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국어지식 영역의 학년별 내용은 지식의 난이도와 순차성, 언어 구조의 복잡성, 동일 학년에서 다른 영역의 교육 내용과의 관련성을 중시하여 배열하였다. 특히 ‘국어이해와 탐구’범주의 교육내용은 언어의 본질적 속성→언어와 주변 세계와의 관계 순으로, ‘국어에 대한 태도’범주의 교육내용은 우리말의 중요성 인식→규범에 맞는 국어사용의 태도형성→우리말을 가꾸고 발전시키려는 태도의 형성 순으로 배열하였다.
Ⅱ. 국어지식의 내용체계
국어
지식
● 국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국어의 특질
- 국어의 변천
● 국어의 이해와 탐구
- 음운 - 낱말
- 어휘 - 문장
- 의미 - 담화
●국어에 대한 태도
- 동기 - 흥미
- 습관 - 가치
● 국어의 규범과 적용
- 표준어와 표준발음 - 맞춤범 - 문법
1. 국어의 본질
- ‘국어의 이해와 탐구’ 범주의 교육내용과 더불어 교육내용이 국어에 대한 지식이고, 이의 일차적인 교육목적이 지식의 이해와 지식의 활용에 있다.
가. 언어의 특성
- 초등학교 언어 본질과 관련된 지도내용 범주는 다음과 같다.
1) 언어의 규칙성
- 언어는 규칙적으로 사용되어야 제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어순이 ‘피수식어+수식어’,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서로 사용되어야 하며, 시제 표현, 높임법 표현 등의 문법 표현도 문법적 규칙에 따라 사용되어야 제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그래서 무질서한 어순과 잘못된 문법 규칙에 따라 사용될 때와 규칙에 맞게 사용될 때를 비교하여 언어에는 규칙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규칙에 따라 언어를 사용하게 지도해야 한다.
2) 언어의 기호성
- 언어는 지시 대상과 절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의적인 관계에 있는 기호라는 것을 알고, 언어 본질을 이해하게 해야 한다. 기호의 개념을 알고, 종류와 특징을 알며, 다른 기호와 비교하여 언어 기호의 장단점을 알게 하여 기호 사용을 효과적으로 하게 해야 한다.
3) 언어의 창조성
- 언어가 창조적으로 쓰임을 알고, 이 창조성을 극대화 하여 국어 사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같은 내용을 상황과 화자에 따라 달리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하여 창조적으로 국어를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4)언어의 기능성 정정덕(1996:37-41)에 의한 G.Leech 의 언어의 다섯가지 기능
가) 정보제공의 기능
- 인간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 창출하게 한다.
나) 정서표현의 기능
- 슬픔이나 괴로움, 즐거움과 기쁨을 나타낸다.
다) 명령적 기능
- 화자나 필자가 청자나 독자에게 대답을 요구하거나 행동이나 태도를 보여 줄 것을 요청하거나 부탁하거나 강요하거나, 행동을 같이 할 것을 제안하거나 명령하는 표현
라) 심미적 기능
- 언어의 리듬성, 예술성, 심미성 등에 의해 인간에게 미적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점
마) 친교적 기능
- 인간사회의 삶에 유대관계를 갖게 해 주는 기능
나. 국어의 특질
1)음운적 특질
① 국어에 상관을 이루는 자음이 많이 존재한다.
예) /ㄱ/과 /ㄲ/, /ㄱ/과/ㅋ/등
② 문장 끝에 놓이는 억양에 따라 문장의 종류가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③ 국어의 음운은 비교적 제약이 많다.
예) 어두의 음운제약 - ‘녀자→여자’, 어말의 음운 제약 - ‘낫[낟]’
2)문법적 특질
① 국어의 낱말은 교차적인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향이 많다. 즉 어근에 접사나 어미가 결합하여 새로운 낱말을 형성 한다.
예) 맏며느리- 어근 ‘며느리’앞에 접두사 ‘맏-’이 결합
② 국어의 문장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문장 성분들이 배열되는 것이 기본적이다. 하지만 담화에서 위와 같은 어순의 배열순서가 서로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문장은 그 성분들이 기본적인 어순에서 자리가 이동하여 변형된 문장이라 할 수 있다.
③ 국어는 의미의 중심이 뒤쪽에 놓이므로 후핵 언어라 할 수 있다.
④ 국어는 두 개 이상의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이 잇달아 나타나는 문장이 많다.
예) 자동차가 매우 빨리 달란다.
⑤국어는 상황 의존적 언어이다.
예) ‘이것이 너의 연필이 아니냐?’ 와 같은 상대방의 부정 의문문에 대해 만약 화자가 ‘예’라고 대답하면 ‘이것은 나의 연필이 아니다’는 뜻이고, ‘아니오’ 라고 대답하면 ‘이것은 나의 연필이다’는 뜻이다.
3)어휘적 특질
① 국어의 어휘는 조어 과정에서 배의성 낱말의 조어 과정에서 기본적인 요소가 본디 의미를 그대로 유지한 채 다른 언어 요소와 결합하여 파생어나 합성어를 형성하는 성질
에 의지하는 경향이 크다.
예) ‘눈물’, ‘콧물’, ‘빗물’ 등은 이들 낱말의 조어 과정에서 기본 요소인 ‘물’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눈’, ‘코,’, ‘비’ 등의 낱말과 각각 결합하기 때문에 이들 낱말의 의미 파악이 쉽다.
② 국어의 어휘는 위상대립, 정서대립, 자타 대립, 생사대립 등의 기제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예) 위상대립: ‘밥-진지’, 정서대립: ‘슬며시-살며시’, 자타대립: ‘어머니-어머님’, 생사대립 :‘가친-선친’
③ 어휘는 어릴 때부터 나이가 많아질 대까지 개인의 노력에 따라 끊임없이 습득이 이루어진다.
다. 국어의 변천
시기
시대명칭
변천 모습
15세기
(조선초)
중세국어
1. 모음조화 현상이 강함
체언+조사 : 손로, 눈으로
어간+어미 : 잡니, 먹으니
한 단어 안 : 모다,
2. 聲調(高低)가 있음 : 四聲法. 傍點을 붙임
3. 문법 체계가 복잡함 : 된소리(ㅄ, ㅂ, ㅅ)- (쌀), (꿈), ()
4. 순국어가 많음 : 가람, 즈믄, 온, 나조(夕), 뫼
16세기
(임진왜란)
과도기
국 어
1. 모음조화가 문란해짐
<ㆍ>음의 변화로 : 첫 자(ㅏ) : 고 → 하고
둘째자(ㅡ) : 하 → 하늘
2. 聲調가 없어짐
3. 문법에 변화가 심함
17C∼19C
(임란후∼
갑오경장전)
〃
근대국어
1. 주격조사 <가>가 쓰임
2. <ㆍ>음의 소멸 : 음(17ㅊ), 글자(1933년)
3. <ㅿ, ㆁ>의 소멸 : >가을, 셩>백성
4. 된소리 표기의 변화 :
<ㅂ, ㅅ>(영조까지), <ㅅ>(정조후), <ㄲ, ㄸ->(1933년 병서자 사용)
5.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남 :
Ⅱ. 국어지식의 내용체계
국어
지식
● 국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국어의 특질
- 국어의 변천
● 국어의 이해와 탐구
- 음운 - 낱말
- 어휘 - 문장
- 의미 - 담화
●국어에 대한 태도
- 동기 - 흥미
- 습관 - 가치
● 국어의 규범과 적용
- 표준어와 표준발음 - 맞춤범 - 문법
1. 국어의 본질
- ‘국어의 이해와 탐구’ 범주의 교육내용과 더불어 교육내용이 국어에 대한 지식이고, 이의 일차적인 교육목적이 지식의 이해와 지식의 활용에 있다.
가. 언어의 특성
- 초등학교 언어 본질과 관련된 지도내용 범주는 다음과 같다.
1) 언어의 규칙성
- 언어는 규칙적으로 사용되어야 제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어순이 ‘피수식어+수식어’,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서로 사용되어야 하며, 시제 표현, 높임법 표현 등의 문법 표현도 문법적 규칙에 따라 사용되어야 제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된다. 그래서 무질서한 어순과 잘못된 문법 규칙에 따라 사용될 때와 규칙에 맞게 사용될 때를 비교하여 언어에는 규칙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규칙에 따라 언어를 사용하게 지도해야 한다.
2) 언어의 기호성
- 언어는 지시 대상과 절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의적인 관계에 있는 기호라는 것을 알고, 언어 본질을 이해하게 해야 한다. 기호의 개념을 알고, 종류와 특징을 알며, 다른 기호와 비교하여 언어 기호의 장단점을 알게 하여 기호 사용을 효과적으로 하게 해야 한다.
3) 언어의 창조성
- 언어가 창조적으로 쓰임을 알고, 이 창조성을 극대화 하여 국어 사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같은 내용을 상황과 화자에 따라 달리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하여 창조적으로 국어를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4)언어의 기능성 정정덕(1996:37-41)에 의한 G.Leech 의 언어의 다섯가지 기능
가) 정보제공의 기능
- 인간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 창출하게 한다.
나) 정서표현의 기능
- 슬픔이나 괴로움, 즐거움과 기쁨을 나타낸다.
다) 명령적 기능
- 화자나 필자가 청자나 독자에게 대답을 요구하거나 행동이나 태도를 보여 줄 것을 요청하거나 부탁하거나 강요하거나, 행동을 같이 할 것을 제안하거나 명령하는 표현
라) 심미적 기능
- 언어의 리듬성, 예술성, 심미성 등에 의해 인간에게 미적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점
마) 친교적 기능
- 인간사회의 삶에 유대관계를 갖게 해 주는 기능
나. 국어의 특질
1)음운적 특질
① 국어에 상관을 이루는 자음이 많이 존재한다.
예) /ㄱ/과 /ㄲ/, /ㄱ/과/ㅋ/등
② 문장 끝에 놓이는 억양에 따라 문장의 종류가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③ 국어의 음운은 비교적 제약이 많다.
예) 어두의 음운제약 - ‘녀자→여자’, 어말의 음운 제약 - ‘낫[낟]’
2)문법적 특질
① 국어의 낱말은 교차적인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향이 많다. 즉 어근에 접사나 어미가 결합하여 새로운 낱말을 형성 한다.
예) 맏며느리- 어근 ‘며느리’앞에 접두사 ‘맏-’이 결합
② 국어의 문장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문장 성분들이 배열되는 것이 기본적이다. 하지만 담화에서 위와 같은 어순의 배열순서가 서로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문장은 그 성분들이 기본적인 어순에서 자리가 이동하여 변형된 문장이라 할 수 있다.
③ 국어는 의미의 중심이 뒤쪽에 놓이므로 후핵 언어라 할 수 있다.
④ 국어는 두 개 이상의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이 잇달아 나타나는 문장이 많다.
예) 자동차가 매우 빨리 달란다.
⑤국어는 상황 의존적 언어이다.
예) ‘이것이 너의 연필이 아니냐?’ 와 같은 상대방의 부정 의문문에 대해 만약 화자가 ‘예’라고 대답하면 ‘이것은 나의 연필이 아니다’는 뜻이고, ‘아니오’ 라고 대답하면 ‘이것은 나의 연필이다’는 뜻이다.
3)어휘적 특질
① 국어의 어휘는 조어 과정에서 배의성 낱말의 조어 과정에서 기본적인 요소가 본디 의미를 그대로 유지한 채 다른 언어 요소와 결합하여 파생어나 합성어를 형성하는 성질
에 의지하는 경향이 크다.
예) ‘눈물’, ‘콧물’, ‘빗물’ 등은 이들 낱말의 조어 과정에서 기본 요소인 ‘물’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눈’, ‘코,’, ‘비’ 등의 낱말과 각각 결합하기 때문에 이들 낱말의 의미 파악이 쉽다.
② 국어의 어휘는 위상대립, 정서대립, 자타 대립, 생사대립 등의 기제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예) 위상대립: ‘밥-진지’, 정서대립: ‘슬며시-살며시’, 자타대립: ‘어머니-어머님’, 생사대립 :‘가친-선친’
③ 어휘는 어릴 때부터 나이가 많아질 대까지 개인의 노력에 따라 끊임없이 습득이 이루어진다.
다. 국어의 변천
시기
시대명칭
변천 모습
15세기
(조선초)
중세국어
1. 모음조화 현상이 강함
체언+조사 : 손로, 눈으로
어간+어미 : 잡니, 먹으니
한 단어 안 : 모다,
2. 聲調(高低)가 있음 : 四聲法. 傍點을 붙임
3. 문법 체계가 복잡함 : 된소리(ㅄ, ㅂ, ㅅ)- (쌀), (꿈), ()
4. 순국어가 많음 : 가람, 즈믄, 온, 나조(夕), 뫼
16세기
(임진왜란)
과도기
국 어
1. 모음조화가 문란해짐
<ㆍ>음의 변화로 : 첫 자(ㅏ) : 고 → 하고
둘째자(ㅡ) : 하 → 하늘
2. 聲調가 없어짐
3. 문법에 변화가 심함
17C∼19C
(임란후∼
갑오경장전)
〃
근대국어
1. 주격조사 <가>가 쓰임
2. <ㆍ>음의 소멸 : 음(17ㅊ), 글자(1933년)
3. <ㅿ, ㆁ>의 소멸 : >가을, 셩>백성
4. 된소리 표기의 변화 :
<ㅂ, ㅅ>(영조까지), <ㅅ>(정조후), <ㄲ, ㄸ->(1933년 병서자 사용)
5.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남 :
키워드
추천자료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
국어과 내용체계
국어교과속의 도덕적 측면
국어 지도안 (6 . 문학과 독자(중학교 국어 1-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평가 및 신구 교육과정 비교
국어과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과정 해설 및 비교분석 8학년 말하기
[영어과]중학교(중등) 영어과(영어교육)의 실태와 내용체계표, 중학교(중등) 영어과(영어교육...
중학교(중등) 음악교육(음악과)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음악교육(음악과) 교과서, 중학교(중...
중학교(중등) 수학과(수학교육) 목표, 중학교(중등) 수학과(수학교육) 방향과 내용체계, 중학...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체계와 기초실태,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연산능력신장교육(연산지도) 이론적 기반과 교과내용체계, 연산능력신장교육(연산지도) 계산...
초등학교(초등교육) 범교과학습 안전교육과 국제이해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 범교과학습 해...
미술과(미술교육)의 성격과 구성주의적 접근,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특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