (선운동량 보존) 결과보고서
[유체공학 실험] 삼각 Weir(둑)를 이용하여 유량계수 측정 : 유량을 측정하기 용이한 삼각 We...
[일반물리학 실험] 회전운동과 관성모멘트 :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의 정의를 이해...
[일반물리학 실험] 휘스톤 브릿지 실험 (휘트스톤 브리지 / Wheatstone Bridge)
실험 보고서 - 생쥐해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