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작하면서 - 본 발제의 동기와 목적
Ⅱ. 본론 - 회의의 진행법
1. 개정 로버트 의사규칙에 따른 회의진행법 입문
1) 의사규칙이 필요한 이유
2) Henry Martn Robert(1837-1923)의 의사규칙
3) 사회자와 서기의 역할
4) 일반적인 회의 순서
5) 안건토의
2. 교사회의에 있어서 유의할 점
1) 교사회의의 유의점
2) 교사회의 진행자가 유의해야할 점
Ⅱ. 본론 - 회의의 진행법
1. 개정 로버트 의사규칙에 따른 회의진행법 입문
1) 의사규칙이 필요한 이유
2) Henry Martn Robert(1837-1923)의 의사규칙
3) 사회자와 서기의 역할
4) 일반적인 회의 순서
5) 안건토의
2. 교사회의에 있어서 유의할 점
1) 교사회의의 유의점
2) 교사회의 진행자가 유의해야할 점
본문내용
여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회의모임을 나오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혼돈을 막기 위하여 한 사람을 택하여 회의를 \"사회\"하게 하여, 언제나 주어진 시간에 발언하게하여, 언제나 주어진 시간에 발언하게 하며, 구체적이고 정확한 말로 표현된 제안들에 대하여 토론을 제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제안들은 기록하여 놓아야 하며, 만장일치로 합의하지 않는 이상 투표로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 가운데 사회자가 결정해야 할 사항들은 너무나 많다. 누구에게 언제 발언권을 줄 것인가? 어떻게 회의가 제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게 할 것인가? 만일 토론이 그칠 줄 모르고 무한정 계속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등 기타 많은 문제들이 사회자에게 주어진다. 의사진행 절차란 문명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하여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온 전통과 관습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그 기본적인 내용은 주로 영국 의회에서 수 세기 동안에 걸친 시행착오를 통하여 이루어 놓은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Henry Martn Robert(1837-1923)의 의사규칙
이러한 규칙을 미 육군 공병 준장으로 예편한 Henry Martn Robert(1837-1923)장군이 크게 공헌하였다. 그는 많은 조직체에 활동하면서 회의진행 절차에 관하여 깊이 연구하고 자습하는 가운데, 『로버트의 의사규칙』이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이 입문서는 급격히 회의진행법에 관한 권위있는 법규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모임에서 올바른 회의진행 절차를 이야기할 때, \"로버트의 의사규칙에 의하면…\"이란 말을 흔히 쓰고 있다.
헨리 로버트가 이 입문서를 처음 저술하려고 생각하였을 때, 그는 이를 단지 짧게 그리고 간단하게 만들어서, 모임에 참석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안내서로 손에 들고 다닐 수 있게끔 구상하였다. 그는 책이 다만 50쪽 안팎이 될 줄로 생각하였지만, 초판을 출간하고 보니 176쪽이나 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책이 출판되자 마자 그 책에서 분명하게 해답을 주지 못한 회의진행 규칙에 관한 질문들이 해를 거듭하면서 쇄도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그는 여러 해에 걸쳐, 이 가운데서 가장 흔히 제기된 질문들에 대하여 대답을 주기 위하여 책의 쪽수를 더 늘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따라서 로보트 자신이 그의 책을 여러번 수정하였다. 그리고 그의 간곡한 뜻에 따라, 그가 죽은 후에도 그의 아들, 미망인, 며느리 등이 모두 이 작업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지금은 그의 손자인 헨리 로버트 3세가, 그의 후손들로 이 일을 위임받은 사람들과 함께 이 입문서를 최신판으로 수정하는 작업에 계속 종사하고 있다. 이 입문서는 현재 10판이 출간되어 있는데 이를 곧『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이라고 하며, 보통 \"RONR\"약자로 써서 통용하고 있다. 그리고 회의진행 법규의 입문서는 모두 643쪽으로 되어 있다. 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은 가능한 한, 직면할 수 있는 회의진행법에 관한 모든 질문에 대한 참고서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보통 있는 회의에서 회의를 잘 하기 위하여 여기기에 수록된 모든 법을 일일이 알 필요는 없다 적오도 RONR의 20%의 경우에만 필요할 것이다.『로버트의 의사규칙』은 수백만 번의 회의를 잘 진행하여 왔다. 하지만 그 중심적인 내용이 우리의 교사회의, 중고등부 임원회의, 청년회 회의에 적용된다면 더 많은 것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3) 사회자와 서기의 역할
① 사회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의를 사회할 사람을 선출한다. 이 사회자는 사람들이 규칙을 지키도록 하며, 언제 누구에게 발언권을 줄지를 결정한다.
② 서기
결정된 일(안건)들을 서면으로 남기기 위하여 서기를 선출하며 그 기록된 내용을 보통 회의록/서기록 이라고 부른다.
4) 일반적인 회의 순서
① 개회선언
사회자가 개회를 선언 함으로써 회의는 시작된다. 사회자는 자리에 앉아서 명확한 목소리로, “이제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하고 개회를 선언한다.
#1. 개회선언 없는 장면어수선한 분위기갑자기 누군가가 기도한다고 한다. 사회자 : 자, 이제 기도할까요?
#2. 개회선언 있는 장면모여서 담화를 나누고 있다.사회자: 이제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② 의사일정
일반적인 회의 순서를 따르는 대신에, 어느 모임이든 의사일정을 정할 수가 있다. 의사 일정이란 어떤 특정한 안건을 다룰 순서를 정하여 놓은 것으로서, 때로는 정확한 시간까지 정하기도 한다. 흔히 회장이 의사일정의 초안을 가지고 나오는데, 이 일정대로 회의를 진행하려면, 모임을 시작할
이러한 혼돈을 막기 위하여 한 사람을 택하여 회의를 \"사회\"하게 하여, 언제나 주어진 시간에 발언하게하여, 언제나 주어진 시간에 발언하게 하며, 구체적이고 정확한 말로 표현된 제안들에 대하여 토론을 제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제안들은 기록하여 놓아야 하며, 만장일치로 합의하지 않는 이상 투표로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 가운데 사회자가 결정해야 할 사항들은 너무나 많다. 누구에게 언제 발언권을 줄 것인가? 어떻게 회의가 제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게 할 것인가? 만일 토론이 그칠 줄 모르고 무한정 계속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등 기타 많은 문제들이 사회자에게 주어진다. 의사진행 절차란 문명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하여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온 전통과 관습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그 기본적인 내용은 주로 영국 의회에서 수 세기 동안에 걸친 시행착오를 통하여 이루어 놓은 전통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Henry Martn Robert(1837-1923)의 의사규칙
이러한 규칙을 미 육군 공병 준장으로 예편한 Henry Martn Robert(1837-1923)장군이 크게 공헌하였다. 그는 많은 조직체에 활동하면서 회의진행 절차에 관하여 깊이 연구하고 자습하는 가운데, 『로버트의 의사규칙』이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이 입문서는 급격히 회의진행법에 관한 권위있는 법규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모임에서 올바른 회의진행 절차를 이야기할 때, \"로버트의 의사규칙에 의하면…\"이란 말을 흔히 쓰고 있다.
헨리 로버트가 이 입문서를 처음 저술하려고 생각하였을 때, 그는 이를 단지 짧게 그리고 간단하게 만들어서, 모임에 참석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안내서로 손에 들고 다닐 수 있게끔 구상하였다. 그는 책이 다만 50쪽 안팎이 될 줄로 생각하였지만, 초판을 출간하고 보니 176쪽이나 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책이 출판되자 마자 그 책에서 분명하게 해답을 주지 못한 회의진행 규칙에 관한 질문들이 해를 거듭하면서 쇄도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그는 여러 해에 걸쳐, 이 가운데서 가장 흔히 제기된 질문들에 대하여 대답을 주기 위하여 책의 쪽수를 더 늘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따라서 로보트 자신이 그의 책을 여러번 수정하였다. 그리고 그의 간곡한 뜻에 따라, 그가 죽은 후에도 그의 아들, 미망인, 며느리 등이 모두 이 작업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지금은 그의 손자인 헨리 로버트 3세가, 그의 후손들로 이 일을 위임받은 사람들과 함께 이 입문서를 최신판으로 수정하는 작업에 계속 종사하고 있다. 이 입문서는 현재 10판이 출간되어 있는데 이를 곧『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이라고 하며, 보통 \"RONR\"약자로 써서 통용하고 있다. 그리고 회의진행 법규의 입문서는 모두 643쪽으로 되어 있다. 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은 가능한 한, 직면할 수 있는 회의진행법에 관한 모든 질문에 대한 참고서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보통 있는 회의에서 회의를 잘 하기 위하여 여기기에 수록된 모든 법을 일일이 알 필요는 없다 적오도 RONR의 20%의 경우에만 필요할 것이다.『로버트의 의사규칙』은 수백만 번의 회의를 잘 진행하여 왔다. 하지만 그 중심적인 내용이 우리의 교사회의, 중고등부 임원회의, 청년회 회의에 적용된다면 더 많은 것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3) 사회자와 서기의 역할
① 사회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의를 사회할 사람을 선출한다. 이 사회자는 사람들이 규칙을 지키도록 하며, 언제 누구에게 발언권을 줄지를 결정한다.
② 서기
결정된 일(안건)들을 서면으로 남기기 위하여 서기를 선출하며 그 기록된 내용을 보통 회의록/서기록 이라고 부른다.
4) 일반적인 회의 순서
① 개회선언
사회자가 개회를 선언 함으로써 회의는 시작된다. 사회자는 자리에 앉아서 명확한 목소리로, “이제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하고 개회를 선언한다.
#1. 개회선언 없는 장면어수선한 분위기갑자기 누군가가 기도한다고 한다. 사회자 : 자, 이제 기도할까요?
#2. 개회선언 있는 장면모여서 담화를 나누고 있다.사회자: 이제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② 의사일정
일반적인 회의 순서를 따르는 대신에, 어느 모임이든 의사일정을 정할 수가 있다. 의사 일정이란 어떤 특정한 안건을 다룰 순서를 정하여 놓은 것으로서, 때로는 정확한 시간까지 정하기도 한다. 흔히 회장이 의사일정의 초안을 가지고 나오는데, 이 일정대로 회의를 진행하려면, 모임을 시작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