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자의료기기산업 개요 및 동향 1
1-1. 전자의료기기산업 1
1) 개요 1
(1) 현황 1
(2) 2010 비전 1
(3) 발전전략 1
(4) 전망 1
2) 정의와 특성 2
(1) 전자의료기기 산업의 정의 2
(2) 전자의료기산업의 특성 2
(3) 육성의 필요성 3
3) 세계시장 규모 및 동향 4
(1) 개요 4
(2) 지역별 시장현황 5
4) 품목별 시장동향 6
(1) 영상진단기분야 6
(2) 생체신호계측기 10
(3) 의료용분석기 12
(4) 의료용치료기 17
(5) 재활기기 18
(6) 인공장기 18
(7) 의료정보시스템 21
(8) 생기능의학 23
(9) 바이오센서 25
1-1. 전자의료기기산업 1
1) 개요 1
(1) 현황 1
(2) 2010 비전 1
(3) 발전전략 1
(4) 전망 1
2) 정의와 특성 2
(1) 전자의료기기 산업의 정의 2
(2) 전자의료기산업의 특성 2
(3) 육성의 필요성 3
3) 세계시장 규모 및 동향 4
(1) 개요 4
(2) 지역별 시장현황 5
4) 품목별 시장동향 6
(1) 영상진단기분야 6
(2) 생체신호계측기 10
(3) 의료용분석기 12
(4) 의료용치료기 17
(5) 재활기기 18
(6) 인공장기 18
(7) 의료정보시스템 21
(8) 생기능의학 23
(9) 바이오센서 25
본문내용
on Retrieval, Decision Support System, Telematics In Health Care, Robotics & Virtual Imaging System, Bioinformatics, Education & Training System, Evalution System 등 소프트한 분야에서 향후 지속적 매출 및 수익증대 예상.
일본의 경우 1998년 분석결과 Film 소모량이 전체적으로 10% 감소하여 그 예산을 병원 Networking 지원금으로 사용된 실례가 있으며 2010경에는 전체 병원의 85%가 Filmless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 PACS
동작원리는 대용량 의료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관리하는 것으로 주로 Film을 대체함으로써 병원 영상처리업무의 효율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보험수가책정으로 시장확대가 기대되며 해외에서는 북미의 경우 이미 성장기에 들어갔으며, 남미, 일본 등은 아직은 도입기이므로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 주요업체로는 국내(Mediface, 삼성 SDS, 마로테크), 해외(GE, Siemens, Philips, Kodak, Agfa, Applicare) 등이 있다.
라. Teleradiology
동작원리는 의료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원격지와 교환하고 전산망을 통해 판독 정보를 교환하는데 있다. 주용도는 의료시설과 의료진이 미비한 지역에 고품질 의료 서비스 제공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판독으로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데 있다. 핵심기술로는 Remote Networking (High-Speed, Stable, High-Quality), Image Processing, Image Compression, DICOM, Report Management 등이다. 국내에서는 실험적으로 몇 군데 설치한 적은 있으나 거의 실용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미국의 경우 이미 일반화되었으나 기타 국가의 경우 아직 시도하는 단계이다.
(8) 생기능의학
가. 생기능의학(BFM)의 개념 및 분야
동서의료기로 불리던 분야로 기능에 맞추어 용어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동서의료기기로 불리는 분야를 통칭해서 생기능의학(Biological- Functional Medicine)으로 통일하고자 한다. 생기능의학에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가) 전침(EAP=EDS) 및 약제검사(MT) 분야
2차 대전후에 여러 의학자들에 의해서 경혈(침점)의 전기생리적 특성들이 연구되던 중 독일의 의학자인 Dr. Reinhold Voll에 의해서 손발의 경혈로부터 인체 각 장기의 기능 변화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각 경혈이 인체의 각종 장기와 갖는 연관성이 체계화되었다. 이 측정법으로 유럽에서 200년전부터 발전한 동종요법 약제를 인체내에 투여하기 이전에 인체에 접촉하는 정도만으로도 측정치가 변화하므로 그 약리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약제검사법)는 것이 발견되면서 독일을 중심으로 30년에 걸쳐서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동종요법을 사용하는 유럽의 자연치료의사(ND)들에게 받아들여져 기능성 질환을 치료할 적절한 동종요법 약제를 선택하는데 사용되었다.
한편 MD들은 동종요법의 일종인 Nosode를 사용하여 인체의 병소-독소를 발견하고 해독하는 치료법으로 이를 받아들였다. 최근에는 동종요법을 받아들인 중남미에도 사용자가 확대되고 있다. 경쟁업체는 거의가 독일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미국은 중간에 혁신적인 기술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종요법 임상가의 낙후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뒤처지게 되었다. 현재 전침 기계는 FDA를 통과했으나, 이를 이용한 임상적 진단이나 약제검사는 통과를 기다리고 잇다. 침구학에 조예가 있다는 중국과 일본은 오히려 전침기계의 개발이나 응용이 낙후되어 있다.
현재 한국산 전침기 MERIDIAN은 측정과 소프트웨서 분야에서 세계 정상수준이나, 동종요법 약제의 검사부분이 미완인 상태이다. 동종요법이 전혀 발전하지 못한 국내에서는 이 진단기가 주로 한의사들에 의해서 경락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고, 이 목적으로 한방 의료보험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메리디안에서 한방약제의 효능을 검사할 수 있는 한약제용 <전자 전달기(Transferer)>기술이 개발되어 상품화를 바라보고 있는데, 이 검사용 Module 이 가세하게 되면 한의사들이 매일 처방하는 한약제를 사전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사상의학 처방을 주로 하는 한의사들을 중심으로 또 한번의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중국의 중의사들도 한국과 유사한 응용법이 확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라의 침구사들에 대해서는 현재 기술을 축약한 저가형의 소형제품(M-Port)을 판매할 수 있다. 현재 MERIDIAN은 동종요법 약제를 자유롭게 처방하는 유럽과 중남미의 라틴 문화권 나라들에 주로 수출하고 있다. 향후 이들 나라에 대해서는 응용분야별로 약제를 Box에 넣어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적용 약제를 선택해주는 전자식 Selecter 와 관련 소프트웨어의 제공으로 경쟁력을 향상하면 유럽과 중남미의 시장을 주도할 수 있게 된다. 양방에서는 기능성 질환의 검사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검사후에 마땅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도입이 늦어지고 있었으나, 유럽에서 사용하는 동종요법제의 전자적 등가물인 <전자약제(ELH)>의 개발이 완료되면, 유럽에서와 같이 기능성질환 및 병소-독소의 해독 치료를 중심으로 획기적인 보급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는 북미와 아시아 전역의 의사(MD)들에 공통된 사항으로 이들 시장에의 보급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침의 반수가 치과의사들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으 저가의 소형 검사기와 제한된 종류의 동종요법 약제를 통해서 치아와 치주에 숨은 병소를 밝혀 내고 치과용제의 생체적합성을 사전에 검사하는데 사용하고 잇다. 따라서 소형장비(M-Port)의 개발로 유럽과 남미의 치과시장에 판매를 하는 한편, 약식 전자약제와 결합하여 국내를 포함한 기타 아시아, 북미의 치과의(DD)들에
일본의 경우 1998년 분석결과 Film 소모량이 전체적으로 10% 감소하여 그 예산을 병원 Networking 지원금으로 사용된 실례가 있으며 2010경에는 전체 병원의 85%가 Filmless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 PACS
동작원리는 대용량 의료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관리하는 것으로 주로 Film을 대체함으로써 병원 영상처리업무의 효율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보험수가책정으로 시장확대가 기대되며 해외에서는 북미의 경우 이미 성장기에 들어갔으며, 남미, 일본 등은 아직은 도입기이므로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 주요업체로는 국내(Mediface, 삼성 SDS, 마로테크), 해외(GE, Siemens, Philips, Kodak, Agfa, Applicare) 등이 있다.
라. Teleradiology
동작원리는 의료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원격지와 교환하고 전산망을 통해 판독 정보를 교환하는데 있다. 주용도는 의료시설과 의료진이 미비한 지역에 고품질 의료 서비스 제공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판독으로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데 있다. 핵심기술로는 Remote Networking (High-Speed, Stable, High-Quality), Image Processing, Image Compression, DICOM, Report Management 등이다. 국내에서는 실험적으로 몇 군데 설치한 적은 있으나 거의 실용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미국의 경우 이미 일반화되었으나 기타 국가의 경우 아직 시도하는 단계이다.
(8) 생기능의학
가. 생기능의학(BFM)의 개념 및 분야
동서의료기로 불리던 분야로 기능에 맞추어 용어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동서의료기기로 불리는 분야를 통칭해서 생기능의학(Biological- Functional Medicine)으로 통일하고자 한다. 생기능의학에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가) 전침(EAP=EDS) 및 약제검사(MT) 분야
2차 대전후에 여러 의학자들에 의해서 경혈(침점)의 전기생리적 특성들이 연구되던 중 독일의 의학자인 Dr. Reinhold Voll에 의해서 손발의 경혈로부터 인체 각 장기의 기능 변화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각 경혈이 인체의 각종 장기와 갖는 연관성이 체계화되었다. 이 측정법으로 유럽에서 200년전부터 발전한 동종요법 약제를 인체내에 투여하기 이전에 인체에 접촉하는 정도만으로도 측정치가 변화하므로 그 약리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약제검사법)는 것이 발견되면서 독일을 중심으로 30년에 걸쳐서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동종요법을 사용하는 유럽의 자연치료의사(ND)들에게 받아들여져 기능성 질환을 치료할 적절한 동종요법 약제를 선택하는데 사용되었다.
한편 MD들은 동종요법의 일종인 Nosode를 사용하여 인체의 병소-독소를 발견하고 해독하는 치료법으로 이를 받아들였다. 최근에는 동종요법을 받아들인 중남미에도 사용자가 확대되고 있다. 경쟁업체는 거의가 독일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미국은 중간에 혁신적인 기술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종요법 임상가의 낙후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뒤처지게 되었다. 현재 전침 기계는 FDA를 통과했으나, 이를 이용한 임상적 진단이나 약제검사는 통과를 기다리고 잇다. 침구학에 조예가 있다는 중국과 일본은 오히려 전침기계의 개발이나 응용이 낙후되어 있다.
현재 한국산 전침기 MERIDIAN은 측정과 소프트웨서 분야에서 세계 정상수준이나, 동종요법 약제의 검사부분이 미완인 상태이다. 동종요법이 전혀 발전하지 못한 국내에서는 이 진단기가 주로 한의사들에 의해서 경락의 기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고, 이 목적으로 한방 의료보험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메리디안에서 한방약제의 효능을 검사할 수 있는 한약제용 <전자 전달기(Transferer)>기술이 개발되어 상품화를 바라보고 있는데, 이 검사용 Module 이 가세하게 되면 한의사들이 매일 처방하는 한약제를 사전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사상의학 처방을 주로 하는 한의사들을 중심으로 또 한번의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중국의 중의사들도 한국과 유사한 응용법이 확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라의 침구사들에 대해서는 현재 기술을 축약한 저가형의 소형제품(M-Port)을 판매할 수 있다. 현재 MERIDIAN은 동종요법 약제를 자유롭게 처방하는 유럽과 중남미의 라틴 문화권 나라들에 주로 수출하고 있다. 향후 이들 나라에 대해서는 응용분야별로 약제를 Box에 넣어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적용 약제를 선택해주는 전자식 Selecter 와 관련 소프트웨어의 제공으로 경쟁력을 향상하면 유럽과 중남미의 시장을 주도할 수 있게 된다. 양방에서는 기능성 질환의 검사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검사후에 마땅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도입이 늦어지고 있었으나, 유럽에서 사용하는 동종요법제의 전자적 등가물인 <전자약제(ELH)>의 개발이 완료되면, 유럽에서와 같이 기능성질환 및 병소-독소의 해독 치료를 중심으로 획기적인 보급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는 북미와 아시아 전역의 의사(MD)들에 공통된 사항으로 이들 시장에의 보급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침의 반수가 치과의사들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으 저가의 소형 검사기와 제한된 종류의 동종요법 약제를 통해서 치아와 치주에 숨은 병소를 밝혀 내고 치과용제의 생체적합성을 사전에 검사하는데 사용하고 잇다. 따라서 소형장비(M-Port)의 개발로 유럽과 남미의 치과시장에 판매를 하는 한편, 약식 전자약제와 결합하여 국내를 포함한 기타 아시아, 북미의 치과의(DD)들에
추천자료
전자산업의 해외마케팅 사례 삼성전자 가전제품
중소기업의 마케팅 전략 (사례:JV MEDI 의료 기기 회사)
화학전자재료산업의 환경규제 및 대처방안
[선진국]선진국의 고용지원서비스, 선진국의 노인복지, 선진국의 민주시민교육, 선진국의 보...
한국의 전자산업
LG Electronics (LG전자 기업정보, 주요연혁, 사업 분야, 영업실적, 사업운영 조직도, SWOT ...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를 위한 외교 전략,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
[중소기업]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업의 IT화(기술정보화), 중소기업의 구조고도화, 중소기업...
외식산업과 IT기술-IT 활용 사례,소셜네트워크 (SNS),소셜커머스,앱,블로그,GPS,전자메뉴판,...
실험5 DC to DC converter Full bridge, push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하고(전력전자-산...
실험5 DC to DC converter Flyback, Forward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하고(전력전자-산업...
실험5 Phase shift 방식 Full bridge converter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하고(전력전자-...
실험5 다이오드 정류기(삼상) 삼상 반파 회로, 삼상 전파 회로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
실험5 다이오드 정류기(단상) 단상 반파 회로, 단상 전파 회로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