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서술 하였으며, 영화『인생』은 특별한 화자 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푸꾸이 가족의 인생 역정을 자막을 통해 40년대 50년대 60년대를 표시하며 시간의 흐름 역사적 중요 사건에 맞추어 서술하고 있다. 사회적 환경은 중국의 중심 사건을 토대로 이야기가 진행되어 나가고 있지만 소설은 대약진 운동에 있어 많은 부분을 서술하고 있고 영화는 문화혁명에 조금 더 많은 이야기들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중국사회에 있어서 40년대의 일제에 대한 해방과 국공내전시기, 50년대의 토지개혁과 대약진 운동, 60년대의 자연재해와 문화혁명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서술한 영화『인생』은 각 시대마다 특징을 강조하며 50년대의 대약진 운동에 따른 요우칭의 죽음, 60년대의 문화혁명에 의한 펑샤의 죽을 중심으로 묘사되고 있고, 소설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기의 구분과 그 시기에 영향을 받은 개개인의 아픔보다는 요우칭과 펑샤의 죽음이라는 개인의 특수한 사건을 중심으로 대약직과 문화혁명이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한 개개인의 아픔이 아니라 역사적 시간과 관계없이 개인에게 닥친 예기치 못한 아픔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영화『인생』은 50년대 대약진 운동에 따른 상황을 보여 주기 위해 소설에 없는 부분을 삽입 시켰다. 강철생산을 위해 집집마다 철로 된 제품을 걷는 장면, 대중식당을 만들어 지역 사람들 모두가 대중식당에서 다같이 밥을 먹는 장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연일 철을 녹이는데 동원되어 밤낮으로 일하는 장면, 그리고 잠이 부족하여 길거리 아무 곳에서나 잠을 자는 모습 등은 영화에서는 나오지만 소설에서는 나오지 않는 부분이다. 그림자극과 사람의 손에 의해 조종되듯이 대약진 또한 중소 이대올로기 대립에 의한 중국 정부의 소수에 의해 실행 된 것이고, 영화는 소설에 없는 이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그들이 갈망했던 대약진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그에 따라 남은 것은 요우칭의 죽음으로 표현 되고 있는 인민의 희생임을 말하고 있다. 영화의 60년대 문화대혁명 중심의 사건 전개 또한 소설 보다 농후한 정치적 색깔이 나타난다. 소설에서는 츈셩이 두 번 푸꾸이를 찾아온다. 처음은 지아쩐과 요우칭이 죽고 난후 그 다음은 문화혁명으로 그의 생명이 위협받을 때 이다. 소설에서 문화대혁명의 정치적 배경을 설명한 것은 이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이와 다른 부분이 많이 나타난다. 처음으로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쩐장이 푸꾸이를 찾아와서 지금은 낡은 것일수록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그림자극의 도구를 불살라 없애버리라고 권하고, 푸꾸이는 극단을 조직하여 마오주석의 사상을 선전하는 그림자극을 만드는 것이 어떠냐고 쩐장에게 묻는 장면, 둘째로 푸꾸이와 지아쩐이 펑샹의 출산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중매를 한 쩐장 집에 감사의 표시로 붉은 계란을 가지고 갔을 때, 쩐장 부인이 우는 장면을 목격한 푸꾸이와 지아쩐에게 쩐장이 자신이 주자파로 몰려 학습반에 교육을 들어가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장면, 셋째, 문화대혁명 당시 출산을 하기 위해 의사들이 다 내
추천자료
리플리(원작과 영화 비교분석)
`패왕별희`와 `인생` 영화감상문
비천무 만화와 영화 비교분석
'타짜' 영화평론
마이너리티리포트 영화 감상문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
[고전소설][고대소설][영화화][게임화][시트콤화][동화화]고전소설(고대소설)의 영화화와 고...
영화 '인생' 을 통해 본 중국 현대사 논의(중어중문학과 중국현대사)
영화 프라하의 봄에 관한 발표(참을수없는존재의가벼움
영화로 보는 인생 1~14주차 타이핑입니다.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전략적 간호관리]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 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
영화 『인생 (活着 / Lifetimes) 1994』을 통해 바라본 중국의 근현대사
//부모교육2017//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아동, 부모, 교사, 사회적 측면에서 논하시고, 부모교...
조직을 보는 Bolman & Deal의 네 가지 경영패러다임을 활용한 영화사례 분석 <죽은 시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