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보고서 - 수준측량, 평판측량, 트래버스측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량보고서 - 수준측량, 평판측량, 트래버스측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수준측량
1. 목적
2. 정의
3. 분류
4. 용어
5. 방법

● 평판측량
1. 목적
2. 이론
3. 장·단점
4. 방법

● 트래버스측량
1. 목적
2. 이론
3. 분류
4. 방법

● 느낀점

본문내용

향하게 한다.
(2) 연직 고정 나사를 풀고 측점 B의 방향을 시준하여 초점 조정 나사로 목표가 선명하게 보이도록 조절한다.
(3) 연직 고정 나사와 상부 고정 나사를 고정한다.
(4) 연직 미동 나사와 상부 미동 나사로 십자선의 만나는 점을 측점 B에 정확히 일치시킨다.
※ 안전 및 유의사항
1. 측량하기 전에는 반드시 기계의 정상 상태 유지를 확인한다.
2. 트랜싯에 충격을 주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하며 고정 나사는 가볍게 고정한다.
3. 삼각은 대체로 정삼각형을 이루게 하여 안전하게 세운다.
4. 망원경의 높이는 눈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세운다.
5. 운반할 때에는 삼각의 고정 나사를 풀어서 가급적 기계를 세워 들고, 어께에 멜 때에는 반드시 기계의 머리를 앞에 오도록 하여 양 손으로 잡는다.
6. 연직 및 수평 미동 나사는 각각 고정 나사를 고정한 뒤에 사용하여야하며, 한계 이상으로 사용하여 나사가 풀려나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7. 기계 조작시 몸이나 의복이 기계에 닿지 않도록 한다.
8. 상부 운동과 하부 운동의 이용에 있어서 서로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9. 자침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고정한다.
10. 두 눈을 뜨고 시준하며 망원경으로 해를 시준해서는 안 된다.
11. 측점이 직접 시준이 되지 않을 때에는 측점에 수직으로 세운 폴의 하부를 시준한다.
6. 응용
평판측량
1. 목적
2. 이론
― 정의
: 도면(평판)을 삼각대 위에 올려놓고 앨리데이드를 사용하여 방향, 거리, 고저차를
측정함으로써 현지에서 직접 지도를 작성하는 측량이다.
삼각을 부착한 평판 위에 도면지를 붙이고 시준선이 달린 자인 엘리데이드(alidade)로 각 목표에 방향선을 그어 목표점의 위치를 구하는 측량법이다. 주로 평면도형이나 지형도를 현지에서 도해하여 그리는 데 쓰이는데, 사진측량이 실용화되기 이전에는 지형도도 거의 평판측량으로 만들어졌다.
앨리데이드 중에는 먼 곳의 목표를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망원경이 달린 것, 방위를 정하기 위한 자침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 등이 있고 태코미터도 쓰인다.
평판측량은 간단한 기구만으로 할 수 있고 조작하기도 비교적 쉬우므로 택지의 측량이나 그 밖의 간단하고 소규모인 측량이나 도면작성에는 지금도 널리 쓰인다.
평판측량에는 2점 이상의 도근점을 미리 정하여 도면지 위에 전개해 두어야 한다. 이 2점에 평판을 설치하고, 먼저 다른 도근점의 도면지에서의 방향선과 현지에서의 방향선이 일치하도록 평판을 수평으로 회전한다. 이 조작을 표정이라 하고, 오차를 막기 위해서는 3점 이상의 도근점을 써서 표정한다. 표정이 끝나면 다른 각 목표에 대한 방향선을 긋고, 2점 이상의 관측점으로부터의 방향선의 교점으로서 목표의 위치를 도면지 위에 정한다. 이것을 전방교회법이라고 한다.
또 위치가 결정되지 않은 지점에 평판을 설치하고, 위치를 알고 있는 3개의 점에 대하여 방향각을 현지와 맞추면서 관측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후방교회법이라고 한다.
이러한 교회법을 반복하여 차례차례 점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점들을 연결하여 도면지 위에 지도를 완성한다.
― 평판의 구성요소
: 평판, 앨리데이드, 삼각대, 구심기, 측침, 폴대
― 분류
1) 방사법: 장애물이없고, 비교적 좁은 구역
2) 전진법: 장애물이 많을경우
3) 전방교회법: 기지점에서 미지점의 위치 구함
4) 측방교회법: 기지의 한점과 미지의 한점에 평판을 세워 미지점의 위치를 구함
5) 후방교회법: 미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기지의 2점이나 3점을 이용하여 미지점을 결정
* 구점이 외접원 위에 있으면 시오삼각형이 생기지 않을 수도 있다.
3. 장·단점
· 장점
1) 현장에서 직접 측량결과를 제도함으로 필요한 사항을 빠뜨리는 일이 없고, 불필요한 측정을 하지 않게 되어 능률이 좋다.
2) 측량의 과실을 발견하기 쉽다.
3) 야장을 기입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르는 착오가 없다.
4) 기계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내업량이 적다.
· 단점
1) 외업이 많으므로 일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도지의 신축에 따른 오차가 발생한다.
3) 일반적으로 정도가 낮다.
4. 방법
― 평판의 설치 방법
1. 삼각대를 펴고 평판을 올려놓는다.
2. 평판을 대략 수평으로 하고 구심기로서 대충의 구심을 잡는다.
3. 앨리데이드를 사용하여 평판을 수평으로 한다.
4. 지상의 구심과 평판의 구심을 정확히 맞춘다.
5. 수평조절나사를 사용하여 평판을 수평으로 한다.
6. 평판고정나사를 풀어서 구심을 정확히 맞춘다
(만일 평판고정나사로 조정이 안될경우에는 4~6을 반복한다.
― 평판의 3대 요소
정준 : 평판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
구심(치심) : 지상의 측정과 도상의 측점을 일치시키는 것
표정 : 평판을 일정한 방향에 따라 고정시키는 작업
― 측량방법
1. 방사법 : 측량할 구역안에 장애물이 없고 비교적 좁은 구역에 적합하다.(60M 이내)
모든 점이 시준되는 위치에 평판설치
주위에 있는 목표물들의 방향과 거리를 관측
스케일로 거리를 축척하여 도상에 점을 옮긴다.
측점들을 연결하여 필요한 작업을 한다.
2. 전진법 : 측량할 지역안에 장애물이 많아 방사법이 불가능 할 때 사용
어느 한 임의점에 평판을 차리고 다음 점을 시준한다.
구간의 거리를 관측하여 도상에 옮기고 다음 점으로 이동
평판을 설치하고 앞의 점에 표정한 후 다음 점응 시준하여 앞으로 전진
원점으로 돌아왔을 때 페합여부 확인
3. 교회법
전방교회법 : 기지점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측량지역이 넓고
장애물이 있어서 목표점까지 거리를 재기가 곤란한 경우 사용
알고 있는 기지점 A에서 평판을 설치하고 기지점 B점 및 각 점을 시준한다.
AB거리를 측정하여 도상에 표시하고 B점으로가 평판설치
A점을 표정하고 다fms 점들을 시준한다.
서로 교차되는 점을 연결 필요한 작업을 계속한다.
후방교회법 : 기지의 3점으로부터 미지의 점을 구하는 방법
알고자하는 미지의 점에 평판설치 기지점들을 시준하여 도상에 옮긴다.
(거리포함)
  • 가격8,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0.16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