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글로벌경영,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글로벌경영,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해외직접투자 개괄 설명과 기업선정 동기

1. 해외직접투자(FDI)와 프랜차이징

2. 기업선정 동기(산업분석)

본론
Ⅰ.국내에서의 미샤

1. 기업이념 및 소개

2. 국내시장 현황(화장품 시장 분석)

Ⅱ.미샤의 몽골진출

1. 몽골진출동기

2. 몽골시장분석(경쟁자, 환경분석)

3. 마케팅 전략

Ⅲ.미샤 해외 진출의 이론적 분석

1. 시장세분화

2. 과점적 대응이론

Ⅳ. 미샤와의 인터뷰

1. 질의서 Q&A

결론 - 미샤에 대한 평가 및 앞으로의 방향
1. 몽골시장에서의 미샤의 SWOT 분석
2. 우리가 내려본 미샤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점계약 체결
3. 국내시장 여건 금융감독원 2006 미샤 사업계획서
국내 화장품 산업은 2003년부터 2년간 경기 위축의 장기화에 따라 소비심리가 위축됨으로써 부진을 면치 못하였다. 그러나 지난 2005년에 침체 되었던 경기가 살아나면서 소득 증가와 민간소비력의 회복에 따라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5년 이후 화장품 산업의 가장 큰 특징은 소득 수준의 양극화 현상과 맞물려 고급 화장품 시장과 저가 시장의 양대 구도로 나타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이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경쟁 국면에 치닫게 되었다.
소득 수준의 양극화는 유통 채널별 이원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실속 구매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은 당사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한 중ㆍ저가브랜드시장으로 집중되고, 프리미엄 화장품을 선호하는 고소득층의 소비자들은 백화점과 방판 방문판매. 사원을 불러서 거래하는 것.
채널로 집중되어 양분된 소비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저가 브랜드샵인 미샤와 더페이스샵의 경쟁 속에서 기존 중, 대형 화장품 업체도 브랜드샵 시장에 본격 진출, 새로운 형태의 브랜드샵 들이 앞 다투어 출시되어 시장의 경쟁이 과열되면서 전략적이고 뚜렷한 포지셔닝 소비자의 마음 속에 자사제품이나 기업을 표적시장·경쟁기업 능력과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도록 노력하는 과정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각각의 전략에 맞는 제품의 차별화, 브랜드 관리, 신제품 개발력,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마케팅 전략 등 차별화된 기업경영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현재 국내 화장품 업계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고가 브랜드를 갖춘 태평양과 LG생활건강의 주도하에 300여개의 국내업체와 수입 개방에 따른 로레알, 에스띠로더등 브랜드 가치가 높은 다국적 기업이 혼재된 가운데 치열한 경쟁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화장품시장의 포화로 인해 국내 업체들의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과 한류열풍에 힘입은 국산 화장품 수출의 급증으로 화장품 산업의 무역수지 적자의 폭이 좁혀지고 있다.
2005년 미샤의 국내 매출은 1211억원으로 전년 대비 8.7% 성장하였으나 영업이익은 62억원으로 전년대비 68.7%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는 과도한 경쟁으로부터 비롯된 마케팅 비용 등 판관비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의 약자.
지출의 과다,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따른 초기투자비용의 증가 등에 기인하며 향후 이에 대한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매장 수에 있어서는 총324개로 전년대비 24.1% 증가하였으며 할인점, 백화점, 면세점 등 유통경로를 다각화시켜 더 다양한 고객층과 만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유통경로 다각화 전략은 2006년도에도 지속될 것으로 더욱 더 새로운 유통경로들을 발굴하여 다가올 미래의 유통 혁신에 대비, 유통이 강한 회사의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 경쟁사 분석 (The Face Shop) http://www.thefaceshop.com
The Face Shop은 고객들이 자연으로부터 받은 순수함을 바탕으로 천연성분과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통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이회사의 경영철학은 친환경 기업, 고객 제일주의, 글로벌 마케팅, 사회로의 환원 이라는 4가지 큰 이념이 있습니다. 2004년 해외시장 개척의 해, 2005 해외시장 확장의 해 라는 목적으로 현재 세계적으로 500여개 직영 및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Ⅱ. 미샤의 몽골진출
1. 미샤의 몽골진출동기
미샤는 “해외 모든 고객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에 최고의 화장품 제공“이라는 목표아래 해외사업분야 확장에 관심을 보이던 중 2004.9월 호주 시드니에 첫 매장을 열게 되었다. 미샤의 시드니 매장은 오픈 한 달 만에 1일 평균 200만 원 이상의 높은 매출을 올리면서 현지인들로부터 기대 이상의 매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미샤의 첫 해외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이후 USA (New York), Australia, Singapore, Japan, Hong Kong, Thailand, Vietnam, China, Taiwan, Malaysia, Mexico 등 여러 국가에 진출계획 및 진출을 하게 됐다. 그러던 중 중화권 국가인 Mongolia 에도 역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http://www.able-cnc.com/eng/
화장품은 필수품이면서 동시에 고가품이라는 공통된 인식이 지배하는 시장 상황에서, 미샤는 유통혁신으로 인한 초저가 전략으로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런 성공에 힘입어 몽골에도 투자계획을 수립하게 됐고, 시장을 조사해본 결과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은 몽골에서 ‘솔롱고스(Solongos)’라고 하여 ‘무지개의 나라’라는 좋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97년 이후 수출의 급증으로 한국산 자동차는 70%에 육박하고 있음.
- 최근 한류열풍은 몽골 내 문화, 경제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 이에 따라 젊은 계층에서 한국의 연예인과 한국의 맥주 등 한국 제품에 대한 동경은 한국드림으로 이어져 많은 몽골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고 있음.
-미샤 화장품의 주요 목표연령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가격과 미용에 민감한 연령층을 겨냥한 것. 그런데 몽골은, 인구의 68%가 30세 미만의 젊은계층, 1990년대 후반 이후로 아파트의 거주인구는 계속해서 절반이상의 비율을 자치하고 있으며, 젊은층 인구의 도시집중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문화, 경제적인 측면이 더욱 발전 (주)에이블 씨엔씨 해외사업 본부 협조 자료.
또한 몽골과 한국의 문화, 경제 및 산업 등 다방면에서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한국과 한국제품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있다. 최근 TV드라마, 음악 등 연예부분의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젊은 계층의 경우 유명 연예인의 스타일에 대한 모방욕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한국화장품의 선호도는 더욱 증가할 것 이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었고 미샤의 브랜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