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감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포가 근육층까지만 국한된 경우 ( 2~5cm )
T3: 암세포가 근육층을 뚫고 장막하층 까지 침윤된 경우
( T2보다 크나 장기 내에 국한됨 )
T4: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거나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된 경우
( 주변 조직과 유착 및 침윤 )
- N(node)은 종양이 침범한 림프절의 수
N0: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 림프절 전이가 1~3개 있는 경우 ( 국소 림프절 전이, 림프절이 움직임)
N2: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 원위 림프절 전이, 림프절이 고정됨 )
- M(metastasis)은 전이의 유무
M0: 원격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격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4) ' 대장암 T3N0' 인 경우 침범부위
대장암의 대부분은 선종성 용종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선종성 용종은 대장의 가장 안쪽 층인 점막층에서부터 생겨나기 시작해서 점점 크기가 커지다가 이 중 일부가 암으로 변하게 되고, 일단 암으로 변하면 대장벽으로 점점 침윤해 들어가게 됩니다. 대장암의 치료 방법과 예후 인자를 알아내기 위해서 대장암의 병기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 II (대장암2기)
A : T3N0 대장암세포가 장막하층까지 침윤된 경우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