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케이스 잡기
시나리오
큐(생각할점, 과제, 질병스터디, 과제 나누기 등)
학습목표
간호정보조사
진단검사
약물
질병스터디
질병스터디마다 환아 적용하기
개인과제
시나리오
큐(생각할점, 과제, 질병스터디, 과제 나누기 등)
학습목표
간호정보조사
진단검사
약물
질병스터디
질병스터디마다 환아 적용하기
개인과제
본문내용
수행할 수 있었던 연령들을 나타내는 막대로 표시되어 있음.
3. 소감문
3학년과 4학년, SN 학생간호사로서의 마지막 실습장소인 소아과와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을 통해 간호사의 또 다른 영역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성인 병동과 다르게 약물의 용량부터 다르게 계산되는 소아과는 간호사의 역량이 바로 드러나는 곳이라 생각되었다. 잠깐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고, 보통 사람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문제들이 소아과에서는 민감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업무에 바쁜 간호사가 반창고를 빨리 떼다가 피부에 발적이 일어난 경우, 성인의 경우 금새 회복이 되지만 소아에게는 skin 조직 자체가 떨어질 수도 있다.
낙상과 안전사고에 주의를 가해하는 소아과에서는 항상 환경관리가 엄격히 이루어져야 하고, 신체의 모든 기관이 미숙하여 외부 환경에 취약하게 반응하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감염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미숙아, 태변흡입증후군, 자궁내 성장지연, 항문기형 등의 신생아들이 현재 예수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었다. 실제로 분유를 먹이고 기저귀를 교환하고, 산모의 모유수유를 도우는 역할을 도맡게 되었는데 학생간호사로서 이러한 acting을 할 수 있게 되어 행복한 경험이었고, 소중한 생명의 출발선에 서 있는 아이들을 직접 care한다는 것 자체가 무한한 영광으로 느껴졌다. ----------------------------------------------------------------------------------------
1. 진단검사 요추검사(Lumbar Puncture)
*정의 : 요추천자(lumbar puncture)라고도 함. 척추의 지주막하강에 바늘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것
*목적 : 뇌척수 압력 측정, 지주막하강의 출혈 등의 상태에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투여/진단적 검사/뇌척수액의 역동검사(공기, 염료, 산소 등을 주입하여 시행함)를 하기 ,척추마취 하기 위해 시행.
*준비물 : 소독솜, 국소마취제, 21~24G 주사바늘과 주사기, 5~12.5cm 요추천자 바늘, 검사물 용기, 뇌척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manometer, 3-way, 거즈, 멸균장갑, 반창고.
*방법
① 대상자가 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② 요추천자 부위를 소독 후 국소마취를 하고 척수강내로 바늘을 삽입한다.(요추3.4번/ 4.5번)
③ 뇌척수액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잠금장치와 manometer를 부착한다.(정상 초기압력 :60~180mmH2O 비정상 :200mmH20이상)
④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검사물 용기에 넣고 간호사는 채집한 순서대로 용기에 번호를 매긴다.
*검사 전 간호 : 환자의 활력징후, 의식수준,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 국소마취제와 소독제로 인한 약물 과민성 반응을 사정
①요추천자의 목적, 국소마취의 시행, 검사 장소와 시기, 참석하는 사람, 소요시간등을 알려준다(의식유무 관계없이)
②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다리는 대퇴에 굴곡시켜 복부에 끌어당겨 붙이고 다리 사이에 베개를 넣어 고정시킴. 옆구리 밑에 베개를 넣어 극돌기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어깨와 머리는 최대한 구부려 척추골간의 공간을 넓히도록 하며 환자의 머리밑에 조그만 베개를 넣어 수평체위를 유지하도록)
③검사 동안 동일한 자세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다(불안정한 환자나 아이는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 필요)→검사시행 전에 대, 소변을 하게 한다.
*검사 중 간호 :
①무균적으로 시행하고 환자의 전면에 서서 환자가 움직이지 않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목과 무릎의 뒤쪽을 지지한다
②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하여 안심시키며, 정상적으로 호흡하고 편안하게 이완되도록 격려한다
-과도한 근육긴장, 기침 또는 호흡의 변화는 뇌척수압을 상승시켜서 잘못된 결과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만약 Queckenstedt-Stoodey검사를 시행해야 한다면 환자의 경정맥에 손가락으로 압박을 가한다.
③ 검사물 용기에 순서대로 라벨을 붙인다. 바늘을 제거한다. 감염을 막기 위해 천자부위에 드레싱을 한다
*검사 후 간호
①첫 3시간 동안 평평한 곳에 눕히고 앙와위 취하도록.(낮은 베개를 받힐 수도 있음. 두통을 예방/완화)두통이 심하면 진통제를 투여하기도.(두통은 전두엽과 후두엽에서 두근거리고 무딘 듯한 심부통증 나타나며 앉거나 서면 심하고 누으면 감소)
②뇌척수액이 다시 채워질 때까지 환자를 8~24시간 동안 침상안정 하게 하며 수분을 적당히 공급한다(20cc이상 제거시 첫 2시간은 복위, 다음 2~3시간은 측위, 다음 6시간 동안 앙와위 또는 복위를 취하게 하고 밤에는 똑바로 누워 자도록 한다).
③환자가 창백하거나 활력징후의 변화, 신경학적인 상태의 변화, 천자부위의 팽만, 현기증과 두통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④신경자극 때문에 무감각, 쑤심,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이 생기기도. 천자부위에서 뇌척수액의 누출이 있는지 관찰한다.
⑤ 환자의 차트에 시행한 시간과 날짜, 의사의 이름, 채취한 뇌척수액의 양과 양상(투명하거나 혼탁함), 색깔, 압력, 검사물의 수, 환자의 상태 등을 기록한다.
2. 의학용어
약 어
full name
뜻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BPD
Broncho pulmonary dysplasia
기관지 폐이형성증
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만기전 조기양막파수
ASD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 결손
3. 소감문
분만실 실습을 마치고나서 연이은 2주간의 아동실습을 하면서 아이가 태어나고 NBICU와 소아과를 거쳐가면서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한달만에 지켜본것만 같아서 너무 좋았다. 특히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신생아를 사정하는 것 이였는데 키, 몸무게, 두위크기부터 시작해서 재는게 너무나 신기했고 premature한 아이들을 보는데 너무 작아서 처음에는 V/S하는데도 너무 큰 어려움을 느꼈다.
NBICU에서 신생아들의 feeding도 맡아서 해보았는데 혹시나 울고 안먹으면 어쩌나 많이 걱정도
3. 소감문
3학년과 4학년, SN 학생간호사로서의 마지막 실습장소인 소아과와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을 통해 간호사의 또 다른 영역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성인 병동과 다르게 약물의 용량부터 다르게 계산되는 소아과는 간호사의 역량이 바로 드러나는 곳이라 생각되었다. 잠깐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고, 보통 사람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문제들이 소아과에서는 민감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업무에 바쁜 간호사가 반창고를 빨리 떼다가 피부에 발적이 일어난 경우, 성인의 경우 금새 회복이 되지만 소아에게는 skin 조직 자체가 떨어질 수도 있다.
낙상과 안전사고에 주의를 가해하는 소아과에서는 항상 환경관리가 엄격히 이루어져야 하고, 신체의 모든 기관이 미숙하여 외부 환경에 취약하게 반응하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감염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미숙아, 태변흡입증후군, 자궁내 성장지연, 항문기형 등의 신생아들이 현재 예수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었다. 실제로 분유를 먹이고 기저귀를 교환하고, 산모의 모유수유를 도우는 역할을 도맡게 되었는데 학생간호사로서 이러한 acting을 할 수 있게 되어 행복한 경험이었고, 소중한 생명의 출발선에 서 있는 아이들을 직접 care한다는 것 자체가 무한한 영광으로 느껴졌다. ----------------------------------------------------------------------------------------
1. 진단검사 요추검사(Lumbar Puncture)
*정의 : 요추천자(lumbar puncture)라고도 함. 척추의 지주막하강에 바늘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것
*목적 : 뇌척수 압력 측정, 지주막하강의 출혈 등의 상태에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투여/진단적 검사/뇌척수액의 역동검사(공기, 염료, 산소 등을 주입하여 시행함)를 하기 ,척추마취 하기 위해 시행.
*준비물 : 소독솜, 국소마취제, 21~24G 주사바늘과 주사기, 5~12.5cm 요추천자 바늘, 검사물 용기, 뇌척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manometer, 3-way, 거즈, 멸균장갑, 반창고.
*방법
① 대상자가 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② 요추천자 부위를 소독 후 국소마취를 하고 척수강내로 바늘을 삽입한다.(요추3.4번/ 4.5번)
③ 뇌척수액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잠금장치와 manometer를 부착한다.(정상 초기압력 :60~180mmH2O 비정상 :200mmH20이상)
④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검사물 용기에 넣고 간호사는 채집한 순서대로 용기에 번호를 매긴다.
*검사 전 간호 : 환자의 활력징후, 의식수준,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 국소마취제와 소독제로 인한 약물 과민성 반응을 사정
①요추천자의 목적, 국소마취의 시행, 검사 장소와 시기, 참석하는 사람, 소요시간등을 알려준다(의식유무 관계없이)
②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다리는 대퇴에 굴곡시켜 복부에 끌어당겨 붙이고 다리 사이에 베개를 넣어 고정시킴. 옆구리 밑에 베개를 넣어 극돌기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어깨와 머리는 최대한 구부려 척추골간의 공간을 넓히도록 하며 환자의 머리밑에 조그만 베개를 넣어 수평체위를 유지하도록)
③검사 동안 동일한 자세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다(불안정한 환자나 아이는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 필요)→검사시행 전에 대, 소변을 하게 한다.
*검사 중 간호 :
①무균적으로 시행하고 환자의 전면에 서서 환자가 움직이지 않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목과 무릎의 뒤쪽을 지지한다
②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하여 안심시키며, 정상적으로 호흡하고 편안하게 이완되도록 격려한다
-과도한 근육긴장, 기침 또는 호흡의 변화는 뇌척수압을 상승시켜서 잘못된 결과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만약 Queckenstedt-Stoodey검사를 시행해야 한다면 환자의 경정맥에 손가락으로 압박을 가한다.
③ 검사물 용기에 순서대로 라벨을 붙인다. 바늘을 제거한다. 감염을 막기 위해 천자부위에 드레싱을 한다
*검사 후 간호
①첫 3시간 동안 평평한 곳에 눕히고 앙와위 취하도록.(낮은 베개를 받힐 수도 있음. 두통을 예방/완화)두통이 심하면 진통제를 투여하기도.(두통은 전두엽과 후두엽에서 두근거리고 무딘 듯한 심부통증 나타나며 앉거나 서면 심하고 누으면 감소)
②뇌척수액이 다시 채워질 때까지 환자를 8~24시간 동안 침상안정 하게 하며 수분을 적당히 공급한다(20cc이상 제거시 첫 2시간은 복위, 다음 2~3시간은 측위, 다음 6시간 동안 앙와위 또는 복위를 취하게 하고 밤에는 똑바로 누워 자도록 한다).
③환자가 창백하거나 활력징후의 변화, 신경학적인 상태의 변화, 천자부위의 팽만, 현기증과 두통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④신경자극 때문에 무감각, 쑤심,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이 생기기도. 천자부위에서 뇌척수액의 누출이 있는지 관찰한다.
⑤ 환자의 차트에 시행한 시간과 날짜, 의사의 이름, 채취한 뇌척수액의 양과 양상(투명하거나 혼탁함), 색깔, 압력, 검사물의 수, 환자의 상태 등을 기록한다.
2. 의학용어
약 어
full name
뜻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BPD
Broncho pulmonary dysplasia
기관지 폐이형성증
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만기전 조기양막파수
ASD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 결손
3. 소감문
분만실 실습을 마치고나서 연이은 2주간의 아동실습을 하면서 아이가 태어나고 NBICU와 소아과를 거쳐가면서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한달만에 지켜본것만 같아서 너무 좋았다. 특히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신생아를 사정하는 것 이였는데 키, 몸무게, 두위크기부터 시작해서 재는게 너무나 신기했고 premature한 아이들을 보는데 너무 작아서 처음에는 V/S하는데도 너무 큰 어려움을 느꼈다.
NBICU에서 신생아들의 feeding도 맡아서 해보았는데 혹시나 울고 안먹으면 어쩌나 많이 걱정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