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역사왜곡 실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역사왜곡 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 역사연구의 목적
2) 역사 왜곡의 배경

2. 역사왜곡 실태
1) 일본의 역사왜곡
- 일제하의 역사왜곡 : 식민사관
- 역사교과서 문제 : 새 역사교과서

2)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3. 결론
1) 시사점
2) 제안

본문내용

역사교과서가 이를 고집하려고 애쓰는 것은 일본이 고대부터 대외팽창을 활발하게 전개한 위대한 국가였다는 인식을 학생들에게 심어주기 위한 의도라고 볼 수 있다.
② 한반도는 일본의 안전을 위협하는 흉기 - 조선반도흉기론
역사적, 지리적으로 볼 때 한반도는 일본에 선진문물을 전해준 문명의 발신지, 근대에는 일본이 대륙을 침략하기 위해 강점한 전진기지였다. 그러나 새 교과서는 ‘조선반도와 일본의 안전보장’이라는 항목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지도를 보자. 일본은 유라시아대륙으로부터 조금 떨어져서 섬에 떠 있는 섬나라이다. 이 일본을 향하여 대륙으로부터 가늘고 긴 한 팔뚝이 돌출되어있다 그것이 조선반도이다. 조선반도가 일본에 적대적인 대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 일본을 공격하는 절호의 기지가 되고 배후지를 갖지 못한 섬나라 일본은 자국의 방위가 곤란하게 된다. 이 의미에서 조선반도는 일본에 끊임없이 들이대어져 있는 흉기가 되기 쉬운 위치에 있다.
이는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의 전쟁도발을 정당화하기 위한 전제적 교재내용으로, 이웃나라를 흉기로 표현하는 용어도 비교육적이거니와 필연성을 강조하는 위치적 성격규정으로서 매우 위험하다. 한반도와 일본의 위치적 관계는 인간의 힘으로는 어떤 방법으로도 바꿀 수없는 절대적인 관계이다. 그렇다면 앞으로도 한반도가 일본을 위협하는 세력의 영향하에 놓여질 위험이 느껴진다고 일본이 일방적으로 생각하게 될 때에는 일본의 안전을 위해 또다시 한반도 지배의 선제행동을 취하여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이다.
3) ‘새 역사교과서’의 문제점
‘새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에 관해 2000년 동경대 기미지마 가즈히코 교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① ‘조선반도 흉기론’이 전형적으로 나타났듯이 일본의 입장만으로 쓰여진 교과서이다.
② 일본의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여 합법적이라는 것을 주장한 교과서이다.
③ 조선은 자주적으로 자국의 근대화를 달성할 수 없는 나라라고 하고, 한국 조선에 대해 강한 멸시관으로 보강된 교과서이다.
④ 일본의 조선침략은 구미 제열강의 아시아 침략속에서의 사건이라고 하고, 당시 세계의 움직임에 책임을 전가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자세를 갖지 않는 교과서이다.
⑤ 일본이 비판되어야 할 여러 가지 점은 쓰지 않는다고 하는 방침으로 일관된 교과서이다.
⑥ 일본과 한국에서의 역사학의 연구성과를 전부 무시, 부정하는 비학문적인 것이고, 역사교과서에는 맞지 않는다.
⑦ 일본 역사교육이 만들어 온 상호이해를 목표로 한 많은 교육실천을 무시하고, 이에 도전하는 것이다.
⑧ 이 교과서가 중학교에서 사용된다면 중학생의 한국, 조선 인식에 큰 악영향을 줄 것이다.
⑨ 이제까지 일본과 한국 사이에 쌓아왔던 우호관계를 무너뜨리려고 하는 책동에 맞는 교과서이다.
⑩ 일본과 한국 사에서 근년 왕성해지고 있는 교과서를 거론한 교류나 교육실천교류, 나아가서는 역사연구교류 등 역사학과 역사교육에 직접 관계있는 교류에 적대하는 것이고, 우호관계촉진에 역행하는 것이다.
4) 한국의 대응
‘새 역사교과서’가 2001년 문부과학성의 검정에 통과하자 한국에서는 격렬한 항일여론이 들끓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여론을 수용하여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동년 5월 8일 일본정부에 대해 ‘새 역사교과서’ 25개 항목, 기타교과서 10개 항목의 재수정을 요구했다. 한국 정부가 내정간섭이라고 오해받을 위험성을 감수하면서까지 일본 정부에 재수정을 요구한 것은 1982년 역사교과서 왜곡 사건을 계기로 검정기준에 들어간 ‘근린 제국에 대한 배려’ 조항과 한일 양국의 정상이 잇달아 합의하여 발표한 ‘역사인식에 관한 선언’ 등에 의거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 마디로 말하여 일본 정부가 약속을 위반하였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전달한 요구 문서로는 ‘한국 관련 서술에 대한 수정요구 의견’, ‘역사교과서 문제 관련 주요문서 참고자료’ 등이 있다.
2.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1) 동북공정의 배경
중국이 고구려 역사를 중국 역사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를 서서히 드러내고 있다. 남북한이 통일되고 나면 중국과 국경을 마주해야 되고, 옛 고구려땅이 우리 것이라는 한국측의 주장을 사전에 봉쇄하려는 저의가 깔려 있다. 간도는 두만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으로 한국인들이 다수 진출한 지역이고, 조선의 관리가 파견되기도 했다. 1909년 9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은 일제가 청나라와 ‘간도협약’을 맺으면서 중국의 영토로 귀속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