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씀.
페테르부르크에서 청년 장교로 근무하며 술과 도박을 즐기고, 집시 여인들과의 방탕한 생활을 함. 곧 도시 생활에 염증을 느껴 제대한 후 야스나야 폴랴나로 감.
1857년 그는 폴란드, 프랑스, 스위스 등을 여행하며 서구 자본주의 문명사회의 부패하고 타락한 모습을 체험함.
그 후 서구에서 귀국한 톨스토이는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학교를 건립하고, 교과서 저술을 등을 통해 농민을 교육시키고 계몽하는 한편, 농민들과 함께 농사를 지음.
러시아 역사와 민족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장편 <전쟁과 평화>를 씀.
여성, 연애, 결혼과 이혼 문제, 가정문제, 법과 종교 등을 다룬 장편<안나 카레니나>를 씀.
1879년에 톨스토이는 러시아 정교회 탈퇴를 선언하고 자신의 과거, 람, 문학을 부정하는 <참회록>를 썼음.
개혁적으로 살려고 했음. 무정부주의와 무저항 정신에 입각한 ‘톨스토이 주의’를 몸소 실천하며, 기독교적 계율에 따라 삶을 사는 성자의 길을 가려고 노력함. 하지만 이로 인해 톨스토이는 결국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함. 또한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려 했음. 하지만 아내의 반대로의 뜻을 이루지 못하자 가출하여 1910년 아스타포보 역에서 82세의 나이로 객사해 야스나야 폴랴나에 묻히게 됨.
(주요 작품)
장편 -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단편 - <이반 일리치의 죽음>, <크로이체르 소나타> 등
-체호프(1860~1904)
의사로서 러시아 단편의 대가.
남러시아의 항구 도시 타간로그에서 태어나, 농노 출신의 보수적인 아버지에게 엄한 교육을 받았음. 식료잡화점을 경영하던 아버지가 파산하고 모스크바로 야반도주함. 유머 잡지 투고로 돈을 벌어 모스크바대학 의학부를 다님.
1884년 대학을 졸업한 후 모스크바 근교에서 의료 활동을 하면서 얻은 체험을 소재로 작품을 쓰게 됨.
1880년대 초 러시아 문학기 전환기에 인생을 자연과학적-의학적 방법론을 사용해 유물론적-무신론적으로 이해함.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듯 주변의 현실과 인생을 다양한 관점에서 철저히 관찰하고 조사 분석하여 모순에 가득 찬 러시아 현실을 묘사함. 기존의 전통 장르들을 패러디해 새롭게 창조함.
시베리아를 경유해 사할린에 도착(180년)하여 사할린 강제수용소의 상황을 조사해 <사할린 섬>을 씀.
1880년대 톨스토이로부터 철학적 영향을 받았지만, 톨스토이주의와 그의 사상에서 벗어나 비판함.
그 이듬해 발생한 기아로 인해 농민들을 구제하는 대규모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1892년 콜레라가 창궐하자 무료 진료 활동을 함.
하지만 각혈 후 그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멜리호보에서 얄타로 이사함. 하지만 1904년 건강을 계속 악화되자 아내와 함께 독일로 가 요양치료를 받다 사망함. 그의 시신은 모스크바로 운반되어 노보데비치 수도원 공동묘지에 묻힘.
(주요 작품)
<뚱보와 홀쭉이>, <상자 속의 사나이>, <관리의 죽음>, <사할린 섬>, <6호실>,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초원>, 4대 희곡<갈매기>,<벚꽃동산>,<바냐 외삼촌>,<세자매> 등
7. 20세기 러시아 문학
-러시아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문학, 음악, 미술 등 전반의 현상을 포괄하는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서 탈피하려는 새로운 경향을 의미함. 러시아 모더니즘 운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모더니즘 문학은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든 상징주의 시문학 운동에서 비롯됨. 18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러시아 상징주의는 옛 사회 질서에 대한 절망, 진보 사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도덕적 가치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도덕과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순수예술을 지향함.
-상징주의 시인들
초기 상징주의 시인들에는 메레쥐코프스키, 기피우스 등이 있음. 이들은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부정하고 새로운 예술 원칙을 세우려고 시도했고, 발몬트, 브류소프, 솔로구프 등은 시어의 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에 관심을 가졌음.
후기 상징주의 시인들로는 블록, 벨르이, 이바노프 등이 있음. 상징을 통해 우주관이나 세계관을 전개하려는 예술관을 세우려 함.
-아크메이즘
아크메이즘은 ‘정상’이나 ‘개화’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크메’에서 유래함. 이 용어는 1912년경 러시아 상징주의의 여러 경향 중 신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한 예술지상주의와 개인주의를 말함.
아크메이스트 작가에는 구밀료프, 아흐마토바, 만젤쉬탐 등이 있음. 초이성적 신비를 부정하고, 현실과 푸쉬킨적 인생을 긍정하면서 사실주의 부활을 주장함.
-미래주의
새로운 모더니즘 운동으로 출발하였던 상징주의가 1910년대에 들어서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아크메이즘과 미래주의가 시 부분의 새로운 모더니즘 운동으로 등장 함.
미래파 시인들인 흘레브니코프, 마야콥스키, 파스테르나크 등은 기존의 권위를 부정하면서 무정부적 지식인의 반항적 기분을 표현함.
-신사실주의
1910년대 출현한 새로운 산문경향인 신사실주의가 등장함. 전통적인 사실주의, 즉 비판적 사실주의의 부활로서, 비판적 사실주의와 상징주의를 절충한 양식임.
쿠프린, 부닌, 안드레에프, 레미조프, 고리키 등이 있음. 이들은 구사실주의 문학에서 묘사하지 않은 사회계층과 삶을 묘사하기 시작했으며, 1917년 10월 혁명 후 소비에트-러이사 문학의 공식적 문학 강령이 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사실주의)의 토대를 마련했음.
-부닌(1870-1953)
자전소설 <아르세니예프의 생애>로 1933년에 러시아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함. 주로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지주 귀족 계급의 급속한 몰락 과정과 농민의 무지와 빈곤, 과거에 대한 향수와 비애, 고독, 불안, 절망을 묘사함. 주요 작품에는 <마을>,<샌프란시스코에서 온 신사> 등
-고리키(1868-1936)
신사실주의 작가이자 ‘사회주의 리얼리즘 아버지’, 러시아‘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로 불림. 고리키는 니즈니 노브고로트 시(구 고리키 시)에서 어렸을 때 부모를 잃고, 11살 때부터 심부름꾼, 접시닦이, 부두노동자 등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러시아 전국을 떠돌며 하층 계급 노동자들의 어려운 삶을 체험함. 그러면서
페테르부르크에서 청년 장교로 근무하며 술과 도박을 즐기고, 집시 여인들과의 방탕한 생활을 함. 곧 도시 생활에 염증을 느껴 제대한 후 야스나야 폴랴나로 감.
1857년 그는 폴란드, 프랑스, 스위스 등을 여행하며 서구 자본주의 문명사회의 부패하고 타락한 모습을 체험함.
그 후 서구에서 귀국한 톨스토이는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학교를 건립하고, 교과서 저술을 등을 통해 농민을 교육시키고 계몽하는 한편, 농민들과 함께 농사를 지음.
러시아 역사와 민족문제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장편 <전쟁과 평화>를 씀.
여성, 연애, 결혼과 이혼 문제, 가정문제, 법과 종교 등을 다룬 장편<안나 카레니나>를 씀.
1879년에 톨스토이는 러시아 정교회 탈퇴를 선언하고 자신의 과거, 람, 문학을 부정하는 <참회록>를 썼음.
개혁적으로 살려고 했음. 무정부주의와 무저항 정신에 입각한 ‘톨스토이 주의’를 몸소 실천하며, 기독교적 계율에 따라 삶을 사는 성자의 길을 가려고 노력함. 하지만 이로 인해 톨스토이는 결국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당함. 또한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려 했음. 하지만 아내의 반대로의 뜻을 이루지 못하자 가출하여 1910년 아스타포보 역에서 82세의 나이로 객사해 야스나야 폴랴나에 묻히게 됨.
(주요 작품)
장편 -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단편 - <이반 일리치의 죽음>, <크로이체르 소나타> 등
-체호프(1860~1904)
의사로서 러시아 단편의 대가.
남러시아의 항구 도시 타간로그에서 태어나, 농노 출신의 보수적인 아버지에게 엄한 교육을 받았음. 식료잡화점을 경영하던 아버지가 파산하고 모스크바로 야반도주함. 유머 잡지 투고로 돈을 벌어 모스크바대학 의학부를 다님.
1884년 대학을 졸업한 후 모스크바 근교에서 의료 활동을 하면서 얻은 체험을 소재로 작품을 쓰게 됨.
1880년대 초 러시아 문학기 전환기에 인생을 자연과학적-의학적 방법론을 사용해 유물론적-무신론적으로 이해함.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듯 주변의 현실과 인생을 다양한 관점에서 철저히 관찰하고 조사 분석하여 모순에 가득 찬 러시아 현실을 묘사함. 기존의 전통 장르들을 패러디해 새롭게 창조함.
시베리아를 경유해 사할린에 도착(180년)하여 사할린 강제수용소의 상황을 조사해 <사할린 섬>을 씀.
1880년대 톨스토이로부터 철학적 영향을 받았지만, 톨스토이주의와 그의 사상에서 벗어나 비판함.
그 이듬해 발생한 기아로 인해 농민들을 구제하는 대규모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1892년 콜레라가 창궐하자 무료 진료 활동을 함.
하지만 각혈 후 그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멜리호보에서 얄타로 이사함. 하지만 1904년 건강을 계속 악화되자 아내와 함께 독일로 가 요양치료를 받다 사망함. 그의 시신은 모스크바로 운반되어 노보데비치 수도원 공동묘지에 묻힘.
(주요 작품)
<뚱보와 홀쭉이>, <상자 속의 사나이>, <관리의 죽음>, <사할린 섬>, <6호실>,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초원>, 4대 희곡<갈매기>,<벚꽃동산>,<바냐 외삼촌>,<세자매> 등
7. 20세기 러시아 문학
-러시아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문학, 음악, 미술 등 전반의 현상을 포괄하는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에서 탈피하려는 새로운 경향을 의미함. 러시아 모더니즘 운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모더니즘 문학은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든 상징주의 시문학 운동에서 비롯됨. 18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러시아 상징주의는 옛 사회 질서에 대한 절망, 진보 사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도덕적 가치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도덕과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순수예술을 지향함.
-상징주의 시인들
초기 상징주의 시인들에는 메레쥐코프스키, 기피우스 등이 있음. 이들은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부정하고 새로운 예술 원칙을 세우려고 시도했고, 발몬트, 브류소프, 솔로구프 등은 시어의 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에 관심을 가졌음.
후기 상징주의 시인들로는 블록, 벨르이, 이바노프 등이 있음. 상징을 통해 우주관이나 세계관을 전개하려는 예술관을 세우려 함.
-아크메이즘
아크메이즘은 ‘정상’이나 ‘개화’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크메’에서 유래함. 이 용어는 1912년경 러시아 상징주의의 여러 경향 중 신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한 예술지상주의와 개인주의를 말함.
아크메이스트 작가에는 구밀료프, 아흐마토바, 만젤쉬탐 등이 있음. 초이성적 신비를 부정하고, 현실과 푸쉬킨적 인생을 긍정하면서 사실주의 부활을 주장함.
-미래주의
새로운 모더니즘 운동으로 출발하였던 상징주의가 1910년대에 들어서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아크메이즘과 미래주의가 시 부분의 새로운 모더니즘 운동으로 등장 함.
미래파 시인들인 흘레브니코프, 마야콥스키, 파스테르나크 등은 기존의 권위를 부정하면서 무정부적 지식인의 반항적 기분을 표현함.
-신사실주의
1910년대 출현한 새로운 산문경향인 신사실주의가 등장함. 전통적인 사실주의, 즉 비판적 사실주의의 부활로서, 비판적 사실주의와 상징주의를 절충한 양식임.
쿠프린, 부닌, 안드레에프, 레미조프, 고리키 등이 있음. 이들은 구사실주의 문학에서 묘사하지 않은 사회계층과 삶을 묘사하기 시작했으며, 1917년 10월 혁명 후 소비에트-러이사 문학의 공식적 문학 강령이 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사실주의)의 토대를 마련했음.
-부닌(1870-1953)
자전소설 <아르세니예프의 생애>로 1933년에 러시아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함. 주로 러시아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지주 귀족 계급의 급속한 몰락 과정과 농민의 무지와 빈곤, 과거에 대한 향수와 비애, 고독, 불안, 절망을 묘사함. 주요 작품에는 <마을>,<샌프란시스코에서 온 신사> 등
-고리키(1868-1936)
신사실주의 작가이자 ‘사회주의 리얼리즘 아버지’, 러시아‘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로 불림. 고리키는 니즈니 노브고로트 시(구 고리키 시)에서 어렸을 때 부모를 잃고, 11살 때부터 심부름꾼, 접시닦이, 부두노동자 등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러시아 전국을 떠돌며 하층 계급 노동자들의 어려운 삶을 체험함. 그러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