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역사 - 세계의 어족과 언어 [언어들 사이의 친근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역사 - 세계의 어족과 언어 [언어들 사이의 친근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n\'
←벵골어: 인도공화국의 뱅골 주와 방글라데시의 공용어
↖힌디어: 인도 헌법으로 규정된 인도의 15개 공용어 중 하나
↖자바어: 인도네시아어
4. 한국어의 기원
한국어의 기원은 확정적인 단언을 할 수 없고 몇 가지 가설적 이론이 있다
알타이어족- 아시아의 서쪽부터 동쪽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투르크계언어(터키어 등), 몽골계 언어(몽고어 등), 퉁구스계 언어(만주어 등)가 이루는 하나의 어족
삼국통일 후 신라어가 한반도의 언어로 정착

고려시대에 신라어의 지역방언이 중심언어

조선시대까지 신라어가 이어져 중세국어 형성

중세국어가 오늘날의 한국어가 됨
남방계 어족
- 쌀 재배의 문화, 난생설화 = 남방계 문화 (단군, 김알지, 박혁거세, 김수로왕)
- 한국어와 폴리네시아어의 유사한 단어가 발견됨
But, 이러한 사실이 한국어를 남방계 어족에 소속시킬만한 강력한 증거가 되지 못함.
(고대의 신화, 현대인의 유전적 형질을 고려할 때 고대 한반도에는 북방계 민족과 남방계 민족의 공존가능성이 높다 → 한국어 형성에도 두 계통이 언어가 상호작용했을 것이라는 추측)
5. 언어의 변화
형태, 통사적인 변화, 어휘와 의미의 변화, 음성 등 여러 부분에서 일어난다
음성변화의 예- 영어의 대모음 추이 (The Great Vowel Shift)
1400년부터 1600년사이에 중세영어의 장모음이 변화를 겪어 현대영어가 성립된 과정
같은 모음의 반복이 장모음을 나타냄
예) [e:] ‘ee’ (‘feet’의 발음 - [fe:t])
[o:] ‘oo’ (‘food’의 발음 [fo:d])
↘(대 모음 추이 후-모음 후 소리가 변하였지만 철자는 유지)
‘feet’의 발음 [fi:t]
‘food’의 발음 [fu:d]
한국어- 전기중세국어에서 후기중세국어가 되는 과정에서 모음체계의 변동을 겼음 / 중세국어에는 성조가 존재
형태변화굴절, 활용, 접사 등의 변화 ( 통사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예) 고대영어는 격, 수에 따라 관사, 형용사, 명사가 변화하는 굴절어
명사에 문법적 기능이 드러나므로 어순은 자유로움
↓( 굴절 약화)
현대영어는 명사의 격의 형태는 소유격만 구별
(대명사의 경우 ‘he, his, him’처럼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구별)
명사의 형태만으로 문법적 기능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어순이 엄격
어휘의변화
예) 훈민정음
이런젼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배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