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술 동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모바일 1
1-1. 모바일 기술 동향 1
1) 모바일 클라우드 기술 동향 1
(1) 개요 1
(2) 모바일 클라우드의 이해 2
(3)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동향 5
(4) 모바일 클라우드 표준화 동향 8
2)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SoD 서비스 기술 동향 11
(1) 개요 11
(2) 주문형 시스템 서비스 기술 12
(3) 이동 단말 가상화 기술 13
(4) I/O 가상화 기술 14
(5) 가상 머신 관리 기술 16
3) 모바일 지능형 검색 기술 동향 16
(1) 개요 16
(2) 모바일 지능형 검색 요소 기술 17
(3) 국내외 기술 동향 21

본문내용

물론 최근 나온 모토롤라의 모토로이, 출시예정인 삼성전자나 LG전자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구글의 검색 엔진이 기본 검색엔진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구글은 휴대폰 제조사들에 자사가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무료로 제공하는 대신 자사의 서비스를 기본으로 탑재하도록 만들어 모바일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안드로이드폰에는 기본적으로 탑재된 구글의 서비스들이 있다. 구글 서치(검색), 구글 크롬(웹 브라우저), G 메일(이메일) 유투브(동영상) 등을 비롯해 위성사진 지도 서비스 구글 어스, 인터넷전화 서비스인 구글 보이스까지, 구글 소프트웨어가 모두 모여 있다. 이 밖에도 구글은 비주얼 검색의 일환으로 구글 고글스(goggles)라는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이미지를 촬영해 즉시 데이터를 찾아볼 수 있는 서비스로, 수십억 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업로드된 사진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준다. 현재는 특정 카테고리의 특정 사물에서만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나) 기타 글로벌 업체 동향
MS는 유선 검색 시장에서도 Bing을 출시함과 동시에 모바일 검색 서비스도 출시를 하며 구글을 따라 잡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시장 장악력과 검색 기술의 격차로 인해서 별 효과를 보지 못했으며 설상가상으로 MS의 최대 장점인 OS 분야에서도 애플의 아이폰 OS,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에 밀려 Windows Mobile OS는 시장 점유율이 한 자리수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일거에 타파하고자 구글처럼 MS 폰을 2010년 4월 중 출시하여 구글이 그랬던 것처럼 MS 검색 엔진을 기본으로 탑재하여 OS 시장 및 검색 엔진 시장의 주도권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야후는 2007년 야후 One Search를 시작으로 발빠르게 모바일 검색 시장에 대처했으나 시장 장악력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그 영향력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유선인터넷 검색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 모바일 검색 시장에서는 72.1%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모바일 검색 엔진으로 선택하여 시장의 주도권을 모바일에서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야후는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LGT, 대만의 타이완 모바일 등 아시아 6개국 이동통신사들과 모바일 검색 서비스 제휴를 맺고 모바일 검색 시장에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최근 추세로는 텍스트 형태의 질의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보다는 구글의 Open API를 사용하여 구글의 결과물을 활용하고 증강 현실과 결합한 이미지 검색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검색 서비스를 하는 Layar, Acrossair 제품들이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여기까지 해외의 검색 시장을 살펴봤다. 모바일OS와 함께 ‘전쟁’이라고 표현해도 될 이러한 시장 주도권 싸움은 모바일 검색 시장 자체를 위한 것이라기보다 새로이 열릴 모바일 광고 시장 확보를 위한 사전 포석의 성격이 강하며, 유선 인터넷 시장과 마찬가지로 검색 시장을 장악하는 업체가 모바일 광고 시장도 장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국내 기술 동향
네이버, 다음 등 국내 포털들도 애플의 아이폰 출시 이후,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급변하는 모바일 인터넷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현재 모바일 검색 이용률은 유선과 마찬가지로 77.4%의 검색 이용률을 보인 네이버가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고 있고, 다음(25.4%)과 네이트(21.5%)는 20%대에 머물렀으며, 구글은 15.6%로 그 뒤를 이었다.
유선 웹 검색 이용률 94.1%인 네이버가 다음(64.8%)과 네이트(51.9%)를 압도적으로 앞서는 양상이 그대로 유지된 것을 알 수 있으나 유선 웹 검색 서비스 이용률이 미미한 구글이 모바일 검색 이용률에서는 15.6%로 강세를 보인 것은 한국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던 구글이 모바일 시장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네이버는 스마트폰 시장 확산에 맞추어 지도와 오픈캐스트, 웹툰, 실시간 검색어, 미투데이 등을 포함한 총 10종류의 스마트폰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PC와는 다른 모바일 단말 환경에 맞춰 검색과 지식iN, 블로그, 카페, 뉴스, 메일 등 이용가치가 높은 서비스들을 전면에 배치시킨 ‘모바일 웹’도 운영중이다.
모바일 검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연동 개인화 웹 서비스, 미투데이와 같은 SNS 서비스 등을 검색으로 수렴하는 전략을 펴고 있으며 구글이 도입하고 있는 실시간 검색도 모바일 검색에 반영할 계획이며 궁극적으로는 모바일 개인화 검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도 검색시장에 대한 뒤늦은 대처로 포털업계의 주도권을 네이버에 내준 실수를 다시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검색 성능 향상에 모든 역량을 투입하는 한편 모바일 인터넷 분야에서도 네이버보다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직 모바일 인터넷이 관심을 끌기 이전인 2008년 4월, 아이팟 터치에 최적화된 한메일 서비스를 선보인 데 이어, 모바일 웹사이트도 먼저 구축했다. 2009년 2월부터는 자사의 지도 서비스를 애플 앱스토어에 무료로 공개했다.
2010년 3월에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정답에 가까운 검색 결과를 제시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며 모바일 입력을 고려한 초성 검색, 지역 정보와 연동되는 지도 검색, QA와 비슷하게 불필요한 내용은 배제하고 정답만을 제시해주는 스마트 앤서의 모바일 확대 적용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현재 네이버나 다음은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아직까지 모바일 전용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을 빼고는 구글과 같은 해외업체에서 서비스하는 전체 모바일 웹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검색이나 모바일 광고에 대해선 아직 뚜렷하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다. 검색이 포함된 네이버나 다음의 모바일 전용 웹 페이지의 트래픽 수치도 아직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보니 네이버나 다음은 모바일 검색 및 모바일 광고와 관련해서는 현재 초기 시장을 지켜보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9.2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