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혁명ddd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녹색혁명dd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녹색혁명 1
1-1. 동향분석 및 추진방향 1
1) 해외동향 1
2) 국내동향 1
1-2. 추진계획 2
1) 녹색성장 교육 및 녹색시민 양성 기반 구축 2
2) 녹색생활의 실천 확산 6
3) 녹색소비 활성화 9

본문내용

목차
1. 녹색혁명1
1-1. 동향분석 및 추진방향1
1) 해외동향1
2) 국내동향1
1-2. 추진계획2
1) 녹색성장 교육 및 녹색시민 양성 기반 구축2
2) 녹색생활의 실천 확산6
3) 녹색소비 활성화9
1. 녹색혁명
1-1. 동향분석 및 추진방향
1) 해외동향
▶ 석유 에너지 고갈 이후 예상되는 막대한 비용과 피해 경고
- 사회적 영향력을 갖는 정계ㆍ재계ㆍ문화계 인사들의 전방위적인 미래 삶의 여건 개선을 위한 문제제기 및 실천 확산
※ 2005년 미국 정부 후원으로 작성된 허쉬 보고서는 이미 피크 오일이 왔다고 경고하며, 사회적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소한 2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
▶ 주요 선진국들은 녹색소비 확산 등 생활에서의 녹색운동과 녹색생활을 실천하는 친환경 생태문화가 보편화되고 있음
- 환경규제 강화와 인식변화에 따라 지속가능한 소비ㆍ생산 확산 추세
※ 영국 테스코社, ’08년부터 20여개 자체 브랜드제품에‘탄소발자국’표시
- 친환경 생태문화 확산 및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전략적 접근 시도
※ 미국‘에코맘’, 영국‘에코드라이빙’등 녹색생활 실천 운동
▶ 자발적인 도시 혁신 운동의 후방지원 및 유도
- 아일랜드 트랜지션 타운 운동을 통해 전세계 30여개 도시가 참여하는 등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운동 확산
- 도시의 녹색 친화적 변화를 국민인식 전환을 위한 이슈화와 연계한 홍보 활동 전개
※ 미 산타바바라시 전기버스, 뉴욕의 그린 캡(하이브리드 택시), 독일 Vauban 지구 자동차 없는 마을 등
▶ 국제생태관광의 지속적 성장과 선진국의 국가차원의 전략적 접근
- 선진국에서는 ’90년대부터 국민의 새로운 관광수요에 맞춰 생태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
- ’04년 기준 세계관광시장의 7% 차지, 생태관광 포함 지속가능한 관광은 ’12년까지 25% 점유예상(Travel Weekly, 2004)
※ 일본은 ’08년 에코투어리즘 추진법 제정
※ 호주는 ’94년에 생태관광 국가전략 수립, 생태관광업체 5천여개
2) 국내동향
▶ 친환경실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녹색생활 실천전략의 부재
- 국민들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한 사실 인지 수준은 높은 편이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과의 연계는 미흡
※ 환경부 설문조사(’07) :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 중 대다수(92%) 인식
※ 대한상의 기후변화지수(’08) : 인식지수(53.13), 행동지수(30.85)
▶ 녹색생활 실천의 자발적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인프라 미비
- 녹색생활 실천 캠페인은 부처별로 시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생활 속 실천 과제 및 실천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
- 녹색생활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 인센티브 방안 및 실천에 따른 환경적ㆍ경제적 혜택 불분명
- 녹색생활을 일상생활과 구분하여 특별한 것으로 인식하는 국민 인식 상존
※ 녹색생활은 전체 환경을 배려하고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 자기 개혁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의식 제고 필요
▶ 여가문화를 녹색생활 실천 및 녹색경제 활성화와 연계할 수 있는 국내 생태관광 수요창출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 시급
※ ’06년 기준 국민의 생태관광인지도 약 67%, 생태관광 참여의도 51.2%이나 경험율은 9.1%에 그침(그린리서치, 2006)
※ 순천만 : 2002년 10만명 ⇒ 2008년 260만명 탐방(260배 증가 /1,000억원의경제효과 유발)
<표> 녹색생활 실천 및 인식제고 기반 활동 비교
구분
해외
국내
이슈 유도
ㆍ동기 유발을 위한 제3의 공신력 있는 주체에 의한 구체적인 문제제기
ㆍ이슈와 문제제기 이전에 실천 과제 제시
녹색캠페인
(인식 유도)
ㆍ20~30년 이상 지속적이고 일관된 캠페인 전개 및 통합된 홍보활동 연계
ㆍ공동의 목적을 갖는 다수의 개별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9.26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