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메밀꽃 필 무렵》의 상징론적 해석
1. 서론
2. 본론
(1)달빛과 메밀꽃의 백색 이미지
(2)시간, 공간적 배경의 상징성
(3)나귀의 상징성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달빛과 메밀꽃의 백색 이미지
(2)시간, 공간적 배경의 상징성
(3)나귀의 상징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말\'은 샤먼의 접신을 절대적으로 돕고 있는 성물이자 삶의 동반자이다.
조선달 편을 바라는 보았으나 물론 미안해서가 아니라 달빛에 감동하여서이다. 이지러는 졌으 나 보름을 가제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븟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칠십 리의 밤길. 고 개를 둘이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달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 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 길이 좁은 까닭에 세 사람은 나귀를 타고 외줄로 늘어 섰다. 방울 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평생 잊을 수 없는 하룻밤의 연인 성처녀와의 관계가 있던 아름다운 밤을 회상하는 장면이 있다. 그 날 밤의 분위기와 정경묘사는 샤먼의 환상적 접신 여행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아름다운 달빛과 밤, 산허리, 개울가, 흐드러지게 핀 메밀꽃, 나귀, 허생원이 한데 어우러진 이 광경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는 \'접신의 경지\'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허생원의 부활 지점이라고 볼 수 있는 동이와의 부자관계를 확인하게 되는 대목에서도 \'나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동이 역시 \'말\'을 데리고 떠돌아다니는 장돌뱅이로 생활하고 있는데 이 \'말\'을 부리는 채찍이 바로 허생원과의 동질성을 뜻하는 \'왼손\'에 들려 있기
조선달 편을 바라는 보았으나 물론 미안해서가 아니라 달빛에 감동하여서이다. 이지러는 졌으 나 보름을 가제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븟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칠십 리의 밤길. 고 개를 둘이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달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 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 길이 좁은 까닭에 세 사람은 나귀를 타고 외줄로 늘어 섰다. 방울 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평생 잊을 수 없는 하룻밤의 연인 성처녀와의 관계가 있던 아름다운 밤을 회상하는 장면이 있다. 그 날 밤의 분위기와 정경묘사는 샤먼의 환상적 접신 여행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아름다운 달빛과 밤, 산허리, 개울가, 흐드러지게 핀 메밀꽃, 나귀, 허생원이 한데 어우러진 이 광경은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는 \'접신의 경지\'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허생원의 부활 지점이라고 볼 수 있는 동이와의 부자관계를 확인하게 되는 대목에서도 \'나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동이 역시 \'말\'을 데리고 떠돌아다니는 장돌뱅이로 생활하고 있는데 이 \'말\'을 부리는 채찍이 바로 허생원과의 동질성을 뜻하는 \'왼손\'에 들려 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